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세월의 끝에 이르면 하나의 이야기로 엮이기를 기대하며 쓰는 편지
내가 만난 세상

나는 어떻게 있다가 떠나는 것인가?

by 답설재 2013. 9. 29.

황치영이란 분은 예전에 무슨 건설회사에 근무했다는데, 오래전부터 교과서나 문화재, 국어사전 등의 오류를 찾아 담당자들에게 그 정보를 제공하는 일에 몰두하고 있습니다.

행색이 그리 넉넉해 보이지 않고 게다가 꾸미지도 않습니다. 머리는 산발한 것 같고 그 누르스름한 점퍼에 적당한 운동화, 언제나 그 차림에 한쪽 어깨에 사시사철 그 가방을 메고 다니는데, 그 속에는 오류를 찾아 포스트잇을 붙인 책이나 자료들이 들어 있습니다.

 

정부 담당자들은 대체로 그를 좋아하지 않습니다. 자신들이 하는 일이 잘못되었다는데 좋아할 리 없지 않겠습니까? 그래서 나처럼 교육부에서 근무할 때 그에게 당한 이후로는 만나도 얼굴을 쳐다보지도 않는 사람을 두어 명 봤습니다. 

그렇지만 생각해보면 꼭 그렇게 대할 일도 아니지 않겠습니까? "아, 그렇습니까? 고치겠습니다" 하면 그는 아주 좋아하기 때문입니다.

그와 나의 친분은 그렇게 이어져 교육부를 나온 지 까마득한 지금도 그는 나를 찾아오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그가 특별한 요구나 요청을 하는 것도 아닙니다. 인스턴트 커피 한 잔을 주겠다고 하면 마지못해 받아 마시고, 연대(年代)를 보고 육십갑자를 척척 알아맞히는 방법, 중국어의 우리말 표기 방법 같은 신기한 것들에 관한 이야기를 한 가지씩 해주고 돌아갑니다.

 

며칠 전에는 느닷없이 세종대왕 이야기를 꺼내더니 "대왕께서는 채 2만 일(日)도 사시지 못했지만……" 어떻고 하는 게 아니겠습니까?

'2만 일?'

나는 갑자기 혼란을 느꼈습니다. '겨우 2만 일이라니?' 돈도 2만원이면 얼마 되지 않고, 가령 줄넘기를 한다고 치고 하루에 1000번씩 열흘이면 당장 1만 번, 스무날이면 2만 번 아닙니까? 그렇지 않습니까? 우리가 살 수 있는 기간을 날 수로 계산하면 겨우 그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는 것 아니겠습니까? 얼른 세종대왕의 생몰 연대를 찾아 실제로 계산해 보기까지 하면서 그 날 수를 확인하기도 했습니다.

 

그는 대왕의 생일과 제삿날까지 알고 있으니까 정확한 날 수를 대었는데, 나는 그걸 암기하고 싶은 생각은 추호도 없었습니다. 말하자면 세종대왕이 정확하게 며칠을 살다 가셨는지, 그것 자체가 내 관심사가 될 리 없는 것입니다.

별로 한 일도 없이 이미 세종대왕보다 오래 살았으면서도 앞으로도 훨씬 더 많이 살고 싶어 하면서 '그럼, 나는 도대체 며칠을 살다 가는 것일까?' 온통 거기에 정신이 팔려 있었습니다.

 

 

 

 

우주가 생성된 때를 꼭 1년 전의 일로 비유하면, 이 지구상에 인간이 나타난 것은 1시간 30분 전의 일이랍니다. 아득한 옛날, 인간이 문자를 발명한 일도 겨우 15초 전의 일. 공룡은 크리스마스이브에 생겨났으니까 겨우 사흘을 살다 영영 사라져 간 셈입니다. 이 어처구니없는, 믿을 수도 믿지 않을 수도 없는 얘기를 간단한 그림으로 나타내어 봤습니다.

 

 

 

 

 

 

어차피 곧 세종대왕처럼 저세상으로 가야할 나는, 내가 태어나고 죽는 시점(時點)을, 이 그림의 어디에 표시하면 좋을지 모르겠다는 것입니다.

 

 

 

 

 

 

 

따져보면 그것만 그런 것도 아닙니다.  1977년 9월, 미 항공우주국(NASA)이 저 하늘의 수많은 별들 중 어느 곳에 우리 인간과 유사한, 우리 인간과 어떤 방법으로든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생물체가 있지 않을까 싶어 하며 쏘아 올린 우주탐사선 보이저 호가 2년 만인 1979년에 목성, 이어서 토성 주위에서 사진을 찍어 보냈고, 이제 지구를 떠난 지 36년 만에 태양계를 벗어났다고 합니다. 36년 만에 겨우 태양계 탈피? 그러나! 아이들 말로 하면 '진짜 우주'로 들어갔다고 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그 인공위성은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발전기 동력으로 날아간다는데, 에너지는 2025년에 다 쓰게 되므로 아직 12년이 남았습니다.

 

보이저 호가 저처럼 어슬렁거리며 걸어가는 것도 아닐 텐데, 도대체 얼마나 멀리 날아간 것일까요? 앞으로 또 얼마나 멀리 날아가는 것일까요?  그러면 우주 끝까지 날아갈 수 있다는 것일까요?

 

나는 지금 이 우주의 어디에 있다가 가려는 것일까요?

 

 

 

 

일엽편주에 몸을 싣고  표주박 술잔 들어 서로 권하니  하루살이 짧은 인생 천지간에 부쳐 두고  끝없는 대해의 한 알 좁쌀인즉  내 삶이 한순간임을 슬퍼하고 장강 끝없이 흘러감을 부러워한다오  …………

 

문화일보(2013.9.27, 25면, 신세미 기자 북리뷰 왕수이자오『소동파평전』조규백 옮김, 돌베개)에서 보았습니다. 북송의 소동파(蘇東坡·1036~1101)가 당쟁으로 유배를 간 황저우(黃州) 적벽에서 뱃놀이를 하며 읊은 '적벽부(赤壁賦)'의 일부랍니다.

 

 

 

'내가 만난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수막 구경  (0) 2013.10.21
水無痕, 無痕  (0) 2013.10.07
로토 이야기  (0) 2013.09.20
전 편수국장 H에 대하여  (0) 2013.09.19
2013년 秋夕  (0) 2013.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