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인숙8 황인숙 「이제는 자유?」 이제는 자유? 수화기에서 솔솔 찬바람이 나오네. 점점 차거워지네. 서리가 끼네. 꼬들꼬들 얼어가네. 줄이 비비 꼬이네 툭, 툭, 끊어지네. 아, 이제 전화기에서 뚝 떨어져 자유로운 수화기. 금선이 삐죽 달린 그걸 두고 그녀는 어디든지 갈 수 있다네. 전화기에서 천 리 만 리 떨어진 곳도 갈 수 있다네. ―황인숙(1958~ ) 산골 집에 갑자기 폭설이 내려 발이 묶인다. 눈 내리는 것을 하염없이 바라본다. 어디서 오는 것인지 묘한 해방감이 찾아온다. 눈이 만들어주는 자유. 두절(杜絶)이 만들어주는 자유. 그러나 이내 그 자유의 훼방꾼, 휴대폰이 울린다. 이 귀엽고 발랄하고 탱글탱글한 언어의 스프링을 얻어 타본다. '수화기에서 솔솔 찬바람이 나온다'면 이제 전화 걸어오는 이가 확연히 줄거나 아예 없어진다는 .. 2024. 1. 8. 문정희 「얼어붙은 발」 얼어붙은 발 ―문정희(1947∼ ) 큰 거울 달린 방에 신부가 앉아 있네 웨딩마치가 울리면 한 번도 안 가본 곳을 향해 곧 첫발을 내디딜 순서를 기다리고 있네 텅 비어 있고 아무 장식도 없는 곳 한번 들어가면 돌아 나오기 힘든 곳을 향해 다른 신부들도 그랬듯이 베일을 쓰고 순간 베일 속으로 빙벽이 다가들었지 두 발이 그대로 얼어붙는 각성의 날카로운 얼음 칼이 날아왔지 지금 큰 실수를 저지르고 있구나! 두 무릎을 벌떡 세우고 일어서야 하는 순간 하객들이 일제히 박수치는 소리가 들려왔지 촛불이 흔들리고 웨딩마치가 울려퍼졌지 얼른 엘리베이터를 타고 바람처럼 사라져야 할 텐데 이 모든 일이 가격을 흥정할 수 없이 휘황한 이름으로 자행되고 있었네 검은 양복이 흰 손을 내밀고 있었네 행복의 문 열리어라! 전통이 웃.. 2022. 11. 9. 이제니 「발견되는 춤으로부터」 발견되는 춤으로부터 이제니 멀리 성당의 첨탑에서 저녁 미사를 알리는 종소리 들려온다. 열린 창 너머로 어스름 저녁 빛 새어 들어오고 마룻바닥 위로 어른거리는 빛. 움직이면서 원래의 형상을 벗어나려는 빛이 있다. 어디로든 갈 수 있다고 속삭이는 옛날의 빛이 있다. 사제는 한 그릇의 간소한 식사를 마치고 자리에서 일어난다. 가장 낮은 자리로 물러나 무릎을 꿇고 기도를 올린다. 화면은 다시 정지된다. 일평생 봉쇄 수도원의 좁고 어두운 방에 스스로를 유폐한 채 기도에만 헌신하는 삶. 너는 보이지 않고 들리지 않는 그 기도가 누구를 도울 수 있는지 묻는다. 화면은 다시 이어진다. 너는 책상으로 가 앉는다. 맞은편에는 비어 있는 의자. 비어 있음으로 가득한 의자. 책상 위에는 먼 나라에서 보내온 엽서가 놓여 있다... 2022. 2. 5. 황인숙 「검고 붉은 씨앗들」 검고 붉은 씨앗들 황인숙 고요한 낮이었다"주민 여러분께쌀국수를 나눠드립니다!서두르세요, 서두르세요!이제 5분, 5분 있다가 떠납니다!"집 아래 찻길에서짜랑짜랑 울리는 마이크 소리나는 막 잠에서 깬 부스스한 얼굴로슬리퍼를 꿰신고 달려 내려갔다동네 아줌마 아저씨 할머니 할아버지가서른 명 남짓 모여 있었다가만 보니, 마이크를 든 남자가 번호를 부르면번호표를 쥔 손을 번쩍 든 사람한테파란 야구 모자를 쓴 남자가비누도 주고 플라스틱 통도 줬다어머나! 내가 눈이 반짝해서파란 야구 모자 남자한테 번호표를 달라고 하자그는 나를 잠깐 꼬나보더니'에라, 인심 쓴다' 하는 얼굴로 번호표와 함께인삼 씨앗 다섯 알이 든 비닐 봉투를 건넸다벙싯벙싯 웃고 있는 아줌마 아저씨 할머니 할아버지에 섞여서나는 벙싯벙싯 두근두근하다가특.. 2021. 9. 6. 황인숙「철 지난 바닷가」 철 지난 바닷가 황인숙 나도 일요일을 사랑했었죠 바캉스를 아주아주 사랑했었죠 당신 나이에는 그랬더랬죠 그런데 이제 휴일이 별나지도 대수롭지도 않아요 이제 조용한 바다가 좋아요 사방에서 날아온 나뭇잎들이 좌충우돌하다 매미 떼를 따라 휩쓸려 갈 태풍 지난 뒤에나 바다에 가보겠어요 일요일들과 바캉스들을 가라앉힌 바닷가를 찰방찰방 거닐어보겠어요 발가락 새로 바닷물과 모래가 들락거리겠죠 하늘에선 햇빛이 들락거렸으면 좋겠어요 흰 구름 뭉게뭉게 피어올랐으면 좋겠어요 구름의 반그림자 속에서 당신과 만날 수도 있겠죠 《못다 한 사랑이 너무 많아서》(문학과지성사 2016) 레진 얘기를 하니 내 슬픈 금니가 떠오른다. 그 옛날에 내 칫솔질을 목격한 친구가 말했었다. "아주 이빨을 폭파시켜라!" 내 칫솔질은 좀 과격한 편이다.. 2020. 8. 23. 황인숙 「한밤의 일을 누가 알겠어요」 한밤의 일을 누가 알겠어요 황인숙 어젯밤 눈 온 거 알아요? 어머, 그랬어요? 아무도 모르더라 토요일 밤인 데다 날도 추운데 누가 다니겠어요 저도 어제는 일찍 들어갔어요 한밤의 일을 누가 알겠어? 우리나 알지 4월인데 눈이 왔네요 처음에는 뭐가 얼굴에 톡 떨어져서 비가 오나 하고 가슴 철렁했는데, 싸락눈이더라구 자정 지나서는 송이송이 커지는 거야 아, 다행이네요 그러게, 비보다는 눈이 낫지 동자동 수녀원 대문 앞 긴 계단 고양이 밥을 놓는 실외기 아래 밥그릇 주위에 졸리팜 곽 네 개 모두 뜯긴 채 흩어져 있었지 빠닥빠닥 블리스터들도 빠짐없이 비어 있었지 졸리팜 가루 같은 싸락눈 쏟아지던 밤이었지 ―――――――――――――――――――――――――――――――――――――――― 황인숙 1958년 서울 출.. 2018. 12. 15. 황인숙 「저 구름 흘러가는 곳」 저 구름 흘러가는 곳 영혼은 없거나, 혹은 있더라도 아무 힘이 없어 그러니까 그런 거지 엄마도 죽고 아빠도 죽은 고아들이 고달프고 고독하게 살다가 죽기 일쑤인 거지 없어, 없어, 없어, 죽은 다음에 영혼은 황인숙 『못다 한 사랑이 너무 많아서』(문학과지성사, 2016) 38. 아무리 그렇더라도 영혼은 있어야 한다는 얘기겠지. 있을 거라는 얘기겠지. 없다는 건 말이 되지 않고, 이렇게 살아가는 게 너무 억울하고 억장이 무너지고 그렇다는 얘기지. 힘이 없다는 건 그렇다 칠 수 있지. 그래야 할 것 같기도 해. 힘이 없는 그 영혼을 만나면 얘기할 게 더 많을 것 같아. 여기서 떠나가서. 그곳으로 건너가서. ……………… 저 구름 흘러가는 곳. 그리운 그 영혼이 있을 곳. 아무리 그렇더라도 영혼은 있어야 한다는 .. 2018. 4. 24. 황인숙 《못다 한 사랑이 너무 많아서》 황인숙 시집 《못다 한 사랑이 너무 많아서》 문학과지성사 2016 그림자에 깃들어 이방인들을 보면 왠지 슬프다 한 아낙이 오뎅꼬치를 문 금발 어린애들을 앞세워 지나가고 키 작은 서양 할아버지가 지나가고 회색 양복 서남아 청년이 지나간다 먼먼 땅에 와서 산다는 것 노인과 어린애 어느 쪽이 더 슬플까 슬픈 건 내 마음 고양이를 봐도 슬프고 비둘기를 봐도 슬프다 가게들도 슬프고 학교도 슬프다 나는 슬픈 마음을 짓뭉개려 걸음을 빨리한다 쿵쿵 걷는다 가로수와 담벼락 그늘 아래로만 걷다가 그늘이 끊어지면 내 그림자를 내려다보며 걷는다 그림자도 슬프다 황인숙의 시가 눈에 띈 것은, 역설적으로, 새로운 시적 접근 방법을 의도적으로 시도하거나 독특한 시를 만들려고 애쓰는 태도가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의 시를 읽으면.. 2018. 1. 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