귓속 고막에서 달팽이관 사이
이소골을 이루는 추골, 침골, 등골이라는 가장 작은 뼈들이 가장 나중에까지 듣는다기에
들을 때 속귀의 뼈들이 움직인다기에
임종을 선고한 의사가 나가자
아직 따뜻한 엄마 겨드랑이에 손을 묻고
작은 목소리로 가장 작은 엄마의 뼈들을 어루만지며
엄마 귀에 대고 말했다
엄마,
엄마가 돌아간 시간을 잘 기억할게
엄마도 잘 기억해서 그 시간에 꼭 찾아와야 해
슬픔이란 얼마나 신비로운지.
슬픔도 없다면 무엇을 생각하며 살아갈 수 있을지.
보면 더 이야기할 수가 없는 경우가 있다.
들으면 더 이야기할 수가 없는 경우도 있다.
시를 읽고 그것을 생각하고 있었다.
읽으면 더 이야기할 수가 없는 경우가 있다.
『현대문학』 2024년 1월호에서 이 시를 보았다(나민애, 시 격월평 「상실의 시대, 우리가 머물 최소한의 '정처定處'에 대하여」: 『창작과비평』(겨울호)에 실린 시).
'詩 읽은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상순 「레몬 릴리」 (0) | 2024.02.07 |
---|---|
존 러스킨 《건축의 일곱 등불》 (1) | 2024.01.22 |
유종호 「한밤중의 소리」 (0) | 2024.01.16 |
김광규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 (2) | 2024.01.11 |
황인숙 「이제는 자유?」 (0) | 2024.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