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세월의 끝에 이르면 하나의 이야기로 엮이기를 기대하며 쓰는 편지
학교장 컬럼

신념의 표상(表象)

by 답설재 2007. 12. 10.

‘자신이 “발견되지 않은 지식인”이며 사랑에 빠졌다고 믿고 있는 사춘기 소년의 비틀리고 익살맞은 일기’라고 소개된, 스우 타운센드의『비밀일기』(김영사, 1986)라는 번역본 소설의 첫머리에는 1월 1일 새해의 결심 여덟 가지가 이렇게 소개되어 있습니다. 1. 길을 건너는 장님을 보면 꼭 도와주겠다. 2. 바지는 벗어서 꼭 걸어두겠다. 3. 레코드를 듣고 나면 반드시 판을 껍데기에 집어넣어 두겠다. 4. 담배는 절대 배우지 않겠다. 5. 여드름을 절대 짜지 않겠다. 6. 개한테 더욱 친절히 대해 주겠다. 7. 가난하고 못 배운 사람들을 돕겠다. 8. 어젯밤 아래층에서 싸우는 소리를 듣고 술을 절대로 마시지 않겠다는 결심을 덧붙이기로 했다.

 

이처럼 옆에 두거나 써놓고 그것만 바라보면 ‘아!’ 하고 새로운 각오를 할 수 있는 신념의 표상이 있다면 좋을 것입니다. 위에서 든 예는 아이들의 경우이므로 이런 건 어떻습니까. "영원히 살 것처럼 꿈꾸고 내일 죽을 것처럼 살아라. Dream as if you'll live forever, Live as you'll die today." "만족은 행동에 있지 결과에 있지 않다. The gratification comes in the doing, not in the results." "훌륭한 배우가 되는 건 쉽지 않다. 사람이 되는 건 더욱 어렵다. 나는 죽기 전에 둘 다 이루고 싶다. Being a good actor isn't easy. Being a man is even harder. I want to be both before I'm done."(유명한 영화배우 제임스 딘)

 

이런 건 어떻습니까. ‘하루라도 책을 읽지 않으면 입에 가시가 돋는다. 一日不讀書口中生荊棘’(뤼순 감옥에서 안중근)

 

또 링컨이나 이순신 장군, 세종대왕 등의 자서전, 혹은 전기문, 평전 같은 걸 책상 위에 두면 어떻겠습니까.

 

흉상(胸像; 인체의 머리에서 가슴 부분까지를 나타낸 조각상)도 괜찮겠군요. 제게는 언젠가 가보았던 강릉의 ‘참소리박물관’에서 구입한 에디슨 흉상이 있습니다. 그 외에는 그런 게 없으므로 그걸 찾아다가 교장실 서가에 놓아두면 좋을까요? 글쎄요, 저는 발명왕 에디슨의 흉상을 보며 제 신념을 되새기겠다는 생각까지는 없습니다.

 

너무나 한가한 생각이고 아이들 같습니까? 그럼, “떼돈을 벌도록 노력해보자” “권력을 쟁취하자!”라고 잘 써 붙이는 건 어떻겠습니까.

 

책이나 글씨보다는 그림도 좋겠지요. 저 유명한 김정희의 ‘세한도(歲寒圖)’라면 제 처지를 지나치게 묘사하는 것일까요? 그렇겠군요. 신념의 표상을 마련하려고 하다가 공연히 오해받을 필요까지야 없겠지요. 어쨌든 제가 본 바로는 정부의 고관이 근무하는 방에 가보면 멋진 붓글씨가 곁들여진 대가들의 서화가 걸려 있었습니다. 저는 제가 결재를 받을 차례를 기다리면서 그 그림과 그림 속의 몇 글자 되지 않는 시구의 뜻을 곰곰이 새겨보기도 하고, 함께 차례를 기다리는 옆 사람에게 “저 그림은 몇 백, 혹은 몇 천만 원이나 갈까요?”하고 물어보기도 했습니다. 아, 그러고 보니 공자 같은 성인의 가르침 속에서 교육자가 본받을 만한 구절을 찾아 써 붙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럼, 논어(論語) 중에서 좀 찾아보기로 하겠습니다.

 

“배우고 때로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아니하랴. 벗이 먼 곳으로부터 찾으면 또한 즐겁지 아니하랴. 사람이 알아주지 않아도 원망하지 아니하면 어찌 군자가 아니랴. 子曰『學而時習之 不亦說乎 有朋自遠方來 不亦樂乎 人不知而不慍 不亦君子乎』”

 

“가르침에 차별이 있을 수 없다. 子曰『有敎無類』”

 

“가장 지혜로운 사람과 가장 어리석은 사람은 변하지 않는다. 子曰『唯上知與下愚 不移』”

 

 

‘주제에.’ 하고 비웃을 분이 있을지도 모르겠군요. 그럼 음악은 어떨까요. 저를 생각하면 성악가 김동규가 부른 ‘아프리카’가 생각난다는 어느 학부모님이 계셨거든요. 아, 그러고 보니 ‘미션mission'이란 음반이 생각나는군요. mission이란 ’1. (특별한) 사절(단);《미》재외사절단[공관], 2. (사절의) 사명, 임무; (일생의) 사명, 천직(calling), 3.【군사】특명, 임무;【공군】(특별사명을 띤) 비행 작전[대]; (우주선에 의한) 특무 비행《to》, 4 전도, 포교, 전도사업; 전도사의 파견; (외국에의) 전도[선교] 단체(본부), 5. 전도[선교]구(區); 빈민구제시설, (종교적) 사회사업단‘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므로 좀 멋있게 보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러나 이 교장실에서 그 ‘아프리카’나 ‘미션’을 계속 틀어놓으면 남들이 시끄럽다고 할지도 모릅니다. 아무래도 좀 조용한 게 낫겠지요. 그렇다면 저 유명한 Henry van Dyke(1852 – 1933, 미국의 작가, 교육자, 목사)의 ‘무명의 교사 예찬’이라는 멋진 글이 있습니다.

 

 

무명의 교사 예찬

 

나는 무명의 교사를 예찬하는 노래를 부르노라.

위대한 장군은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나,

전쟁에서 이기는 것은 무명의 병사이다.

유명한 교육자는 새로운 교육학의 체계를 세우나,

젊은이를 건져서 이끄는 자는 무명의 교사이다.

그는 청빈 속에 살고 고난 속에 안주한다.

그를 위하여 부는 나팔 없고, 그를 태우고자

기다리는 황금마차 없으며,

금빛 찬란한 훈장이 그 가슴을 장식하지 않는다.

묵묵히 어둠의 전선을 지키는 그 무지와 몽매의

참호를 향하여 돌진하는 그이어니, 날마다 날마다

쉴 줄도 모르고 천년의 적인 악의 세력을 정복하고자 싸우며,

잠자고 있는 영혼을 깨워 일으킨다.

게으른 자에게 생기를 불어주고 하고자 하는 자를 고무하며

방황하는 자를 확고하게 하여 준다.

그는 스스로의 학문하는 즐거움을 젊은이에게 전해 주며,

최고의 정신적 보물을 젊은이들과 더불어 나눈다.

그가 켜는 수많은 촛불 그 빛은 후일에 그에게 되돌아와

그를 기쁘게 하니 이것이야말로 그가 받는 보상이다.

지식은 책에서 배울 수 있으되 지식을 사랑하는 마음은

오직 따뜻한 인간적 접촉으로써만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공화국을 두루 살피되 무명의 교사보다 예찬을 받아 마땅한 사람이

어디 있으랴.

민주사회의 귀족적 반열에 오를 자 그밖에 누구일 것인가.

자신의 임금이요, 인류의 머슴인저!

 

 

저는, 여러분이 들으시면 웃으시겠지만, 그동안 이 신념의 표상에 대해 자주 생각해왔습니다. 그래서 연전(年前)에 시인 박재삼의 다음 시를 제 신념의 표상으로 삼기로 했습니다. 그래서 제 방에 오실 때 출입문 쪽에 보면, 누구에게 멋있게 써달라고 할 수도 없어서 그냥 컴퓨터로 출력하여 게시한 그 시를 보실 수 있습니다. 여기에 그 시를 소개하겠습니다. 쉬운 것 같아도 읽을 때마다 뜻이 깊어집니다.

 

 

천지무획(天地無劃)   박재삼(1933~1997)

 

 

 

나를 하염없이 눈물나게 하는, 풀잎 촉트는 것, 햇병아리 뜰에 노는 것, 아지랑이 하늘 오르는 그런 것들은 호리(毫釐)만치도 저승을 생각하랴. 그리고 이들과 가장 가까운 곳에서 아주 이들을 눈물나게 사랑하는 나를 문득 저승에 보내 버리기야 하랴.

 

그렇다면 이 연연(戀戀)한 상관(相關)은 어느 훗날, 가사(假使) 일러 도도(滔滔)한 강물의, 눈물겨운 햇빛에 반짝이는 사실이 되어도 무방한 것이 아닌가. 얼마 동안은 내 뼈 녹은 목숨 한 조각이, 얼마 동안은 이들의 변모한 목숨 한 조각이, 반짝인다 하여도 좋다. 혹은 나와 이들이 다 함께 반짝인다 하여도 좋다.

 

그리하여 머언 먼 훗날엔 그러한 반짝이는 사실을 훨씬 넘어선 높은 하늘의, 땅기운 아득한 그런 데서 나와 이들의 기막힌 분신(分身)이, 또는 변모(變貌)가 용하게 함께 되어 이루어진, 구름으로 흐른다 하여도 좋을 일이 아닌가.

 

 

※ 인용자 註; 호리(毫釐) : 매우 적은 분량을 비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