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교육179 누구를 위해 똑바로 서서 큰소리로 말해야 하나? 《콰이어트》(수전 케인)라는 책에서 "가장 효율적인 팀은 내향적인 사람과 외향적인 사람이 건전하게 섞여 있고, 리더십의 구조도 다양하다."는 글을 읽고 깜짝 놀랐다. 교육이란 끝이 없다는 걸 실감하는 순간이었다. 수십 년 간 아이들을 가르치며 내가 얼마나 큰 잘못을 저질렀는지 혼자서 가슴 아파했다. 그 책을 다 읽고 나는 이렇게 썼다. 반성문이었다. 나는 자신이 '내향적인지 외향적인지'도 잘 모르고 있다. 사람들은 모두 외향적이거나 내향적인 것이 아니라 경우에 따라 외향적이기도 하고 내향적이기도 한 것 아닐까 싶고, 얼마나 내향적인가 혹은 얼마나 외향적인가로 측정될 수도 있을 것 같았다.그렇다 해도 나는 자신이 어디에 속하는지 알 수가 없다. 나는 알쏭달쏭한, 애매한, 어정쩡한 인간일지도 모르겠다. 나는.. 2024. 12. 15. 제발 살려달라는 선생님 "시스템이 절실합니다. 교사의 손발이 다 묶여있는 것 같아요. 아이를 의자에서 일으켜 세우는 것도 교실 바깥으로 나가게 하는 것도 아동학대로 걸리는 사례를 보면서 교사는 굉장히 소극적인 대처만 할 수 있는 게 현실입니다." 『당신이 옳다』(정혜신)는 책을 읽고 인터넷 서핑을 하다가 발견한 글이다. 출처는 다음과 같다.[출처] [교사를 위한, 정혜신과 함께 하는 심리적 CPR 워크숍] 게더 타운 gather town / 정혜신 박사/ 2022.10.27.~11.24| 작성자 바람길 ※ 키워드 :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심폐 기능 소생법) 한때 교육자였던, 교사였고 교육행정가였던 나는 저 선생님을 찾아 나서고 싶었다.답을 가지고 가는 것이 아니라 일단 달려가고 싶었다.가.. 2024. 12. 14. 지금 여기에서의 사랑과 행복 젊음을 교단에 바쳤다고는 하지만 이것저것 제하고 나면 아이들을 직접 가르친 건 20년도 채 되지 않는다. 그나마 그 당시에는 부모 결손 가정이 흔하지 않아서 그런 점에서는 편한 교사 생활을 했다고 생각한다. 실제로 내가 담임한 아이들은 아버지나 어머니 혼자 아이를 키우는 경우가 거의 없었고 눈에 띄면 마음만으로라도 특별히 유념했던 것으로 기억된다. D시에 전입해서 맨 처음에 만난 아이는 아버지가 없어서였는지 자주 내게 다가왔는데 나는 그게 오히려 고마워서 지금도 그 아이의 모습이 눈에 어른거린다. '잘 살고 있겠지' '이제 초로의 할머니가 되었겠구나...' 교육부에서 오랜 세월을 보내고 마지막 5년 반 동안 교장으로 지낼 때는 여기서나 저기서나 결손가정의 아이들이 생각보다 훨씬 많았고, 그런 아이들은 예.. 2024. 6. 22. 자네, 무슨 생각으로 살아가고 있나 슈바이처에 대해서 국민학교 다닐 때부터 지금까지 잊지 않고 있는 건 아프리카 어딘가에서 병든 사람들을 치료해 주고 노벨평화상을 받았다는 것이었는데 지금까지도 그 단편적 지식은 양(量)으로나 질(質)로나 초라한 그 수준에 그대로 머물고 있다. 하다못해 인터넷 검색창에 "슈바이처"라고 넣어보면 뭔가 좀 읽을 수 있었을 것인데 어떻게 살아온 것인지 나는 그동안 동네 맛집은 자주 찾으면서도 슈바이처에 대해서는 그런 착안을 해 볼 생각이 아예 없었다. ☜ 알베르트 슈바이처(출처 : 나무위키) 슈바이처는 산업시대의 인간을 부자유하고, 집중력이 없으며, 불완전하고, "인간성을 상실한 존재"가 될 위험에 처해 있다고 규정하고, 많은 사람이 스스로 생각할 힘을 잃고 소속된 집단의 세력에 자신을 내맡긴 채 살아가고 있.. 2024. 5. 21. 바꾼다고? 싫어! 좋은 거라도 싫어! 나는 교사 시절부터 교과서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교육부에 들어가 일할 때에는 그 관심을 증폭되어 몸이 다 망가지도록 일했다.그렇게 해서 지병을 갖게 되었고, 퇴임은 내겐 그 고초의 시작이 되었고, 심할 때는 '어디 하소연할 데도 없구나' 싶었다. 오늘 낮에도 문득 옛일을 떠올리다가 '아, 그건 우리나라 역사상 내가 처음 도입한 거지' 생각했는데, 사실은 그런 것들이 한두 가지가 아니었다. 그렇지만 나는 이제 모든 걸 생각하기도 싫어졌다. 무슨 일이든 하던 대로 하면 저항이 없다. 작은 일이라도 바꾸자고 하면 거의 모든 사람이 부정적으로 받아들인다. 귀찮고, 잘못되면 책임 때문에 걱정스럽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바꾸려면 웬만한 일은 아예 지시하듯 해버려야 하고 저질러 놓고 보자는 식으로 추진해야 .. 2024. 5. 20. 강의는 시험이 필요하게 만든다. 시험은 강의가 중요하게 만든다. "네이키드퓨처"라는 책은 지난 10월에 읽었다. 그런데도 까맣게 잊고 있었다. 책의 내용이나 읽은 느낌을 아는 대로 다 써보라고 하면 나는 고려해 볼 것도 없이 낙제다. 블로그의 '임시보관함'에 들어갔다가 이 파일을 보고 '아, 이 책을 읽었지!' 했고, 책 이야기를 쓴 날짜를 확인해 봤더니 10월 17일이어서 내 기억력이 이제 바닥에 가까운 것에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이 파일을 작성해서 임시보관함에 넣어둔 것은, 내용들이 평소 생각해 온 교육 문제의 핵심이라고 생각했고, 그렇다면 내 경험이나 주장을 덧붙여 보려는 목적을 가진 것이었다. 그렇지만 그게 그리 쉽겠나 싶어서 옮겨쓴 그대로 실어두기로 했다. 다만 내가 이 책 필자의 생각에 공감한 부분의 대표적인 표현에는 색을 넣었다. .............. 2023. 11. 29. 헤르만 헤세의 수업 헤르만 헤세는 「빌헬름 셰프 주제에 의한 변주」(《책이라는 세계》)라는 글에서 이렇게 썼다. 만일 내가 교사여서 수업을 해야 한다면, 학생들에게 작문 같은 걸 시키게 된다면, 나는 아이들에게 매일 한 시간씩 뚝 떼어주며 이렇게 말하고 싶다. "얘들아, 우리가 너희들에게 가르쳐주는 것은 물론 좋은 거란다. 하지만 가끔은 우리가 정한 원칙과 진리를 한번쯤 시험 삼아 뒤집어보려무나!"라고 말이다. 아무 단어든 뒤집어 철자를 바꾸어보면, 종종 굉장한 교훈과 재미와 탁월한 착상을 던져주는 화두를 얻게 되기도 한다. 즉 그런 유희를 통해 사물에 붙여진 꼬리표가 떨어져나가고 그 사물에 대해 새롭고 경이롭게 말해주는 분위기가 형성된다. 낡은 창유리에 싱거운 색칠 장난을 하다가 비잔틴 모자이크가 나오는 것도, 끓는 찻주.. 2023. 8. 25. 재미있는 어휘력 성장 이리저리 TV 채널을 바꾸다가 '유퀴즈(유퀴즈 온 더 블럭)'에 멈췄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아직 식상하지 않습니다. '해결사'가 주제로 '문해력'을 이야기하고 있었습니다. 다른 방송으로 가려는 순간, 흥미로운 차트가 보였습니다. "자녀의 어휘력은?" 중학생 자녀에게 아래 상자에 담긴 단어의 뜻을 적게 해 보라. 세 단어 이상 정확한 뜻을 썼다면 평균 정도의 어휘력 수준인 셈이다. 상당수 중학생의 오답은 아래와 같다. 대관절 → 큰 관절 을씨년스럽다 → 욕??! 시나브로 → 신난다 개편하다 → 정말 편하다 오금 → 지하철역 이름 샌님 → 선생님의 줄임말 미덥다 → 믿음이 없다 이 프로그램은 아무리 전문가라도 혼자 이야기를 늘어놓도록 놔두지 않아서 역겹지 않습니다. 한글날만 되면 신문에 나는 이런 기사를 보.. 2023. 8. 11. 천여 마리 닭에게 이름을 붙여준 축계옹 낙양 사람 축계옹(祝鷄翁)은 시향(尸鄕) 북산 기슭에 살면서 100여 년 동안 닭을 길렀는데, 그 닭들이 저녁에는 나무 위에 홰를 틀게 하고 낮에는 놓아길렀습니다. 그는 천여 마리나 되는 닭에게 모두 이름을 붙여주었는데 어떤 한 마리를 부르면 그 닭이 즉시 달려왔습니다. 그는 또 닭과 달걀을 팔아 천여만 냥을 벌었지만 문득 돈을 그대로 두고 오(吳) 나라로 가서 양어장을 만들었고, 그 후 오산(吳山)으로 올라갔는데 그의 곁에는 항상 백학, 공작 수백 마리가 머물렀다고 합니다. 신선 설화집 《열선전》에 나오는 이야기입니다. 이십 년쯤 담임을 했는데(또 20년쯤은 교육행정) 이름 때문에 해마다 고생을 했습니다. 아이들 이름 외우기가 그렇게 어려웠습니다. 수업 중에 내가 부르고 싶은 아이를 바라보며 이름이 생.. 2023. 7. 26. "제 말뜻 아시겠습니까, 우리 형제님들, 자매님들?" 교육 현장의 갈등이 극에 달한 것 아닌가 싶고 이대로 갈 수 있겠나 싶고 이런 교육방법 말고는 없나 의구심을 갖게 된다. 세상에 널리 알려진 어느 젊은 정치가는 교사와 학부모 간의 개인적인 소통을 금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럴 수도 있을까, 어처구니가 없다. 점점 더 깊은 수렁에 빠지는 건 명약관화한 일이다. 알랭 드 보통이 색다르고 요란한 교육방법을 제안한 걸 봤다. 이걸 적용해 보자는 얘기는 아니다. 테네시 주 녹스빌의 뉴 비전 침례교회의 무대에서 등장하는 다음과 같은 신학적 주장 앞에서는 거의 저항할 엄두조차 나지 않을 것이다. "오늘 우리 중 누구도 감옥에 있지 않습니다." ("아멘, 옳습니다, 아멘, 목사님" 하고 회중이 말한다.) "주여, 자비를 베푸소서." ("아멘.") "형제님들, 자매님.. 2023. 7. 24. 수학이란 무엇인가? 하필 수학 공부가 싫다고 할 때(수학이란 본래 그런 공부인지 알 수는 없고, 수학 교육은 아이들이 너무 많이 혹은 지나치게 수학을 좋아할까 봐 일부러 따분하게 하는 것 같긴 하지만) "이런 얘기가 있지" 하고 소개해 주었더라면 싶은 이야기가 있다. 움베르토 에코의 소설 《장미의 이름》에는 윌리엄 수도사와 아드소 수련사가 수도원 본관에 있는 장서관의 구조를 파악하지 못해 몰래 잠입하고서도 우왕좌왕하는 장면이 여러 번 나온다. 이런 장면도 있다. 바늘자석 이야기에 이어서 나오는 장면이다(347). 「사부님, 그럼 가시지요. 세베리노에게는 그 기적의 돌이 있습니다. 이제 물과 물그릇과 전피만 있으면 됩니다.」 나는 흥분에서 떠들었다. 사부님은 내 어깨를 낚아챘다. 「가만……. 까닭을 모르겠다만, 나는 이 도구.. 2023. 5. 22. 교사 '선댄스'의 짝 내 제자들.. 오늘도 열심히 공부하고 있겠지? ^^ 음... 학생을 혼자 앉히는 걸 무척이나 싫어했습니다.. 싫어했다기 보단 그냥 좀 미안했죠.. 그래서 우리 반 학생 수가 홀수인 경우 한 명은 꼭 제 책상 옆에 앉혔죠.. 지금부터는 선생님 짝이라며.. 솔직히 말하면 나 역시 그걸 즐겼나 봅니다. 제 짝이 있기를.. 2022. 12. 15. 이전 1 2 3 4 ···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