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세월의 끝에 이르면 하나의 이야기로 엮이기를 기대하며 쓰는 편지
학교교육

「심화과정 과목을 듣다」(?)

by 답설재 2010. 5. 17.

교육과학기술부가 일반계 고등학교 영어·수학 과목에서 학력 수준이 평균에 미치지 못하는 학생을 위한 기초과정과 우수 학생을 위한 심화과정을 별도 교과목으로 개설해 운영하기로 한 기사이다.*

 

잘 하는 일이다. 알지도 못하는 내용을 펴놓고 앉아 있어봤자 별 수 없고, 잘 하는 아이들은 '한심한' 내용을 펴놓고 앉아 있어야 한다면, 이런 과정 개설이 그야말로 절실할 것이다.

 

우리는 이를 '수준별 수업'이라고 한다. '수준별 수업', 말만 나와도 징그럽다고 할 사람이 있을 것이다. 정부 담당자 김만곤이라는 사람이 깃발을 들고 동분서주하던 그 제7차 교육과정기가 생각나서 또 시위를 하러 나가고 싶을 수도 있다. 요즘은 이런 문제를 가지고 시위를 하지는 않는다면 왜 그럴까? 나는 그때 그야말로 '죽을 지경'이었는데…….

 

 

 

 

 

 

위의 기사 2단 아랫부분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보인다.

 

또 심화과정은 특목고의 전문교과나 대학과목선이수제(AP)와 비슷한 수준으로 과목이 구성돼 보통교과에서 높은 성과를 낸 학생들이 듣게 된다. 보통교과도 수준별 수업이나 교과교실제를 통해 학생 실력에 따라 수업한다.

 

이상한 단어가 눈에 띈다.

나는 "학생들이 ○○과정의 □□과목을 듣는다"는 저 표현이 정말로 싫다. 듣다니? 학생들이 들으려고 학교에 가나!

대학에서는 교수들의 강의가 천편일률적으로 설명형이라고 하자(오늘날에는 그렇지도 않다는 사람도 있겠지). 고등학교에서는 사범대학이나 교육대학 교수들이 상투적으로 쓰는, "□□과목을 들어라"거나 "◇◇과목은 꼭 들어야 한다"느니 하는 그런 표현이라도 흉내내고 싶을까?

 

듣다니? 우리 교육의 최대 맹점이 "학습이란 교사로부터 설명을 듣는 활동"이라고 여기는, '누가 뭐라고 해도 역시 설명을 듣는 것이 공부 아니냐?'고 여기는 바로 그 점이다. 그 폐단을 외면하고, 저렇게라도, 형편없는, 쓰레기 같은 대학교수들 흉내라도 내어 표현해야 한다는 관습이 얼마나 수치스러운 일일까?

이 점을 고치지 않으면 우리나라는 결국 교육 때문에 선진국 대열에 들어가지 못하게 되고, 그러므로 이 나라 교육은 결국 '그 설명', '그 듣기' 때문에 망하고 말 것이다. 두고 보라! 우리는 '듣고 대답하는 교실'을 '생각하고 말할 수 있는 교실', '생각하고 질문하는 교실'로 바꾸어야 한다.

무엇을 부끄러워해야 하는가는 알고 있어야 할 것이다.

 

 

 

...................................................

* 한국교직원신문, 2010년 4월 26일, 3면. 보도자료가 있었다면 이 내용의 기사는 어느 신문이나 비슷한 표현으로 작성되었을 것이다.

 

 

 

'학교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교육 이야기  (0) 2010.05.20
주입식교육을 하는 나라  (0) 2010.05.19
스승의 날 Ⅳ : 선생님의 약봉지  (0) 2010.05.14
수업공개  (0) 2010.05.12
「CCTV 설치율 95.9%」  (0) 2010.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