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이노의 가르침》(데이원 2023)을 읽을 때 독서에 관한 '가르침'("책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도 눈여겨보았다.
내가 지금 늦게라도 제대로 읽고 있나? 아무래도 아니지? 그저 세월을 보내고 있는 거지?...... 이런저런 생각에 갈등을 느꼈다.
1. 최대한 쉽게 되어 있는 책부터 읽어라
2. 실전을 다룬 책들을 먼저 읽어라
3. 같은 부류의 비슷한 책을 여러 권 읽어라
4. 아는 내용은 넘어가라
5. 외우려고 하지 마라(이 가르침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이해하는 데만 신경을 써라. 시험을 치르는 것도 아니지 않는가. 그 어떤 박사라고 하여도 그가 외우고 있는 지식은 시디롬CD-ROM 한 장의 절반 분량도 훨씬 안 된다. 암기가 되지 않는다고 걱정할 필요는 전혀 없다. 실전에서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그 책에서 필요한 부분을 찾아 적용만 시키면 된다. 정보라는 것은 당신이 원하는 내용이 어디에 있는지를 아는 것이다.
6. 책을 깨끗하게 다루지 말라
7. 반드시 의자에 앉아서 읽어라
8. 짧은 기간에 한 분야에 대한 책들을 몰아서 읽어라
9. 틈나는 대로 읽어라
10. 경제적 성공을 원한다면 정치인들에 대해서는 관심을 끊어라
11. 일 잘하는 법에 대한 책들을 최우선적으로 찾아내 반드시 읽어라
12. 고전을 너무 믿지는 말라(옛것을 무시하라는 말이 아니다)
13. 청소년이 아니라면 역사 속 인물들의 위인전은 나중에 봐라
14. 화끈한 책을 멀리해라 ('화끈한 책'? 판타지, 무협지 등)
15. 서평을 읽을 때 주의하라
16. 출판사의 농간에 속지 말라
17. 자주 책방에 들러라
18. 때로는 돈 버는 데 도움이 전혀 안 되는 책들도 읽어라
'책 보기의 즐거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베르 카뮈 · 장 그르니에 《카뮈 - 그르니에 서한집》 (4) | 2024.11.20 |
---|---|
베르나르 베르베르 《여행의 책》 (6) | 2024.11.16 |
김훈 산문 《허송세월》 (11) | 2024.11.12 |
에른스트 H. 곰브리치 《곰브리치 세계사》 (2) | 2024.11.08 |
알랭 드 보통 《일의 기쁨과 슬픔》 (4) | 2024.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