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세월의 끝에 이르면 하나의 이야기로 엮이기를 기대하며 쓰는 편지

교과서31

캐나다 교과서 보기 『Science Everywhere』 『Science Everywhere』는 캐나다의 초등학교 4학년 과학 교과서입니다. 『Science Everywhere』! 우리나라 교과서 이름은 모두 교육과정상의 교과 이름과 똑같습니다. 교육과정에 국어, 도덕, 사회, 수학, 과학, 체육, 음악, 미술, 실과(기술·가정), 영어로 되어 있는 '교과명'이 그대로 교과서 이름이 되는 것입니다. 국어, 도덕, 사회, 수학, 과학, 체육, 음악, 미술, 실과(기술·가정), 영어, 교사들이 보는 교육과정에서의 이 교과명이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이 보는 교과서 이름과 같다는 것은 당연한 것입니까? 그 당연함은 설득력이 있습니까? 왜 그렇게 해야 합니까? '과학' '실험·관찰'이라든가, '국어' '국어생활' '수학' '수학익힘책'이라는 이름이 얼마나 딱딱합니까? .. 2011. 10. 26.
수요자 중심 교과서 지난 6일(화) 오후,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열린 "수요자 중심 교과서 개발 방안 세미나"에서 발표한 원고입니다. 우리나라는 교과서가 학교교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은 나라입니다. 지식주입식 교육에 멍이 들어 있지만 그 병을 얼른 고치려는 지도자를 찾기도 어렵습니다. 이러나저러나 우선 교과서부터 잘 만들어야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과서에 대한 투자는 그만큼 적극적이라고 하기가 어렵습니다. 너무 단순한 비교가 되겠지만, 서양의 대여제 교과서를 구입하려면 7~8만원이 드는데 비해 우리 교과서는 비싼 것이라야 겨우 몇 천원입니다. 한 해만 쓰고 버리는 우리나라 교과서에는 몇 년을 물려 쓰는 서양의 대여제 교과서만큼 투자를 하기도 어렵습니다. 그날 세미나에는 교과서 발행사들의 편집자들이 많이 왔는데,.. 2011. 9. 9.
휴대폰과 교과서 2002년에 이런 글을 읽었습니다. 『앞으로 50년』이라는 책입니다.* 우리가 아직 교사와 교실과 교과서를 갖고 있다는 사실은 50년 뒤에는 거의 웃음거리가 될 것이다. 사람들은 우리를 돌이켜보면서 우리가 교육 개념을 바꾸는 데 왜 그렇게 오래 걸렸는지, 왜 수능 성적을 중요하게 여겼는지, 왜 답을 암기하는 것이 지능의 증거라고 생각했는지 물을 것이다.(301) '교사와 교실, 교과서가 사라진다고?' '지금 우리가 그런 걸 가지고 교육을 하고, 지능이나 수능성적을 중시한 게 그때 가서는 웃음거리에 지나지 않게 된다고?' '왜 그렇게 되는 거지?' 지난 세기와 그 이전의 수많은 세기 동안, 교육을 받는다는 것, 따라서 지성을 갖춘다는 것은 사실의 축적, 다른 사람들의 생각을 인용하는 능력, 어떤 관념에 익.. 2011. 1. 31.
우리 교과서의 정체성 한국교과서연구재단에서는 『교과서연구』라는 저널을 계간으로 발행하고 있습니다. 이 책 여름호에 제가 다음과 같은 권두언을 썼습니다. 편집기획회의에서는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을 지낸 어느 대학교 총장에게 권두언을 부탁하기로 했는데, 예상은 좀 했지만 성사되지 않았고, 한 교.. 2010. 6. 13.
교과서 선진화 방안(교육과학기술부) Ⅱ 교과서 선진화 방안(교육과학기술부) Ⅱ ※ 별첨 자료 1. 2010년 교과서 선진화 방안 개요 2. 교과용도서 국․검․인정 구분 고시 3. 교과용도서 종류 및 구분기준 4. 금년부터 달라지는 교과서 제도 현황 5. 검정교과서 제도 변천사 6. 주요정책 내용 요지 2010년 교과서 선진화 방안 개요 창의적인‘산 지식’을 제공하고, 학습자 친화적인 '미래형 교과서’보급 ↗ ↑ ↖ 가격자율화 후속조치 인정도서 확대 검정제도 개선 ‣가정학습용 e-교과서 보급 ․서책형은 학교에서, e-교과서는 가정에서 활용 ‣가격결정에 대한 시장의 합리성 제고 ․가격 사전 심의, 필요한 경우 조정 권고 ‣특목고 및 전문계고 국정도서의 인정전환 ․학생 수준에 맞춘 교과서 개발 및 사용 용이 ‣고교 과학 등 검정도서의 인정전환 ․보.. 2010. 1. 15.
교과서제도 이대로 좋은가 지난겨울(2008.12) 어느 날, 한국교육신문사 신연숙 편집부장으로부터 『한국교육연감』 특집 원고를 써달라는 연락을 받았습니다. 특집기사는 교과서 제도와 대입제도 단 두 가지로 제게 위탁된 원고는 「교과서 제도 이대로 좋은가」였습니다. 그 원고가 『2009 한국교육연감』 42~62쪽에 실렸습니다. 편집자 주로 다음과 같은 글이 붙어 있었습니다. "국가경쟁력의 원천이 될 교육의 핵심은 학교교육에 있으며 미래를 주도할 학생들에게 교육을 통해 핵심역량을 키우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한 국가적 과제가 되고 있다. 이에 일부 국가에서는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기준을 강화하고 있으며 교과서에 대해서도 일정한 기준을 정하여 검정하는 과정을 두고 있다. 우리나라도 법령에 근거하여 교과서 제도를 체계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나, .. 2009. 6. 15.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편찬 및 검정의 주요 내용 및 과제 이 글은 한국교과서연구학회(www.ktextbook.org)의 한국교과서연구학회지 제1권 제1호(통권 1호 ; 2007년 12월 31일)에 게재된 논문입니다.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편찬˙검정의 주요내용 및 과제 Main Contents and Tasks of Textbook Compilation and Official Approval Standards in according to 2007 National Curriculum Amendment 요약 :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적용은 교과서의 편찬으로 구체화된다. 현행 교과서와 교과서제도의 문제점으로는 지식전달중심의 교과서, 관점의 차이에 따른 교과서 내용의 편향성 논란, 교과서의 내용이나 표현상의 오류, 교과서 발행제도, 디지털 .. 2008. 1.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