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세월의 끝에 이르면 하나의 이야기로 엮이기를 기대하며 쓰는 편지

현대문학59

천양희 「아침에 생각하다」 아침에 생각하다 천양희 아침에 눈을 뜨면 시를 쓰지 않고는 살아 있는 이유를 찾지 못할 때 시를 쓰라는 릴케가 생각나고 나는 시작時作의 출발부터 시인을 포기했다 나에게 시인이 없어졌을 때 시를 쓰기 시작했다는 김수영이 생각난다 아침에 눈을 뜨면 문학에서의 정치는 연주회장에 울리는 총소리와 같다는 스탕달이 생각나고 우리의 열망이 우리의 가능성이라는 새뮤얼 존슨이 생각난다 아침에 눈을 뜨면 생각은 깊게 생활은 단순하게 하라는 워즈워스가 생각나고 오늘 나는 아름다움에 인사할 줄 안다는 랭보가 생각난다 아침에 눈을 뜨면 이 세상 도처에서 쉴 곳을 찾아보았으나 마침내 찾아낸 책이 있는 구석방보다 나은 곳은 없더라는 움베르트 에코가 생각나고 나는 정의를 믿는다 그러나 정의에 앞서 어머니를 옹호한다는 카뮈가 생각난다.. 2023. 10. 22.
위수정(단편소설) 「없음으로」 위수정(단편소설) 「없음으로」 『현대문학』 2023년 10월호 위수정이라는 소설가가 있다. 프로필을 보면 '1977년 부산 출생, 동국대 국문과 졸업, 2017년 『동아일보』 등단, 소설집 『은의 세계』, 〈김유정작가상〉 수상'으로 되어 있다. 이 단편 말고 전에도 이 작가의 단편을 읽은 적이 있었던 것 같다. 순식간에 읽었다. 다 그럴 것 같은 장면들로 이어진다. 평론가들은 평론을 하고 나는 이 소설을 다 옮겨 쓸 수는 없어서 두 군데를 옮겨놓기로 했다. 이 부분을 보면 언제라도 생각날 것 같았다. 화자 세진이는, 애인을 죽여서 뒷마당에 묻은 살인자 세준과 쌍둥이로 태어난 누나다. 누군가 담벼락에 빨간 래커로 낙서를 해놓았다. 사형하라! 나는 급히 대문을 열고 들어가 문을 잠갔다. 전화기를 들고 안절부.. 2023. 10. 15.
송섬(단편소설) 「남들이 못 보는 것」 송섬(단편소설) 「남들이 못 보는 것」 《현대문학》 2023년 8월호 유령을 볼 수 있다. 유령들은 대개 있는 듯 없는 듯하지만 이번 여자 유령은 어디든 따라다니며 그만 죽어버리라고, 그렇게 사느니 죽는 게 낫다고 부추긴다. 집에선 두들겨 맞고 알바나 하고 그러지 말고 아예 죽어버리면 더 좋다고 이문동 126-39번지 자신이 살던 방 그곳에 가서 죽으면 된다고 비번까지 알려준다. A여고 3학년이고 공부할 시간도 없지만 학교 수업만은 열심히 들어서 간호대에 가기로 했고 그만한 성적은 나오고 있다. 집안 사정은 좋지 않다. 어머니는 야간작업도 마다하지 않는데 알콜 중독 아버지는 허구한 날 술타령이고 걸리면 꼬투리를 잡아서 매타작이다. 마침내 그 방을 찾아간다. 유령이 살던 원룸은 그의 말대로 비어 있었다. .. 2023. 8. 23.
직박구리에게 난 얼마 전까지만 해도 너희들 존재조차 몰랐었어. 관심이 없었던 거지. 아직 날이 채 밝지도 않은 새벽부터 꽥꽥 쫵쫵 악착같이 떠들어대는 녀석들, '행동대장'이 꽥꽥거리며 지휘하는 대로 무리를 지어 다니며 달콤한 열매가 달린 나무를 점령하는 것들, 익은 열매를 거들낸 다음엔 익지 않은 것조차 감미만 돌면 흔적도 남기지 않고 먹어치우는 것들, 방조망 아래로 기어들어가서라도 실컷 따먹고는 나오지를 못해 푸드덕거리다가 꺼내주면 고마워하지도 않고 달아나는 것들, 꺼내줄 사람이 없으면 그 자리에서 말라죽어버리고 날개와 깃털, 해골만 남기는 것들, 이쪽저쪽으로 휙 휙 바람을 일으키며 위협 비상을 하는 것들, 이(李) 상무는 산까치로 부르지만 뭘로 봐도 직박구리가 분명한 것들, 뭔가 좋아할 만한 구석을 가지고 있겠지.. 2023. 8. 17.
임승유 「세 사람」 세 사람 임승유 그녀는 모호를 알았고 모호는 즐거운 나의 집이라는 노래를 만들어 불렀던 그 모호다. 그녀는 모호가 모자 캡 들어 올리는 방법을 무척이나 좋아했으며 한번은 어떻게 들어 올리는지 설명하려고 했는데 그렇게 할 수 없었다. 그녀가 한 번 더 해보라고 했을 때 모호는 어떻게 그렇게 하는지 몰랐고 그냥 구운 은행을 집어 먹는 수밖에. 모호가 시를 도대체 어떻게 완성하는 겁니까 물어봐서 글쎄요 문장이 다음 문장을 데려오는 것 같아요 말했다가 우와 문장이 문장을 데려온대 그렇지 멜로디가 다음 멜로디를 데려오는 거지 우리는 와르르 웃었다. 이후로 다른 건 기억이 안 나지만 모호와 내가 밖에 나갔다가 들어왔을 때 모호가 의자에 앉으면서 무의식중에 모자 캡을 들어 올렸고 그것이야말로 그녀가 정말 좋아하는 것.. 2023. 8. 16.
사이먼 후지와라 씨에게 후지와라 씨!이번달 《현대문학》표지에서 후지와라 씨의 작품을 봤습니다. 피카소 그림은 아니고, 아니라 하기도 그렇고, 이건 희한한 패러디가 아닌가 싶었습니다.'한번 장난을 하자는 것이었을까? 그럴 리 없는데...'미안합니다. 이 월간지는 우리나라 굴지의 월간 문학지여서 표지 그림을 그리 가볍게 선정할 리가 없거든요. 잘은 몰라도 창간호부터 지난달 823호까지의 표지 구성을 생각해 보면 그게 그리 간단한 문제가 아니라는 걸 알 수 있거든요. 그래, 그렇긴 하지만 무슨 의미가 있겠지... 하고 책을 읽어가며 군데군데 들어 있는 작품들을 살펴보았습니다.이상하지, 지금까지 이 월간지에서 본 다른 표지화 작가의 작품들을 감상할 때보다 눈길이 오래 머물곤 했습니다. 작품마다 어디서 본 것 같은 기시감을 주면.. 2023. 8. 13.
이희형 「플랫폼」 플랫폼 이희형 나는 우산을 들고 승강장에 서 있습니다 오늘 저녁엔 제사가 있었습니다 이곳엔 비가 오고 있고 반대편에서는 눈이 오고 있습니다 나는 검정 장우산을 썼습니다 그게 어른스러운 것 같다고 생각했습니다 천천히 쌓이는 눈을 지켜보다가 전광판에 양쪽 열차가 모두 지연되고 있다는 알림이 뜬 것을 보았습니다 귓가에서 빗소리가 터지고 있습니다 반대편 승강장에서 사람들이 모여들고 장갑과 목도리를 끼고 모두 누군가의 손을 잡고서 먼 곳에서 다가오는 열차의 소리를 듣고 있습니다 내가 서 있는 곳에서는 아무도 보이지 않았습니다 아무도 가지 않는 곳을 내가 가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다가오는 열차가 어느새 승강장 앞에 섰습니다 사람들이 분주히 열차에 오릅니다 정해진 자리에 앉는 사람들이 흐릿하게 보이고 열차가 사라지.. 2023. 7. 23.
이설야 「시칠리아, 소금이 왔다」 시칠리아, 소금이 왔다 이설야 소금이 왔다. 시칠리아 트라파니 소금이 바람과 함께 도착했다. 시칠리아 염전의 염부들 혈관엔 붉은 피 대신 소금이 흐른다지. 근해에 나갔던 시칠리아 염부들 혈관엔 물고기들이 헤엄쳐 온 푸른 파도와 흰 포말이 켜켜이 피어오르겠지. 조개무덤에서 나온 패각 조각이 산산조각 난 채 수억 년 빛나던 해파리들의 춤을 추겠지. 혓바닥을 감은 미역귀들의 노래, 천천히 듣다 사라져 간 시간들도 함께 흐르겠지. 토마토와 양파를 기르는 농부들 혈관에는 붉은 흙에 떨어지던 땀방울, 바람에 씻기던 땀방울이 소금 되어 흐르겠지. 검은 후춧가루와 흰 후춧가루가 흐를지도 몰라. 노을처럼 번지는 슬픔의 가루들로 식탁은 튼튼한 다리들을 키우겠지. 원형극장을 짓기 위해 바위를 깎고 돌을 나르고 동굴을 파던 .. 2023. 6. 6.
강화길 「풀업」 강화길(단편소설) 「풀업」 《현대문학》 2022년 11월호 굳이 세월이라 할 것도 없이 세상은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걸 실감합니다. 사랑과 연대로만 이야기해야 옳던 가족 이데올로기조차 해체되고 엷어지고 있는 걸 모른 채(인정하기 싫은 채, 인정할 수가 없는 채) 살았습니다. 「풀업」이란 소설에서 두 군데를 옮겨 썼습니다. "미수야." 그간 지수는 이렇게 진지하고 무거운 목소리로 동생의 이름을 불러본 적이 없었다. 그 때문인지 미수 역시 조금 당황한 듯했다. "넌 내가 어떻게 했으면 좋겠니? 계속 엄마 집에 얹혀살았으면 좋겠니? 아니면 독립해서 잘 살았으면 좋겠니? 아니면 그 어느 것도 선택하지 못한 채 어정쩡하게 살아갔으면 좋겠니?" "지금 무슨 소리 하는 거야? 왜 그래?" "있잖아 미수야." 아주 오랫.. 2023. 5. 24.
이주혜(단편소설) 〈이소 중입니다〉 이주혜(단편소설) 〈이소 중입니다〉 《현대문학》 2023년 5월호 이렇게 시작되는 소설이다. 그 여름 그들은 육지 끝에 당도해 한낮에 배추씨를 심고 밤이 내리면 해변에 나가 큰 소리로 시집을 읽을 것이다. 그들이 고른 시집은 앤 카슨의 『빨강의 자서전』이나 김영미의 『맑고 높은 나의 이마』일 것이다. 앤 섹스턴이나 실비아 플라스의 시집은 고르지 않을 것이다. 그들은 살아 있는 시인들의 시부터 읽을 것이다. 같은 이유로 그들은 미즈노 루리코와 마리나 츠베타예바의 시집을 육지 끝까지 가져가지는 않을 것이다. 그들이 이 여성 시인들의 시를 몹시 사랑하고, 특히 한 시인의 시집 제목은 무려 '끝의 시'이며 또 다른 시인의 시집에는 "그렇게 짧은 여름의 끝에 그이는 죽었다"*와 같은 아름다운 문장이 실려 있는데도.. 2023. 5. 19.
히라노 게이치로 《본심》 히라노 게이치로 平野啓一郞 《본심》 양윤옥 옮김, 현대문학 2023년 2월호 "어머님의 VF(virtual figure)를 제작해 달라는 말씀이시군요." "네." "VF에 관해서는 대략 알고 계십니까?" "아마도 일반적인 상식 정도밖에는......" "가상공간 안에 인간을 만드는 것이에요. 모델이 있는 경우와 완전한 가공의 인물인 경우, 두 가지가 있습니다. 이시카와 시쿠야 씨의 경우에는 모델이 있는 쪽을 의뢰해 주셨네요. 겉모습은 실제 사람과 전혀 구별이 안 될 정도예요. 이를테면 저의 VF와 저 자신이 가상공간에서 이시카와 씨를 만나더라도 어느 쪽이 실물인지 분명 구별을 못 하실 거예요." "그렇게까지 똑같아요?" "이따가 보여드리겠지만 그 점에 관해서는 믿어주셔도 좋습니다. 말을 건네면 아주 자연스.. 2023. 3. 13.
안규철 《아홉 마리 금붕어와 먼 곳의 물》 안규철 《아홉 마리 금붕어와 먼 곳의 물》 현대문학 2013 연필, 먹, 펜 그림과 에세이 50여 편을 엮은 책이다. 그림 에세이집? 무심코 보는 사물로써 다른 세상을 보여준다. 그래서 나는 쉰 가지 다른 세상을 보았다. 그렇다고 이제 다른 세상을 살아갈 수 있는 건 아니다. 다만 그의 세상을 엿보는 것이 좋았다. 월간《현대문학》에 연재된 작품들이다. 이미 본봤는데도 처음 보는 것처럼 읽었다. 그러니까 다음에 보면 또 다른 세상을 보게 되겠지? 이 책을 '다시 읽고 싶은 책' 코너에 놓아둘 것이다. 어린 시절 창가에서 나는 또래들보다 한 해 먼저 학교에 들어갔다. 그러느라로 부모님은 호적을 고쳐 내 생일을 일곱 달이나 앞당겼다. 늦게 본 자식을 빨리 키워야겠다는 조바심 때문이었다. 그 덕에 나는 나보다 .. 2023. 3.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