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세월의 끝에 이르면 하나의 이야기로 엮이기를 기대하며 쓰는 편지

전체 글3140

짝을 위한 애도 어젯밤에 방충망 안쪽에 붙어 있는 놈을 살해했다. 살려줄까 하다가 방충망을 열고 내보내는 건 다른 벌레를 불러들이는 꼴이어서 이내 단념하고 말았던 것이다.그때도 저놈은 저렇게 붙어 있었지만 안으로 들어와 있다가 내게 살해당한 놈과 커플일 거라는 건 생각하지도 않았다.방충망 안쪽에 조용히 엎드려 있는 놈을 보고 생각한 것은, 어쩌다가 방충망 안쪽에 놓인 알이 여름이 되자 성충이 되었지만 뚫고 나갈 수가 없어서 날개 한번 써먹지 못하는 신세가 된 것인가 싶었었는데 오늘밤에는 문득 어젯밤에 살해된 그놈이 저놈과 한쌍이 아닐까 싶었고, 자동차 바퀴에 깔려 죽은 짝을 떠나지 못하고 그렇게 죽은 짝의 시체 주변을 맴돌던 그 비둘기를 떠올리게 되었고, 그러자 저놈과 어젯밤에 내가 살해한 그놈이 분명 한쌍일 것 같은 .. 2024. 6. 16.
김연덕 「브로치」 브로치  김연덕  집안의 여자 어른이 갖고 있던 장신구의 이미지를 따라 살게 되는 삶은 얼마나 따뜻하고 끔찍한가 세로로 길게 늘어져 있던안방의 직각 거울할머니는 마음 한쪽을 깊이빼앗긴 책을 읽는 것처럼그 책을 아기로 다루는 것처럼 거울 앞에 앉아 있곤 했고 안방의 커튼은 낮에도 늘 어둡게 늘어져 있어 그 방에서 유일하게 빛나는 것이라곤 할머니의 거울과 유리그릇그릇 안의 크고 작은 브로치들이었다 여러 색의 원석이 도금된 세찬 형태의 브로치들은 꼭 그릇 안에서 잠든 곤충처럼 보였지할머니는 외출 때를 제외하고 내성적인 그 곤충들을 잘 달지는 않았지만 할머니와 거울이 나누던 길고따뜻하고 지루한 대화에 브로치들도 종종 자기들만의 빛으로 참여했던 것 같다 커튼 밖 세계에서 빛나고 있는 빛을나눌 곳이라곤 안쪽이 적나.. 2024. 6. 13.
이서수(소설) 「몸과 비밀들」 이서수 「몸과 비밀들」《현대문학》2024년 6월호      처음엔 요영의 말이 어떤 의도를 담고 있는지 몰랐습니다. 그로부터 두 달 뒤 요영의 집에 초대받아 내밀한 고백을 들었을 때에야 비로소 깨달았지요. 요영은 성별을 구별하는 태도에 큰 반발심을 갖고 있었어요. 저는 그런 생각을 갖고 이 사회에서 살아가려면 상당히 불편하겠다고 대꾸했지만, 샤워를 마치고 돌아와 요영의 곁에 누웠을 땐 성별을 구별하지 않더라도 살아가는 데 별다른 지장이 없을 거라는 생각이 들기 시작했습니다. 모두가 똑같은 옷을 입고 있다면 종류를 생각해볼 것도 없이 그저 '옷'을 입고 있는 것이나 다름없게 느껴질 거라고 상상했지요. 제 말에 요영은 고개를 저었습니다.옷이 없는 상황에 더 가까워. 모두가 옷을 입고 있지 않아서 어떤 종류의.. 2024. 6. 13.
아야베 츠네오 편저 《문화인류학의 명저 50》 아야베 츠네오 편저 《문화인류학의 명저 50》김인호 옮김, 자작나무 1999      일본 학자의 저서가 많이 포함되어 있고 그래서 이 편저의 신뢰도가 낮든 말든 그걸 문제 삼지 말고 일단 다 섭렵해 버려야 한다는 생각을 했었다.무모하고 아득한 일이 아닐 수 없다.그렇지만 이런 걸 가지고 허전해하거나 슬퍼하지 않기로 했다.포기한 것이 아니라, 단 몇 권이라도 읽을 수 있었던 것을 다행으로 여기기로 했다.  제1장 초창기 문화인류학의 고전원시문화·에드워드 타일러고대사회 ·루이스 헨리 모건황금가지 ·제임스 프레이저미개의 비밀결사 ·허턴 웹스터통과의례 ·아르놀트 반 게넙오른손의 우월성 ·로베르 에르츠미개사회의 사유 ·루시앙 레비 브륄종교생활의 원초형태 ·에밀 뒤르켐 제2장 근대 인류학의 계보언어 ·에드워드 사.. 2024. 6. 11.
산딸기 나무 그냥두기 이런 나무를 관목이라고 할까? 키는 그리 크지 않고 옆으로, 옆으로 번지는 나무.나는 관목과 교목을 구별하기가 어렵고, 물푸레나무가 뭔지 모른다. 둔해서 그렇겠지? L 시인이 이 사진을 주었다.산딸기가 주체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걸 발견하고 가슴이 울렁거리는 걸 느끼던 어릴 적 일이 떠올랐다. 그대로 스러져갈 기억이었을 것이다.저절로 솟아난 자그마한 산딸기 묘목을 그대로 두기로 했다. 내가 없는 날, 누군가 보고, 와! 산딸기가 많이도 달렸네, 하겠지. 2024. 6. 10.
레비-스트로스 《야생의 사고》 레비-스트로스 《야생의 사고》안정남 옮김, 한길사 2013     《슬픈 열대》가 세상 곳곳의 오지를 찾아다니며 쓴 책으로, 내 동기들은 장관도 하고 그러면서 잘 사는데 나는 이 꼴로 이렇게 돌아다닌다며 한탄한 부분을 보고 나자, 읽던 책을 들고 한참을 생각하거나 더러 눈물을 글썽거리며 읽었다면, 이 책《야생의 사고》는 그렇게 할 수만 있다면 나도 철학부터 공부하거나 레비-스트로스의 자취가 남은 곳을 찾아가 문화인류학을 전공하고 싶은 마음을 갖게 한 책이었다.  동식물의 종(種)이나 변종(變種)에 대하여는 세밀하게 분류하여 명칭을 부여할 줄 알면서도 '나무'라든지 '동물'이라든지 하는 개념들을 표현하는 용어는 구비하지 못한 언어들이 있다. 이러한 언어를 무시하는 풍조는 오래되었다. 이러한 예들은 원시인들.. 2024. 6. 9.
안중경 「노랑」 노랑  안중경  너에게 노랑을 준다.햇빛에 부서지는 생강나무 꽃그 노랑을 준다.어린 시절을 겹겹이 덮고 있는 모과의노랑을 준다.혀 위에서 가루로 녹아 흐르는 삶은 달걀의노랑을 준다.코 옆에서 입술 아래로 접혀 있던 창백한노랑을 너에게 돌려준다.매일 밤 나를 바라보던 달의 눈동자그 노랑을 준다.잠자리 꼬리에서 흘러내리던 동그란 알갱이의노랑을 준다.소나기가 그치고 난 후 하늘에 번졌던노랑을 준다.지붕의 테두리를 반듯하게 금 긋던그 노랑을 준다.흰 밥알 사이로 스며들던 시금치 된장국의그 노랑을 준다.삼각형으로 조각나던 어린 새의 울음소리그 노랑을 준다.너에게 노랑을 준다.   ............................................안중경  1972년 춘천 출생. 서울대 서양화과 및 동 .. 2024. 6. 7.
냇물아, 흘러 흘러... 생각은 단순해져서 마침내 실낱같아지고 멀리, 더 멀리, 돌아올 수 없을 듯한 곳까지 떠내려간다.아득해서 돌아올 수 없어도 좋을 곳으로 떠나가버린다.영영 사라져 버릴 수도 있을까 생각하며 일어선다. 2024. 6. 5.
엄마, 엄마, 엄마, 엄마 2024년 6월 4일 화요일 맑음. 엄마는 팔을 뻗으며 다가왔다.생시보다 눈동자가 뚜렷해보이고 눈가가 촉촉했다.사이를 두면 안 될 것 같아서 연이어 네 번 "엄마"를 부르고 두 손으로 엄마의 두 손을 잡았다.아쉽지만 그게 끝이었다.손을 잡으며 잠에서 깨어나버렸고, 누운 채 엄마를 생각했다.우리는 52년 전에 영영 헤어졌다. 2024. 6. 4.
문봄(동시집) 《폰드로메다 별에서 오는 텔레파시》 ② 문봄(동시집) 《폰드로메다 별에서 오는 텔레파시》②홍성지 그림, 상상 2023   내가 읽은 《폰드로메다 별에서 온 텔레파시》              ☞ https://blueletter01.tistory.com/7640572       고맙습니다, 그 봄여름가을겨울날들의 모모...... 2024. 6. 3.
쇼펜하우어의 후배들 '윤리' 시간이었을까? 고등학교 다닐 때 쇼펜하우어 이야기를 들었다. 그때 우리는 좀 비관적인 급우를 보면 "너 쇼펜하우어 후배냐?"고 묻고 또 웃었다. 그것으로 끝이었다. 끝이란 건 쇼펜하우어와의 인연 말이다. 굳이 읽어봐야 할 필요도 없었고, 그럴 여가도 없었다. 그렇게 살아도 그것으로 인한 애로 사항은 없기 때문이었고, 그게 우리 한국교육의 장점이고 단점이라고 생각했다.☞ 사진은 위키나무에서 가져왔음. 『캉디드』에서 볼테르는 매우 유쾌한 방식으로 낙관주의에 대항하여 싸운다. 바이런은 『카인』에서 그 특유의 비극적 방식으로 싸웠다. 헤로도토스는 트라키아인들이 새 생명이 태어나면 한탄하고, 사람이 죽으면 즐거워했다고 보고 한다. 플루타르코스 역시 아름다운 시구로 같은 것을 표현한다. "태어난 자를 불쌍.. 2024. 6. 2.
그 교실에서 말없이 나를 바라보던 숙에게 (2024.5.31) 숙아! 벌써 오십 년이 다 되었지? 아침마다 우리가 그 교실에서 만나던 날들… 넌 습관적으로 내 표정을 살폈지. 그 모습이 왜 잊히지 않는지… 성적이 좋지 않았던 넌 6학년 때에도 내내 그대로였어. 아이들은 웃거나 놀리지도 않고 그냥 ‘꼴찌’라고만 했지. 당연한 일이어서 비웃거나 놀리거나 할 일이 아니라고 여겼겠지. 넌 주눅이 들어 있었어. 학교는 주눅이 드는 곳? 네가 처음부터 내 표정을 살펴보며 지낸 건 학교에 주눅이 들어서였던 것이 분명해. 담임이란 언제 어떤 언짢은 소리를 할지 모르는 존재였겠지. 너의 그 표정은 내내 변하지 않았어. 졸업하고는 마음이 편해졌을까? 주눅 들지 않고 살아갈 수 있었을까? 그렇지만 일찌감치 사회로 나갔고 꼬박꼬박 학력(學歷)을 묻는 이 사회 어디서나 ‘초등학교 졸업’이.. 2024. 5.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