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세월의 끝에 이르면 하나의 이야기로 엮이기를 기대하며 쓰는 편지

전체 글3062

"IT TOOK ME 90 YEARS TO LOOK THIS GOOD" 내 친구 김 교수가 메뉴판을 들여다보고 있습니다. "여기 오면 기분이 좋아요." '여기'란 우리 동네이기도 하고 그 카페이기도 합니다. 그는 메뉴판 들여다보는 시간의 그 여유를 좋아합니다. 매번 30분은 들여다보지만 그래봤자 뻔합니다. 살펴보고 망설이고 해 봤자 결국 스파게티나 리소토 한 가지, 피자 한 가지를 시키게 되고 우리는 그것도 다 먹지 못합니다. 그는 다만 미리 콜라를 마시며 그렇게 망설이고 고를 수 있는 시간을 즐길 뿐입니다. 지난 1월의 어느 일요일에 만났을 때는 그럴 줄 알고 내가 콜라 한 병을 미리 주문해 주었는데 얼음을 채운 그걸 마시며 이번에도 30분 이상 메뉴판을 이쪽으로 넘기고 저쪽으로 넘기고 하더니 난데없는 제안을 했습니다. "우리 스테이크 시킬까요?" "그 비싼 걸 뭐 하려고.. 2024. 2. 13.
노발리스 《파란꽃》 노발리스 Heinrich von Ofterdingen 《파란꽃》 김주연 옮김, 열림원 2020 특이한 소설이다. 낭만주의를 열고 교양소설 혹은 성장소설의 효시가 되었다고 한다. 줄거리 부분을 발췌해 보았다(이렇게 하는 건 처음이다). 하인리히는 파란꽃 꿈을 꾼다. 그 꽃 한가운데에 아름다운 처녀의 얼굴이 나타나 미소 짓는다. 그 모습은 하인리히에게 행복에 가득 찬 미래를 약속하는 듯했다. 하인리히는 그 처녀를 찾아 길을 떠난다. 세상은 다양하고 거칠었다. 상인, 군인도 만나고, 세상을 등지고 살아가는 은둔자도 만났다. 모든 것이 새로움, 찬탄과 경이의 대상이었다. 그 편력을 통해서 하인리히는 그때까지의 온실 속과 같은 성장 과정에서 벗어나 갖가지 체험을 쌓아 간다. 그것은 한 인간으로서의 발전 과정이었다.. 2024. 2. 12.
김영미 《맑고 높은 나의 이마》 김영미 《맑고 높은 나의 이마》 아침달 2019 묘비들은 이마를 높이 들고 여름엔 해가 길어 퇴근길에도 환했다 일산부터 합정까지 버스 창에 머리를 기대면 한강을 따라 물의 조각이 빛났다 겨울엔 빛의 조각을 따라 내 얼굴이 떠다녔는데 여름엔 그 얼굴이 보이지 않아 좋았다 유람선을 탄 것처럼 버스의 아래가 찰랑이고 지는 해가 물속을 향해 차선을 바꿨다 붉고 따뜻한 나의 아래 버스가 합정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외국인묘지가 마중 나왔다 작은 언덕에 박힌 묘비들은 이마를 높이 들고 석양을 빛냈다 가지런히 손등을 포개고 서 있는 미어캣들과 안녕, 안녕 저렇게 다소곳한 죽음의 인사라니 귀가를 알리는 표지석을 지날 때마다 나의 집은 언제나 멀어졌고 또 언제나 가까워졌다 그리고 그중 맑고 높은 나의 이마 수문으로 몰려드.. 2024. 2. 11.
"오랜만에 뵙는 부모님께 꼭 여쭤보세요" 병원에서 보내는 뉴스레터에 단란해 보이는 가족사진과 함께 이런 제목이 보였다. "오랜만에 뵙는 부모님께 꼭 여쭤보세요" 설날 부모 방문을 감안했겠지. 그렇다고 "얘야, 내게 이런 것 좀 물어봐다오" 하는 것도 우습고 뭔가 보기나 보자 싶었다. 명절이 되면 본의 아니게 부모가 생존한 사람들에게 물질적이거나 정신적인 부담을 주는 일들이 흔히 눈에 띈다(부모가 세상을 떠난 사람은 그런 부담이 전혀 없다는 것도 아니다). 거의 돈 때문이다. 전문(前文)은 이렇다. 부모님과 따로 떨어져 사는 경우, 매일매일 부모님의 건강을 챙기긴 쉽지 않다. 때문에 생신, 명절 같이 고향을 찾는 날은 부모님의 건강을 점검하기에 더없이 좋은 기회이다. 부모님의 건강을 지켜드리기 위한 가장 쉽고 중요한 방법은 부모님의 일상생활에 관.. 2024. 2. 9.
갑진년(甲辰年) 용(龍)띠 이 블로그 '유입 키워드'만 봐도 "갑진년은 언제부터인가?"를 알고 싶은 사람이 여전히 많습니다. 설날이 지나가고 그래야 줄어들고 사라지겠지요. 지난 1월 17일 "갑진년(甲辰年)은 언제부터죠?"라는 글에 '입춘(立春)부터'라고 하더라는 내용을 썼지만 그걸 알게 되기까지는 참 답답하긴 했었습니다. "갑진년은 언제부터죠?" ☞ https://blueletter01.tistory.com/7640722 달력을 만드는 분들이 이런 걸 분명히 해서 착오와 혼란이 없도록 해주면 좋겠습니다. 요즘은 갑진년생(生)이니 을사년생이니 하는 경우는 많이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무슨 띠인가에 대한 관심이 없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그러니까 지난 입춘부터 태어난 아기는 용띠가 되겠지요? 아이들에게도 그건 분명히 알려주어야 할 것.. 2024. 2. 8.
박상순 「레몬 릴리」 레몬 릴리 박상순 지난여름의 카페는 문을 닫았다. 나는 겨울 속으로 들어갔다. 겨울 속을 걷는다. 고원에는 꽃이 피어 있다. 들어설 때는 겨울이었는데, 겨울비가 내렸는데, 어느새 나는 고원에 있다. 나무 한 그루 없는 풀밭뿐이다. 하늘만 보인다. 풀빛이 고원을 감싼다. 햇빛은 따가운데 바람은 제법 차갑다. 바람이 차가워서 돋아난 풀들은 낮게 드러누워 있다. 고원이라고 해야 할까. 초원이라고 해야 할까. 높은 산자락에는 비스듬히 풀빛만 가득하다. 멀리 보이는 희미한 세상은 까마득한 아래쪽에 있다. 이렇게 넓으니 초원이라고 해야 할까. 이렇게 높으니 고원이라고 해야 할까. 이렇게 먼 곳이니 세상의 바깥이라고 해야 할까. 가을 강을 건너서 겨울 속으로 왔는데, 꽃 피는 초원이다. 풀빛 사이로 군데군데 노란 꽃.. 2024. 2. 7.
임선우(단편) 「프랑스식 냄비 요리」 임선우(소설) 「프랑스식 냄비 요리」 『현대문학』2024년 2월호 놀라운 이야기꾼을 발견했다. 한때는 단이 내 곁에서 먼저 잠들어버리면, 단의 잠 속으로 따라 들어가고 싶었다. 눈을 감으면 드러나는 어둠 속에서 길을 찾아 단의 꿈에 잠입하고 싶었다. 단의 무의식 속 풍경을 훔쳐보고, 그 안에서 하룻밤을 꼬박 살아보고 싶었다. 그래서 다음 날 아침이면 단을 더욱 잘 이해하는 사람으로 눈을 뜨고 싶었다. 대학을 졸업하고 시인이 된 단은, 호텔 베이커리에서 새벽부터 밤늦게까지 일하는 '나'의 첫 연인이었고 6년을 함께했는데 그 단이 어느 날 수영장 물에 흐물흐물 녹아버렸다. 단이 눈앞에서 녹아내렸을 때는 왜? 라는 의문이 들 수밖에 없었다. 왜? 왜? 왜 지금 이 시점에 녹아버린 건데? 수영장 한 달 이용권을.. 2024. 2. 6.
"결국 입춘" 어제 한 불친이 제 블로그에 와서 "결국 입춘"이라고 했습니다. ☞ https://blueletter01.tistory.com/7640744 겨울이 가고 봄이 오고 점점 더 나이들어 가고 그러는 세월에 대해 딱 넉 자로 갈무리한 그 표현이 마음에 들었습니다. 그 답글의 심사는 만약 내년 봄을 맞이할 수 있다면 더욱 짙어질 것입니다. 그나저나 갑진년은 입춘부터라지요? 그러니까 어제부터 용띠 아기가 태어나는 거죠. 2024. 2. 5.
냉면 시키면 불맛 나는 불고기도 주는 집 아내와 함께 식품가게에 들렀다가 오는 길에 자그마한 그 냉면집이 눈에 띄어서 김 교수 얘기를 꺼냈다. "저 가게 김 교수가 혼자 드나들던 집이야." "나도 가봤어. 그저 그래." "김 교수는 맛있다던데? 몇 번이나 얘기했어. 냉면 시키면 불맛 나는 불고기도 준다면서." "친구들하고 가봤는데, 별로던데..." "냉면이나 불고기나 평생 안 먹어도 섭섭해하지 않을 사람이니 어느 가게엘 가면 맛있다고 할까?" "......" 정곡을 찔렀기 때문이겠지? 아내는 대답하지 않았다. 나는 그게 탈이다. 아이들과 시험문제 풀이를 할 때처럼 매사에 정곡을 찔러야 직성이 풀린다. 죽을 때는 이 성질머리를 고쳐서 갖고 갈 수 있을까? 별수 없이 그냥 갖고 가겠지? "그 버릇 개 주나?"라는 속담도 있으니까. 인간은 고쳐서 쓸.. 2024. 2. 3.
'이야기'의 대가 헤로도토스 매일 아침 수많은 것들이 방송, 인터넷, 신문 등으로 전해지지만 기억의 창고에 들어가지 않는 건 무엇 때문일까? 《서사의 위기》라는 책을 보면, 그런 일들이 이야기가 아니라 정보에 사용되기 때문이란다. 그 책에는 이런 이야기가 들어 있었다.* 벤야민은 역사가 헤로도토스 Herodotos를 이야기의 대가로 예찬했다. 헤로도토스의 이야기하기 예술을 잘 나타내는 예로, 사메니투스 왕 일화가 있다. 이집트의 왕 사메니투스가 페르시아 왕 캄비네스에게 패배해 붙잡혔을 때, 페르시아의 개선 행진을 억지로 지켜봐야 하는 굴욕을 당했다. 붙잡힌 자기 딸이 하녀가 되어 지나가는 광경도 목도해야만 했다. 길가에 서 있는 모든 이집트인이 슬피 우는 동안 사메니투스 왕은 아무 말도 없이 눈을 바닥에 고정한 채 가만히 서 있기만.. 2024. 2. 2.
"자네 말이 참말인가?" 김원길 시인의 책《안동의 해학》에서 「자네 말이 참말인가?」라는 글을 읽고 옛 생각이 나서 한참 앉아 있었다. 지나고 나니까 참 좋은 날들이었다. 구봉이가 나이 마흔이 넘도록 장가를 못 간 것은 꼭히 얼굴의 곰보 자국 때문이라고만 할 수는 없었다. 그러나 짚신도 짝이 있다고 드디어 동갑 또래 노처녀에게 장가를 가게 된 것이다. 그런데 친구들과 어울려 놀길 좋아하던 구봉이가 장가를 가고부터는 사람이 아주 달라진 것이다. 전엔 제일 늦게까지 술자리를 못 떴는데 요즘은 술도 끊고 화투를 치다 말고는 슬그머니 사라지거나 아예 초저녁부터 나타나지 않을 때가 많았다. 어느 날 짓궂은 명출이가 화투장을 돌리면서 슬쩍 말했다. "오늘 장터에 갔다가 들었는데 예안 주재소 순사가 여자하고 너무 붙어 지내는 사람은 일일이 .. 2024. 1. 31.
글을 쓴다는 것 : 존 러스킨의 사고 존 러스킨은 《건축의 일곱 등불》이라는 책의 두 번째 장 「진실의 등불 The Lamp of Truth」을 이렇게 시작했다. 인간의 덕德과 인간이 삶을 영위하는 지구의 개명開明, enlightenment 사이에는 닮은 점이 있다. 영역의 경계에 다가갈수록 점차 활력이 떨어지고, 두 요소 대립으로 인한 근본적인 분리가 일어난다는 점이다. 바로 해질녘의 어스름과 같이 빛과 어둠이 만날 때이다. 세상이 밤으로 말려 들어가는 그곳, 선보다는 넓은 띠와 같은 그것이 덕의 묘한 어스름이다. 어둑어둑해서 분간이 되지 않는 땅, 그곳에서 열정은 조급함이 되고, 절제는 가혹함이 되며, 정의는 잔인함이 되고, 믿음은 맹신이 된다. 그리고 제각기 어둠의 그늘로 모습을 감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점차 침침함이 더해지면, 우리.. 2024. 1.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