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세월의 끝에 이르면 하나의 이야기로 엮이기를 기대하며 쓰는 편지
학교교육

큰 책가방이 필요해^^

by 답설재 2013. 11. 8.

 

 

 

 

 

"Big bags for textbooks wii be needed for a long time in Finland"

 

 

 

 

 

 

 

 

 

 

 

    "Big bags for textbooks wii be needed for a long time in Finland."

 

 

 

 

 

 

 

 

 

 

 

  교육강국 핀란드의 학자 Tom Wikman이 그렇게 말했습니다.

  그가 지난달 25일 오후, 한국교과서연구재단에서 주관한 제3회 국제교과서심포지엄에서 발표한 원고(Prospects for using textbooks in Finland)의 마지막 부분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The prospects for textbooks in Finland seem to be good. No signs of radical changes are in sight. According to various studies

  the use of ICT is growing. It is however connected to the availability of hardware. The recent history of ICT use in schools shows

  that innovations are connected to computer development. The first PCs resulted in a “wave” where computers as such were

  established as potential tools for writing etc. At this time computers were usually located to special computer classes. The

  laptop “wave” moved the computers into the classes, but not into all. The availability still was connected especially to

  headmasters´ initiative. Some schools already have turned some of the first writing instruction with paper and pencil to writing

  on laptops.

    ……

    My guess is that the development in the coming years will be rapid. one important reason for this is the development of the

  matriculation exam. This is going to be transformed to an electronic test in next years.

    Researchers in different fields have directed criticism towards the actual system for textbook development in Finland. Despite

  of this criticism a good guess is that the same system based on a free market with no governmental textbook approval will

  continue.

     Another guess is that pupils will be using schoolbags for carrying home the books many years.

    Thank you for your attention!

 

 

 

    핀란드에서 교과서의 전망은 밝아 보입니다. 급진적인 변화의 징후는 없습니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정보통신기술(ICT)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하드웨어의 가용성과 연결되어 있는 문제입니다. 최근 학교에서 ICT를 사용하고 있는 상황을 살펴보면 혁신은 컴퓨터

  의 발전과 연계되어 있습니다. 개인용 컴퓨터(PC)가 등장했을 때, PC는 하나의 “물결”이 되면서 글쓰기 등을 위한 잠재적 도구로 여겨졌습니

  다. 당시에는 특별한 컴퓨터 수업에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었습니다. 노트북의 “물결”은 컴퓨터를 교실로 이동시켰지만 모든 교실은 아

  니었습니다. 컴퓨터의 가용성은 여전히 교장의 이니셔티브 등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일부 학교에서는 연필과 종이 대신 노트북으로 글쓰기

  수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중략)…

    저는 앞으로 발전 속도가 매우 빠를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대학 입학시험의 개발과 관련이 있습니다. 대학 입학시험은

  몇 년 후에 온라인 방식으로 변모할 것입니다.

    여러 분야의 연구자들은 핀란드의 교과서 개발 제도를 비판해 왔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승인을 받을 필요 없이 자유 시장에 근

  거한 현행 제도가 계속될 것입니다.

    아울러 학생들은 앞으로도 수년간 책가방에 책을 넣고 다닐 것입니다.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Another guess is that pupils will be using schoolbags for carrying home the books many years.

 

  이 문장을, 마치 디지털 교과서를 하루빨리 세상에 내놓고 싶어하는 사람들의 마음에 맞추려고 한 것처럼 좀 '약하게' 번역한 것입니다.

  "수년간"

  저 사진 속에는 "for a long time"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 Pupils will be using schoolbags for carrying home the books many years.

  ▶ Big bags for textbooks wii be needed for a long time in Finland.

 

 

 

 

  학교에 PC가 보급되기 시작할 즈음, "앞으로는 이것 외엔 아무것도 필요없다!"는 듯한, 혹은 "이것 없이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듯한 분위기여서, 모든 교원들이 PC 사용법 연수에 몇 차례씩 빠짐없이 '동원'되던 일이 생각납니다.

  그렇게 연수를 받아도 마치 글자도 못 읽는 부진아가 생기는 것처럼 끝내 '워드'도 하지 못하는 교사들이 '탄생'했지만, 어디서 먼저 배웠는지 갑자기 나타나 '컴퓨터 강사'라고 으스대던 교원들이 지금은 마치 주눅이 들었거나 할 말이 없어 고개를 숙인 것처럼, 혹은 어디로 다 사라져버린 것처럼 아무 말이 없습니다.

  "PC라는 괴물"을 사용하지 못한다 해도 그걸 배우겠다고 연수까지 받기는 싫어서 온갖 핑계를 다 대며 참석하지 않고 버틴 것이 지금 생각해도 그리 후회스럽진 않습니다.

 

  디지털 교과서는 PC처럼 다가오지 않으면 좋겠습니다.

  선생님들이나 학생들이나 종이책 펼치듯 자연스럽게 펼칠 수 있고 주물럭거리면 당장 쓸 수 있는 것이면 좋겠습니다.

  평등하게 써야 한다면서 똑같은 시간에, 똑같은 내용을, 똑같은 방법으로 들여다보다가 이해하든 못하든 닫아야 하는 '한국식'이어야 한다면 별로 재미가 없을 것 같습니다.

  가령, 수업 시간 40분(초), 45분(중), 50분(고) 중의 5분 정도를 기기 조작에 써야 한다면, 우선 수업시간부터 조정해야 하는데 지금 그런 것까지 연구하는 사람들이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디지털 교과서를 쓰면 35분만 공부해도 40분 이상의 효과가 있다면 그따위 걱정을 하지 않아도 좋으련만…… 속이 다 시원할 일이련만……

 

 

 

 

  다른 걱정도 있습니다. 교육부는 종이로 된 교과서 심사와 발행·공급 등의 관리가 너무나 힘들어서 지금도 여러 가지 걱정을 하고 있는데, 거기에다가 PC나 무슨 단말기 속에 들어 있는 디지털 교과서까지 심사하고 관리해야 하게 생겼으니, 그 일이 종이책 시대보다 더 쉬워질 리는 없고 아무래도 조금이라도 더 어려워지거나 복잡해질 것이 분명한 것 같아서 지켜보는 입장에서도 걱정입니다.

 

  디지털 자료는, 굳이 '교과서'라기보다는 '교육자료' '학습자료'로서 학교(교실)로 자연스럽게 스며들면 좋으련만 우리나라는 그걸 굳이 '교과서'의 개념 속에 넣게 되었으니 앞으로 어떻게 되어 나갈는지……

  다른 나라들은 1990년대부터 '우루루' 국가가 관리하는 국정·검정·인정 교과서를 없애고 마치 유행처럼 자유발행제를 적용하고 있는 것이 세계적인 추세인데……

  "한국교육이 대단하다!"는 세계적인 명성에 비해 학생, 교사, 학부모들은 그렇게 힘겨워하는 것이 우리 교육의 현실인데……

 

 

 

 

  그나저나 예전의 그 PC 강사들처럼 자신의 특별한 역량(information technology)을 나타내려는 욕망을 가진 사람들, 혹은 디지털 교과서 관련 사업으로 돈을 좀 많이 벌어보려는 사람들이 덤벼들어서 정부의 디지털 교과서 정책에 대한 판단을 혼란스럽게 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합니다.

 

  저 Tom Wikman 교수의 발표를 지켜보며 이런 저런 생각을 하고 있었습니다.

 

  한국교과서연구재단이라는 기관이 아직 미미한 존재여서 그런지, 이렇게 좋은 내용의 세미나를 개최해도 참관하러 오는 교육자가 별로 없어서 그 행사장은 매우 썰렁했습니다.

 

 

 

 

  맨 위의 저 사진에서 다음 문장은 자신의 발표를 들어 준데 대한 인사였습니다.

 

  "Thank you for your attention! School is over."

 

 

 

 

 

 

 

'학교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임교감 A 선생님께  (0) 2013.12.05
입산금지? 그런 게 어디 있어!  (0) 2013.11.21
학폭 가해 아이들의 행동 변화  (0) 2013.10.03
여기는 토의·토론 교실입니다  (0) 2013.08.19
정수남 선생님께  (0) 2013.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