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세월의 끝에 이르면 하나의 이야기로 엮이기를 기대하며 쓰는 편지

책 보기의 즐거움776

알베르 코엔 《내 어머니의 책》 알베르 코엔 《내 어머니의 책》조광희 옮김, 현대문학 2002      가엾은 엄마, 이 세상의 기쁨을 철저하게 박탈당했던 엄마,엄마, 당신이 준 내 손에 입을 맞출 수밖에 없어요.어쩔 수 없이 벌써 푸른 반점이 나타나기 시작하던, 그 작은 손. 사랑하는 엄마,그 서투른 성녀─자신이 성녀임을 알지도 못하는─아, 나의 수호신, 엄마, 내 사랑하는 딸이여!오, 내 잃어버린 젊은 시절인 엄마.오직 한 사람뿐인 나의 유일한 간호원,오 당신, 유일한 사람, 어머니, 내 어머니 그리고 모든 사람들의 어머니, 우리 어머니,내 열 살 적 예쁘던 엄마, 이제는 거의 해골로 변한 그 엄마, 천천히 흘러내리는 내 눈물에도 무심하고, 귀먹고 무감각한 내 엄마,여왕폐하,당신들, 모든 나라의 어머니들, 내 어머니의 자매인 당신들.. 2024. 11. 26.
종교의 아름다움과 무서움에 관하여 다치바나 다카시는 《사색기행思索紀行》에서 종교는 지극히 아름답기도 하지만 두렵기도 하다는 것이 극명한 대조를 이루는 글을 써놓았다.우리가 흔히 접하는 종교 이야기가 아니어서 좀 편한 마음으로 옮겨 썼다.  러시아에 처음 그리스정교를 도입한 것은 10세기의 키예프 대공 블라디미르인데, 그는 그때까지 일반적으로 믿어 오던 러시아의 토착 민속종교를 버리고 어떤 종교든 세계종교에 귀의하자고 생각했다. 그래서 어떤 종교가 참된 종교인지를 알아보려고, 심복을 파견하여 이슬람교, 가톨릭, 그리스정교를 차례차례 돌아보며 조사하게 했다. 조사를 마치고 돌아온 심복은 그리스정교를 제일 좋게 평가했다. 그는 보고를 하면서 그리스정교의 전례에 참가했을 때 받은 인상을 이렇게 전했다."이 세상에 그렇게 아름답고 찬란한 것이 있.. 2024. 11. 25.
볼프강 보르헤르트 《내맡겨진 사람들》 볼프강 보르헤르트 《내맡겨진 사람들》Wolfgang Borchert 《Die Ausgelieferten》박병덕 옮김, 《현대문학》 2024년 11월호      저 밖에 도시가 서 있다. 거리에는 가로등이 서서 감시하고 있다.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도록. 거리에는 보리수, 쓰레기통 그리고 아가씨들이 서 있다. 그것들의 냄새가 곧 밤의 냄새이다. 그것은 독하고 씁쓸하고 달콤하다. 가느다란 연기가 반짝거리는 지붕들 위에 수직으로 가파르게 떠 있다. 북소리를 내며 쏟아지던 비가 그치더니 슬그머니 자취를 감추어버렸다. 그러니 지붕들은 아직도 빗물로 반짝이고, 빗물에 젖은 거무스름한 기와 위로 별들이 하얗게 떠 있다. 이따금씩 발정한 고양이의 울음소리가 달까지 치솟아 오른다. 어쩌면 인간의 울음소리일지도 모른다. .. 2024. 11. 24.
알베르 카뮈 · 장 그르니에 《카뮈 ­­­- 그르니에 서한집》 알베르 카뮈·장 그르니에 《카뮈 ­­­- 그르니에 서한집》김화영 옮김, 책세상 2012­      2012년에 구입해 놓았던 책이다. 보관할 책과 버릴 책으로 구분해서 과감하게 버리기로 하니까 더러 섭섭하기도 하고 시원하기도 한데, 버리는 데 재미가 붙으니까 덜 읽었어도 '버릴까?' 싶을 때가 있다. 카뮈와 그르니에가 주고받은 235편의 이 서한집도 이미 '절판'이어서 덩달아 시시한 느낌을 받았을까, 여남은 편 읽고 '그만 읽고 버릴까?' 했는데 큰일 날 뻔했다. 읽어나갈수록 재미가 있어서 거의 단숨에 읽었다. 그르니에와 카뮈는 '돈독한' 관계였다. '돈독한'보다는 '애절한'이 낫겠다. 스승과 제자로 만나서 카뮈가 노벨문학상을 받고 교통사고로 죽을 때까지 그 관계를 이어갔다. 그들의 관계는 점점 더 깊어.. 2024. 11. 20.
베르나르 베르베르 《여행의 책》 베르나르 베르베르 《여행의 책》이세욱 옮김, 열린책들 1998      그대 인생에서 단 한번만이라도,아무도 그대에게 그 무엇도 요구하지 않고,아무도 그 무엇으로 그대를 위협하지 않으며,아무도 그 어떤 걱정거리로 그대 마음을흔들지 않을시간을 가져야 한다.……좋건 싫건 일상에 익숙해져서당당히 맞설 엄두가 안 나거든,나를 다시 덮어도 상관없다.그대에게 아무것도 요구하지 않는 책들은쌔고 쌨다.그러나 이제 그대의 마지막 속박에서벗어날 때가 되었다. …… 자, 갈까?                                (표지의 글)  '여행의 책'은 정신의 비상(飛上)을 위한 '비행(飛行) 안내자'가 된다. 책은 읽는 사람들에게만 용기와 위안을 줄 수 있으므로 독자가 부여하는 힘을 지닐 수 있고 그 힘이 무한.. 2024. 11. 16.
'세이노'의 독서에 관한 가르침 《세이노의 가르침》(데이원 2023)을 읽을 때 독서에 관한 '가르침'("책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도 눈여겨보았다.내가 지금 늦게라도 제대로 읽고 있나? 아무래도 아니지? 그저 세월을 보내고 있는 거지?...... 이런저런 생각에 갈등을 느꼈다.    1. 최대한 쉽게 되어 있는 책부터 읽어라  2. 실전을 다룬 책들을 먼저 읽어라  3. 같은 부류의 비슷한 책을 여러 권 읽어라  4. 아는 내용은 넘어가라  5. 외우려고 하지 마라(이 가르침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이해하는 데만 신경을 써라. 시험을 치르는 것도 아니지 않는가. 그 어떤 박사라고 하여도 그가 외우고 있는 지식은 시디롬CD-ROM 한 장의 절반 분량도 훨씬 안 된다. 암기가 되지 않는다고 걱정할 필요는 전혀 없다. 실전에서 문제가 발.. 2024. 11. 14.
김훈 산문 《허송세월》 김훈 산문 《허송세월》나남 2024       핸드폰에 부고訃告가 찍히면 죽음은 배달상품처럼 눈앞에 와 있다. 액정화면 속에서 죽음은 몇 줄의 정보로 변해 있다. 무한공간을 날아온 이 정보는 발신과 수신 사이에 시차가 없다. 액정화면 속에서 죽음은 사물화되어 있고 사물화된 만큼 허구로 느껴지지만 죽음은 확실히 배달되어 있고, 조위금을 기다린다는 은행계좌도 찍혀 있다. 지금까지 살아온 시간의 관성적 질감은 희미한데, 죽은 뒤의 시간의 낯섦은 경험되지 않았어도 뚜렷하다. 이 낯선 시간이 평안하기를 바라지만, 평안이나 불안 같은 심정적 세계를 일체 떠난 적막이라면 더욱 좋을 터이다.  '늙기의 즐거움'이라는 제목으로 이렇게 시작되는 '산문'이다. 액정화면 속의 정보로 배달된 죽음에 대한 표현에 대해서는 나이가.. 2024. 11. 12.
에른스트 H. 곰브리치 《곰브리치 세계사》 에른스트 H. 곰브리치 《곰브리치 세계사》박민수 옮김, 비룡소       '어떤 사건이 대다수 인간의 삶에 영향을 끼쳤으며, 오늘날 우리의 기억에 크게 남아 있는가?'라는 단순한 물음을 기준으로 선정한 40개 주제를 다루었다. 1. 옛날 옛적에(인간이 나타나기 전의 지구)2. 역사상 가장 위대한 발명가들(선사시대, 석기시대, 청동기 시대)3. 나일 강변의 나라4. 월 화 수 목 금 토 일(메소포타미아)5. 신은 오직 하나뿐6. 알파벳의 탄생. .. 곰브리치?들어본 이름이고, 청소년 대상 도서다.1935년에 처음 출판되었고, 터키 어 번역본 머리말에는 이런 구절이 나온단다. 이 책은 학교에서 사용되는 역사 교과서를 대신할 의도로 집필된 것이 아니다. 이 책은 학교에서 읽히는 교과서와는 전혀 다른 목적을 갖.. 2024. 11. 8.
알랭 드 보통 《일의 기쁨과 슬픔》 알랭 드 보통 《일의 기쁨과 슬픔》정영목 옮김, 이레 2009       현대 세계의 큰 도시 하나를 가로지르는 여행을 상상해보자. 가령 몹시 흐린 10월 말의 어느 월요일에 런던을 가로지른다고 해보자. 런던의 유통 센터, 저수지, 공원, 영안실 위를 날아간다. 런던의 범죄자들과 대한민국에서 온 관광객들도 보일지 모른다. 파크 로열의 샌드위치 만드는 공장, 하운슬로우의 항공사 기내식 공급 시설, 배터시의 DHL 배달 창고, 시티 공항의 걸프스트림 제트기, 스머글러즈 웨이에 자리 잡은 홀리데이 인 익스프레스 호텔의 청소 수레를 보라. 사우스 워크 파크 초등학교 식당의 시끌벅적함과 임페리얼 전쟁 박물관 대포의 소리 없는 포성에 귀를 기울여보자. 운전 학원 강사, 계량기 검침원, 머뭇거리며 불륜을 저지르는 사.. 2024. 11. 5.
세이노 《세이노의 가르침》 세이노 《세이노의 가르침》데이원 2023       일하고 돈 벌고 살아가는 얘기를 엮은 책이다.여느 경영·처세술에 관한 책과 다르다. 아직 몇 살 되지 않았으면서 다 살아본 양, 철학 같은 건 통달한 양 써놓은 책, 세상 사람들의 '당연한' 고민을 '고민할 거리도 아닌 걸 가지고 고민하느냐?' 혹은 '그런 고민 누구라도 다 하니까 고민할 필요 없다!'는 식이어서 애써 읽어봤자 뭘 읽었나 싶어 곧 재활용 폐지로 내다버리게 되는 책하고는 다르다. 책의 구성이나 편집, 장정은 허술한데도 내용은 그렇다.  1부 아무것도 가진 게 없다고 느껴질 때2부 부자로 가는 길목에서3부 삶의 전반에 조언이 필요할 때  1부 첫 장 '앞길이 보이지 않을 때'의 이야기들은 이런 내용이다. 삶이 그대를 속이면 분노하라천재 앞에.. 2024. 11. 1.
장하준 《나쁜 사마리아인들》 BAD SAMARITANS 장하준 《나쁜 사마리아인들》 BAD SAMARITANSThe Myth of Free Trade and the Secret History of Capitalism이순희 옮김, 부키 2007       '나쁜 사마리아인'? (34~35)  1841년 독일의 경제학자 프리드리히 리스트는 영국이 자신들은 높은 관세와 광범위한 보조금을 통해서 경제적인 패권을 장악해 놓고서 정작 다른 나라들에게는 자유 무역을 권장하고 있다고 질타했다 그는 영국이 세계 최고의 경제적 지위에 도달하기 위해 스스로 타고 올라간 '사다리를 걷어차 버렸다'고 비난하며 "정상의 자리에 도달한 사람이 다른 사람들이 뒤따라 올 수 없도록 자신이 타고 올라간 사다리를 걷어차 버리는 것은 아주 흔히 쓰이는 영리한 방책"이라고 꼬집었다.오늘날 부자 .. 2024. 10. 28.
"얼른 안 와?" "얼른 안 와?"어느 사서가 창턱에 어마어마하게 큰 책 한 권을 얹어 놓았고, 다른 사서는 그 위에 자그마한 화분 두어 개를 올려놓았다.나는 저 창을 바라보면 볼일을 그만두고 도서관으로 직행하고 싶어진다. 좋은 일이 기다리고 있을 것 같은 느낌이다.사람이 책만으로는 살 수 없고 책에서 빵이 나오지도 않는다는 건 뻔한 일인데도 그렇다."그러니까 얼른 와." 방학이 다가오는 어느 날 행정실장을 불러 '받아쓰기'를 시키던 일이 떠오른다."실장님, 받아써 보십시오. '얘들아! 우리 학교 도서관에 좋은 책 많아. 그리고 참 시원해!' 다 썼습니까?""예, 교장선생님!""그걸로 현수막을 만들어 교문 위에 걸어주세요."순간, 그분의 눈에는 내가 들어 있는 것 같아서 자랑스러웠다. "가을은 독서의 계절" 그런 현수막만.. 2024. 10.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