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세월의 끝에 이르면 하나의 이야기로 엮이기를 기대하며 쓰는 편지

벚꽃7

벚꽃 보며 미안하고 무안해 함 나는 일본이 물러간 바로 그때 태어났다.일본이라면 무조건 미워하고 싫어하고 배척했다. '왜놈들, 철천지 원수...'두렵기도 했다. "미국을 믿지 마라. 소련에 속지 마라. 일본이 일어난다." 아이들은 맹랑하다 싶은 그런 말을 하고 다녔다. '설마' 싶기도 하고 '그렇겠구나' 싶기도 하며 세월이 흘렀다. 언젠가 그 말이 《몽실언니》(권정생)에 등장한 걸 보며 옛 생각이 났었다. 물러갔다 해도 일본은 모든 곳에 스며들어 있어 곤혹스러웠다. 남들이 다 써서 나도 썼는데 알고 보니 일본 용어인 게 수두룩했다.고학년이 되자 선생님은 점심 좀 싸 오라고 통사정을 했다. 어떤 아이가 '벤또'가 없어서 싸 올 수 없다고 했더니 사발에 싸와도 된다고 했다. 공연히 알루미늄 도시락을 멀리 생각했다. '벤또'에 점심을 싸 .. 2025. 4. 15.
이제 거들떠보지도 않네 정처(定處)도 의지도 없이 떠내려가고 있었다. 축제가 끝나버려서 사람들은 쳐다보지도 않았다. 저렇게 떠내려 간 것도 단 나흘 전이었는데 이미 추억은커녕 기억도 아니다. 그날 아침나절 나는 냇물을 따라 걸어내려가고 있었다. 나는 우산은 쓰고 있었다. 2024. 4. 19.
이 아침의 행운 창 너머 벚꽃이 만개한 아침이다. 어찌할 수 없는 상실과 아픔, 지울 길 없는 아픔과 슬픔으로 이어져 온 생애의 기억들이 안개 걷히듯 사라지는 느낌이다. 꽃그늘을 걷는 사람들 표정이 먼 빛으로도 밝고, 문득 이 아침이 행운임을 깨닫는다. 이런 시간이 행운이 아니면 그럼 언제 어디에 행운이 있겠나. 2024. 4. 9.
역시 덧없는 봄 눈 온 듯했다. 올봄은, 어제까지의 봄은 정말이지 무슨 수나 날 것 같았다. 끝까지 치솟을 것 같았고, 끝이 없을 것 같았고, 올해만큼은 이제 여름도 가을도 없을 것 같았다. 그러던 그 봄이 하룻밤 새 다 떨어져 무참히 깔려버렸다. 이제 이 허전한 봄을 어떻게 보내나... 덧없다. 이런 걸 가지고 덧없다, 속절없다 했는가 보다. 2023. 4. 5.
벚꽃잎 떨어져 사라져가는 봄날 일본 정신의 뿌리와 그 정체성을 찬양하기 위해 《무사도》(양경미·권만규 옮김, 생각의나무 2004)라는 책을 쓴 니토베 이나조(新渡戶稻造)는 그 책의 마지막을 비장하게, 서정적으로 다음과 같이 끝냈다. 무사도는 하나의 독립된 도덕의 규칙으로서는 사라져 버릴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 힘은 지상에서 소멸하지 않을 것이다. 그 무용(武勇)과 문덕(文德)의 교훈은 해체될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 광명과 영광은 폐허를 뛰어넘어 소생할 것이 틀림없다. 그 상징인 벚꽃처럼 사방에서 부는 바람으로 꽃잎이 흩날려도 그 향기로 인생을 풍요롭게 하고 인류를 축복할 것이다. 백 년 뒤, 무사도의 관습이 사라지고 그 이름조차 잊혀지는 날이 올지라도 "길가에 서서 바라보면" 그 향기는 보이지 않는 머나먼 저편 언덕에서 바람과 함께 .. 2023. 4. 4.
벚꽃잎이 눈보라처럼 흩날리던 날 지난 13일 수요일, 겨우 사흘 전이었군요. 벚꽃잎이 휘날렸습니다. 눈 같았습니다. 바람 부는 날 첫눈 같았습니다. 벚꽃은 해마다 사람을 놀라게 합니다. 이제 놀라지 않아도 될 나이인데도 실없이 매번 놀라곤 합니다. '아, 한 가지 색으로 저렇게 화려할 수 있다니!' 그 꽃잎들이 아침부터 불기 시작한 세찬 바람에 속절없이 떨어져 마구 날아다녔습니다. 벚꽃잎들이 그렇게 하니까, 재활용품 수집 부대 속에 있던 페트병과 비닐봉지들도 튀어나와서 덩달아 날아다니고 함께 데굴데굴 굴러다녔습니다. 집을 나서서 시가지(다운타운)로 내려가는데 저 편안한 그네에는 몇 잎 앉지 않고, 그네가 싫다면 그냥 데크 바닥에 앉아도 좋을 텐데 하필이면 비닐창에 힘들여 매달린 것들이 아주 많았습니다. 개울을 따라 내려가는 길에도 물 .. 2022. 4. 16.
벚꽃이 피었다가 집니다 그 동네는 어떻습니까? 이 동네에선 엊그제 벚꽃이 피기 시작했습니다. 오일장날 난전의 '펑튀기'가 떠올랐습니다. 깔깔거리고 웃던 아이들도 생각났습니다. 어느 날 담임 선생님께서 "시끄럽지요?" 하고 묻길래 "아이들이니까요. 나 같은 노인은 떠들지도 못해요" 했더니 "그래도 교장실 옆이어서 신경이 쓰이는 걸요" 해서 "교장은 하는 일이 없어서 상관없어요" 했는데 선생님은 예쁜 미소를 지으며 돌아서서 나갔습니다. 지금 그 선생님은 또 꽃 같은 아이들을 데리고 어떤 교장과 이야기하고 있을까요? 괜히 또 옛 생각 때문에 이 글도 '또' '괜히' 길어질 뻔했네요. 엊그제 그렇게 피기 시작한 것 같은 벚꽃은 어제는 어찌할 도리가 없을 정도로 만개하고 있었습니다. 한꺼번에 그렇게 피어나면 세상의 그 누구도 어떻게 할.. 2019. 4.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