본문 바로가기
  • 이 세월의 끝에 이르면 하나의 이야기로 엮이기를 기대하며 쓰는 편지

교육과정·교과서148

교과서의 창의성·다양성(Ⅲ) 교과서의 창의성과 다양성을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 (Ⅲ) ☞ 「교과서의 창의성과 다양성을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 (Ⅱ)」에서 계속 Ⅲ. 교과서의 창의성·다양성 구현을 위한 정책의 방향 ‘교과서의 창의성·다양성 구현을 위한 교과서 정책의 방향’을 제시한다는 것은 필자의 능력 범위를 너무나 벗어난 주제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살펴본 바에 의해 간략한 언급을 하고, 우리나라 초·중등교육의 전체적인 문제와 연계하여 꼭 검토해야만 할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1. 교과서 정책의 방향에 대한 제안 우리나라 교과서 정책 혹은 교과서 제도 개선의 목적은, ‘교육과정의 취지에 맞는, 좋은 교과서를 선정·공급하는 것’으로, 이러한 정책·제도 하에서 교과서는 여전히 ‘지식을 담아 학생들에게 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2010. 9. 6.
교과서의 창의성·다양성(Ⅱ) 교과서의 창의성과 다양성을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 (Ⅱ) ☞ 「교과서의 창의성과 다양성을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 (Ⅰ)」에서 계속 Ⅱ. 우리 교과서의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의 흐름 우리 교육에서 교과서가 위와 같은 성격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과서 전문가들은 어떤 노력을 기울여왔는지, 필자가 관심을 가진 관련 연구들을 다음과 같이 살펴보았다. 이러한 개관은, 우리나라 교과서 연구 과정에서 교과서에 창의성, 다양성이 잘 반영되어야 한다는 생각의 흐름을 찾는 것과 다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우리 교과서의 발전방향을 가늠할 수 있게 하고, 앞으로는 어떤 논의가 이루어질 것인지를 짐작하는 데에도 유용할 것이다. 교과서관(敎科書觀)에 대한 논의는 1970년대에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2010. 9. 5.
교과서의 창의성·다양성(Ⅰ) 교과서의 창의성과 다양성을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 (Ⅰ) 요즘 초조한 편입니다. 무언가 얼른 하지 않으면 해야 할 일을 다하지 못하고 말 것 같은, 그런 한 시간 한 시간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뭘 하는 것도 아닙니다. 신문 한 페이지 읽는 것조차 힘이 듭니다. 그러니까 '우선 이것이라도' 그런 생각으로 정말로 하지 않으면 안 되는 일만 하는 한 시간 한 시간 하루하루를 보냅니다. 오는 9월 7일(화요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는 "교과서의 창의성과 다양성을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2011년 교과서 검정 체제 개선을 위한 세미나가 열립니다. 그 세미나에서 내가 주제 발표를 하기로 했습니다. 어쩌려고 그렇게 했는지 나도 모르겠습니다. 나에게도 초청장을 보냈는데 그 초청장의 인사말.. 2010. 9. 4.
대단한 남아공 교육 도대체 우리는 무슨 배짱으로 이렇게 교육하고 있는지 모릅니다. 9월초에 나올, 계간지 『교과서연구』 제61호에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의 교육제도가 소개됩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프리스티지교육원장(최원석)이 쓴 원고에 의하면, 그 나라의 전통적 인종차별은 교육에도 존재한답니다. 만델라 이후 변화하고 있고 교육의 중요성도 한국에 못지않게 인식되고 있지만, 명문 사립으로부터 공적 인프라가 낙후된 지역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학교가 있어 학생들이 누리는 혜택의 수준도 매우 큰 차이를 보인답니다. 그러나 원고 뒷부분에서 PRETORIA의 CRAWFORD라는 학교에 유학하고 있는 우리나라 학생 한 명, 현지 교사 한 명과의 인터뷰 내용을 보면, 적어도 그 나라의 교육은 우리에 비할 수 없을 정도로 정상적으로 실시되고 있.. 2010. 8. 16.
<대담> 교과서 선진화의 길 『교과서연구』 제60호(2010.6.1)에 '교과서 선진화의 길'에 대한 특별 대담을 실었습니다. 신나는 일도 없고, 있을 것도 없고, 그래서 그 대담을 제 자료 정리삼아 여기에 옮깁니다. 『교과서연구』, 그 책은 비매품으로 전국의 초·중·고등학교와 대학교, 교육행정기관에 배부되고 있습니다. 모두들 바쁘고 더 중요한 일들이 많기 때문에 그 책에 관심을 가진 분은 거의 없습니다. 이 책의 편집기획을 맡고 있으면서 무슨 좋은 수가 없을까 궁리하며 지냅니다. 오는 9월 1일자로 나올 제61호에는 '유진'이라는 탤런트의 라는 제목의 글을 싣게 되었습니다. 그 원고도 직접 부탁한 건 아니고, 어느 교수에게 부탁해서 받게 된 원고입니다. 저는 그 원고가 그 책을 대중화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지난봄에.. 2010. 8. 10.
‘2010년 교과서 선진화 방안’의 과제와 전망 교육 후진국일수록 교과서가 교육에 미치는 영향이 큰 나라일 것입니다. 왜냐하면 교사나 학생이나 동원할 도구가 교과서밖에는 거의 없기 때문입니다. 교육을 제대로 하는 교육 선진국 교사들은 대체로 그 시간에 학생들에게 나누어줄 학습자료를 준비해서 수업을 진행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습니다. 교사들은 그만큼 가르치는 일에 전문성을 지니고 있고, 그런 준비에 쓸 시간을 충분히 가질 수가 있습니다. 이에 비해 교육 후진국에서는 우선 전면적으로, 획일적으로, 일시에 교육의 수준을 어느 정도까지는 끌어올리고 봐야 하므로 국정 교과서든 무슨 교과서든 교과서의 내용을 잘 설명하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교사들은 교과서의 내용을 잘 전달하도록 교육받고 주입식 교육에 매진할 수밖에 없는 사정이 될 것입니다. 이건 그냥 사견(私.. 2010. 8. 5.
교과서 제도의 변화와 그 영향에 대한 전망 지난해 6월에 써서 『교과서연구』 제58호(2009.8월호)에 실었던 글입니다. 어떻게 살았는지 이 글을 써놓고도 블로그에 옮기지도 못한 채 지냈습니다. 내용은 두 가지입니다. 우선, 교육과정 수시-부분 개정체제를 적용한다 해도 좀 신중하게 적용하면 좋겠다는 것입니다. 우리 정부는 2004년 교육과정 수시-부분 개정 체제를 도입한 이래, 수시-부분 개정보다는 일시-전면 개정에 주력하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이것을 좀 신중하게 하자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교육과정이란 학교교육의 목표와 교육내용, 교육방법, 평가, 지원행정의 기준(基準, National Standard)이기 때문입니다. 다음으로, 교과서 출판사들은 뭘 자꾸 바꾸느냐고 하겠지만, 국정과 검정 교과서를 줄이고 인정 교과서를 확대하고 있는 것은 .. 2010. 8. 3.
가치경영 Ⅱ 가치경영 Ⅱ 2007년 5월 18일, 경기신문이라는 지방지에 「교육과정 재량권 확대의 필요성」이라는 제목의 시론에서 이런 이야기를 쓴 적이 있습니다. “이미 고착된 듯한 인상을 주는 부분에서 정책수립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할 수 있다. 그 예가 학년별·교과별 ‘연간최소이수시간’이라는 기준을 .. 2010. 7. 23.
우리 교과서의 정체성 한국교과서연구재단에서는 『교과서연구』라는 저널을 계간으로 발행하고 있습니다. 이 책 여름호에 제가 다음과 같은 권두언을 썼습니다. 편집기획회의에서는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을 지낸 어느 대학교 총장에게 권두언을 부탁하기로 했는데, 예상은 좀 했지만 성사되지 않았고, 한 교.. 2010. 6. 13.
어느 교사가 생각하는 2009 개정 교육과정 1945년 교육에 관한 긴급조치 및 교수요목, 1954년 제1차 교육과정, 1963년 제2차 교육과정, 1973년 제3차 교육과정, 1981년 제4차 교육과정, 1987년 제5차 교육과정, 1992년 제6차 교육과정, 1997년 제7차 교육과정. 우리나라 국가 교육과정이 공포·고시되어온 내력입니다. 그 이후에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이 나왔고, 이어서 지난해에 2009 개정 교육과정(미래형 교육과정)이 고시되었습니다. 그간 교과목 혹은 영역별로 부분개정된 건 생략하고 열거했습니다. 그러므로 9년, 9년, 10년, 8년, 6년, 5년, 5년, 10년이던 개정주기가 미래형 교육과정에 이르러 갑자기 2년으로 줄어들었습니다.1 “이 기간에 어떻게 연수하고 준비하고 익숙해지란 말이냐.” 같은 이야기를 하려면 할.. 2010. 6. 10.
교과서 정기검정제의 장점 「주간교육」(2010.5.17,7면)이라는 신문에 다음과 같은 기사가 실렸습니다. 이 기사 내용은 사실은 연전에 제가 한국교과서연구재단에 보고한 『검정도서 수정·보완체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2006.10)에 자세히 기술한 내용을 축약한 것입니다. 그 신문의 김건희 기자가 제 논문을 표절한 것이냐 하면, 그런 얘기를 하고 싶은 건 전혀 아닙니다. 아무도 귀기울여주지 않는 제 생각을 잘 소개한 기사이므로 오히려 고마울 뿐입니다. 독자가 몇 명이나 되는지 의심스러운 신문에 실렸다는 게 안타깝기도 합니다. 일본에서는 오랫동안 너무나 잘 실천하는 방법을 우리나라에서는 왜 도입하지 않는 것일까요? 지긋지긋한 '일제(日製)'라서 그럴까요? 만약 그렇다면 좋은 건 좋은 대로 얼른 도입해야 더 뒤지지는 않겠지요. 한.. 2010. 6. 1.
교과서 선진화 방안(교육과학기술부) Ⅱ 교과서 선진화 방안(교육과학기술부) Ⅱ ※ 별첨 자료 1. 2010년 교과서 선진화 방안 개요 2. 교과용도서 국․검․인정 구분 고시 3. 교과용도서 종류 및 구분기준 4. 금년부터 달라지는 교과서 제도 현황 5. 검정교과서 제도 변천사 6. 주요정책 내용 요지 2010년 교과서 선진화 방안 개요 창의적인‘산 지식’을 제공하고, 학습자 친화적인 '미래형 교과서’보급 ↗ ↑ ↖ 가격자율화 후속조치 인정도서 확대 검정제도 개선 ‣가정학습용 e-교과서 보급 ․서책형은 학교에서, e-교과서는 가정에서 활용 ‣가격결정에 대한 시장의 합리성 제고 ․가격 사전 심의, 필요한 경우 조정 권고 ‣특목고 및 전문계고 국정도서의 인정전환 ․학생 수준에 맞춘 교과서 개발 및 사용 용이 ‣고교 과학 등 검정도서의 인정전환 ․보.. 2010. 1.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