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교과서149 교재연구개발론 2015년 1학기 강의계획서 EDU 923 교재연구개발론 강사명: 파란편지 조교명: 수업시간: 금 8-10교시 강의실: 사대본관 114 □ 과목개요 및 학습목표 교사의 전문성, 자율성, 책무성에 관한 당위성은 대체로 수업을 전제로 한 것이며 수업이 교사의 핵심적 업무가 되어야 하는 것은 어떠한 경우에도 당연하다. 수업의 핵심적인 도구는 교재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전통적으로 교과서가 핵심적·지배적인 교재의 위치를 차지함으로써 드디어 교과서의 내용을 그대로 전달하는 교과서 중심교육이 주류를 이루어 왔으나 교재의 의미는 지속적으로 변화해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획일적인 교재를 사용하던 체제에서 학교(교사)가 학교 교육과정 편성에 따라 적절한 교재를 선택·재구성·제작하여 사용하는 나라들이 늘어나는 경향이며, 최근.. 2015. 9. 9. '송어 5중주'? '숭어 5중주'? 어느 게 나을까? 초등학교 교과서에 이 곡이 수록된 걸 보고 전에 썼던 글이 생각나서 몇 자 수정하여 옮겼습니다. 딸아이 입에서 '편수자료' 이야기까지 나올 줄은 몰랐다. 그건 교과서 연구·개발에 참여하는 일부 학자, 교원들이 열람하는 자료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어느 대학생이 교과서에 나오는 슈베르트의 그 곡이 "송어인지, 송어 또는 숭어인지", 즉 "송어만 옳은 건지, 송어가 옳지만 예전처럼 숭어라도 해도 되는지" 알고 싶어 한다고 했을 때, 얼핏 어디서 그 기사를 본 것 같아서 "숭어였는데 송어로 고쳤지, 아마?" 했더니 그 정도는 이미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고, 그 대학생의 지도교수가 편수자료라는 게 있다면서 거기에서 둘 다 인정하고 있다는 쪽으로 단언(斷言)하는데 대해 그 학생은 아무래도 그게 의심스러워서 확실.. 2015. 6. 23. 할아버지의 낡은 시계 초등학교 5~6학년용 음악 교과서들을 살펴봤습니다(현재는 5개 출판사에서 발행)이제 혼자 지내는 처지여서인지 곧잘 옛 생각에 젖었습니다.지금까지 그대로 실려 있는 곡들도 있고, '할아버지의 낡은 시계' 같은 정겨운 곡이 보이기도 했습니다. '할아버지의 낡은 시계'.이런 곡을 실었다니……낡은 시계를 가진 '할아버지'가 되고 보니 그것만으로도 고마웠습니다. "여기 이 할애비의 낡은 시계를 받으려무나."태엽(胎葉)만 감아주면 지금도 즉시 똑딱거리며 가기 시작하는 저 고물을 내주면, 내가 이 세상에서 없어지고 난 다음, 녀석들이 지금 내 자동차를 탈 때마다 듣는 그 CD 중의 이 노래를 떠올리게 될까요?………… 언제나 정다운 소리 들려주던할아버지의 옛날 시계하지만 지금은 가지를 않네.이젠 더 이상 가지를 않네... 2015. 5. 19. 동요 '겨울나무' ⑵ 동요 《겨울나무》를 소재로 한 객쩍은 글을 실어 놓고 나서 의외로 많은 분들이 그 가사나 곡을 찾는 걸 알 수 있었습니다. 겨울 나무 이원수 작사, 정세문 작곡 나무야 나무야 겨울 나무야, 눈 쌓인 응달에 외로이 서서, 아무도 찾지 않는 추운 겨울을, 바람 따라 휘파람만 불고 있느냐. 평생을 살아봐도 늘 한자리, 넓은 세상 얘기도 바람께 듣고, 꽃 피던 봄여름 생각하면서, 나무는 휘파람만 불고 있구나. 아이들과 함께 지낸 여러 해, 좋은 노래도 많았는데 어쩌면 처연하게 들리는 이 노래만 기억나는 세월을 보냈습니다. 혼자 있으면 지금도 곧잘 이 노래가 떠오릅니다. 올해 새로 나온 다섯 출판사의 '초등학교 음악 5, 6' 교과서에서는 이 노래를 찾을 수 없어서 예전의 .. 2015. 4. 16. 교과서 제도 연구의 필요성과 관점 《교과서연구》 제79호(2015.3.) 권두언 교과서 제도 연구의 필요성과 관점 광복 후, 우리나라의 교과서 제도에 관한 법규는 1950년의 ‘교과용도서 검·인정 규정’과 ‘국정 교과용도서 편찬 규정’의 제정, 이 규정들의 개정, 폐지에 이은 1977년의 ‘교과용도서에 관한 규정’ 제정, 그리.. 2015. 3. 22. 외로운 눈물 외로운 눈물 "내가 이 나이에 주체할 수 없는 눈물로 옷소매를 적셔야 하겠습니까?" 연수를 받는 선생님들 앞에서 스스로 생각해도 비장감이 느껴지는 말을 하고 있었습니다. 지난 14일 밤 꿈 속이었습니다. 터져 나오려는 울음을 참으며 그렇게 묻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은, 나는 지금까지 ".. 2015. 1. 22. 내가 생각한 사회과 교과서 기억은 자부심, 자존감 같은 걸 지탱해 주기도 하지만, 힘도 없는 그 허상(虛像)으로 사람을 괴롭히기도 한다는 걸 깨닫게 되었습니다. 이 기억속의 일들은 다른 이들에게는 소줄할 리 없으니까 기억해줄 리도 없고, 기억해 봐야 무슨 소용이 있는 것도 아니고, 꼭 그렇게 하고 싶은 마음.. 2015. 1. 18. 그리운 선생님들 그리운 선생님들 지난 5일(월)부터 9일까지 닷새 동안 교과서 개발 연수를 진행했습니다. 다음주, 그러니까 오는 12일 월요일부터 16일까지 5일간에도 다른 선생님들을 대상으로 같은 연수가 진행됩니다. 4년째 여름에 2회, 겨울에 2회씩 실시해 왔습니다. 전국 초·중·고등학교와 교육청.. 2015. 1. 10. 아이의 눈으로 바라보자! 아이의 눈으로 바라보자! 겨울방학이 다가옵니다. 옛날 같지는 않아도 "겨울" "방학"이라는 것만으로도 향수를 불러옵니다. 문득 함께 생활했던 선생님들이 보고 싶습니다. 혼자 생각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부질없는 그리움입니다. 한국의 선생님들은 이런 생각을 함께해도 좋을 만큼 .. 2014. 12. 18. 2014 국제 교과서 심포지엄 2014 국제 교과서 심포지엄 서울역사박물관 뒷뜰입니다. 대강당 뒷문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예전에 시골 우리 집에는 감나무가 40그루 정도 있었는데…… 행사 이튿날에는 이렇게 조용하게 지냈습니다. 아무것도 한 일이 없고 그저 지켜보기만 한 것 같았는데 아주 피곤했습니다. 2014. 10. 26. 교과서 사용법 어느 멋진 독자가 붙여주고 간 댓글입니다. 교실에 다양한 교과서를 구비해 놓고, 교사가 학생들에게 “너희들은 모두 다르니까 각자 가장 좋은 책을 골라서 읽도록 해.” 하고 안내하는 교실을, 정상적인 교실이라고 했습니다. 좀 엉뚱하다고 할 사람이 많겠지만, 어느 글을 다음과 같이 마무리했는데, 저 선생님은 그 글을 엉뚱하다고 하지 않고 위와 같은 댓글을 단 것입니다. 우리의 교과서와 교과서 제도의 개선을 이야기하면서 느끼게 되는 크고 무한한 ‘한계’가 있다. 교과서 중심 수업, 지식 전달식 수업, 획일적 강의 중심 수업 등으로 표현되는, 대학입시 준비교육으로는 아무것도 시도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는 암담함이다. 수업이 바뀔 수 없다면 교과서의 수준 향상 또한 거의 무용(無用)한 것일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 2014. 10. 21. 2014 국제 교과서 심포지엄에 꼭 오십시오 오는 10월 24일(금) 오후 2시, 서울역사박물관 강당에서 이 행사를 개최합니다. 우리나라는 교과서 제도가 비교적 엄격한 편입니다. 심사가 엄격하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제도가 엄격한 것은, 국민들이 교과서를 성전(聖典)으로 여기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따라서 법규도 '국가 교육과정 기준'에 관한 법규보다 오히려 엄격하게 작용하고 있는 것 아닐까 싶습니다. 교과서의 이러한 현실은, 우리 교육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것은 긍정적이지 못한 면을 드러내기도 합니다. 따라서 학자들은 오랫동안 이러한 제도의 폐단을 지적해 왔습니다. 한국교과서연구재단의 제4회 국제 심포지엄은, 한국장학재단 곽병선 이사장의 기조강연 "미래 지향적 교과서관"에 이어 독일(역사 교과서), 뉴질랜드(핵심역량 교과서) 학자들의.. 2014. 9. 29. 이전 1 2 3 4 5 ···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