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스 로슬링 《팩트풀니스 FACTFULNESS》
이창신 옮김, 김영사 2020(1판 54쇄)
이 책은 버리지 않기로 했다.
세상은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으로 나누는 것보다 1·2 ·3 ·4단계로 나누는 것이 더 합리적이라는 제안이 첫째 이유다.
이런 책들은 읽을 때뿐인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읽는 동안에는 그렇겠다 싶어도 읽고 나면 남는 게 거의 없었다.
책을 버리는 건 쉽지 않다. 버리자 하면서도 한편으로는 그 과감함의 다른 편에서는 '이래도 될까?' '후회하지 않을까?' 싶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그 순간이 어렵지 돌아서는 순간 기억하지 않게 되고 '내가 언제?' 하게 된다.
그러니 버려야 한다!
그리고 이 책은 버릴 수가 없다.
한스 로슬링은 육성으로 이 책을 썼고 일생을 바쳤다. 췌장암으로 죽는 순간에도 집중했다. 아들 내외(올라 로슬링·안나 로슬링 뢴룬드)가 마무리를 했단다.
1. 오늘날 세계 모든 저소득 국가에서 초등학교를 나온 여성은 얼마나 될까?
□ A: 20%
□ B: 40%
□ C: 60%
2. 세계 인구의 다수는 어디에 살까?
□ A: 저소득 국가
□ B: 중간 소득 국가
□ C: 고소득 국가
3. 지난 20년간 세계 인구에서 극빈층 비율은 어떻게 바뀌었을까?
□ A: 거의 2배로 늘었다.
□ B: 거의 같다.
□ C: 거의 절반으로 줄었다.
4. 오늘날 세계 기대 수명은 몇 세일까?
□ A: 50세
□ B: 60세
□ C: 70세
5. 오늘날 세계 인구 중 0~15세 아동은 20억이다. 유엔이 예상하는 2100년의 이 수치는 몇일까?
□ A: 40억
□ B: 30억
□ C: 20억
6............. 12
13. 세계 기후 전문가들은 앞으로 100년 동안의 평균기온 변화를 어떻게 예상할까?
□ A: 더 더워질 거라고 예상한다.
□ B: 그대로일 거라고 예상한다.
□ C: 더 추워질 거라고 예상한다.
정답 1: C, 2: B, 3: C, 4: C, 5: C,......... 13: A
나는 13개 문항 중 확신한 건 13번뿐이었고, 1~12번 문항의 답은 단 하나도 알 수가 없었다. 대충 찍어서 답하며 내려왔는데 아마도 두 개쯤 맞추었을 것이다.
다행한 건 나만 그런 건 아니라는 사실이었다.
우리는 2017년에 14개국 약 1만 2,000명에게 질문을 던졌다. 그 결과, 마지막 13번을 뺀 열두 문제 중 정답을 맞힌 문제는 평균 2개였다. 만점은 단 한 명도 없었고, 딱 한 명(스웨덴 사람)이 열두 문제 중 열한 문제를 맞혔다. 그리고 무려 15%가 빵점이었다.(20)
이 책을 읽어야 할 이유도 제시되었다.
점수가 어떻게 나왔는가? 틀린 문제가 많았는가? 대부분 추측만으로 답했는가? 그렇다면 다소 위로가 될 만한 두 가지 사실을 알려주겠다.
첫째, 이 책을 다 읽고 나면 훨씬 나아질 것이다. 내가 세계 통계를 암기시켜서가 아니다(나는 세계 보건 교수이지만 정신 나간 사람은 아니다). 간단한 생각 도구를 공유하기 때문이다. 세세한 내용을 배우지 않고도 큰 그림을 파악하고, 세상 돌아가는 것에 대한 감각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될 만한 도구들이다.
둘째, 테스트에서 점수가 낮았다면, 그런 사람이 한둘이 아님을 기억하라.(17~18)
세상 돌아가는 것에 대한 감각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될 만한 도구들!
그 도구들의 키워드는 다음과 같다(이 요약은 아주 거칠다).
1. 간극 본능(The Gap Instinct) : 세상은 선진국과 개발도상국만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평균 비교, 극단 비교, 위에서 내려다보는 시각에 조심하라.
2. 부정 본능(The Negativity Instinct) : 나쁜 소식은 좋은 소식보다 우리에게 전달될 확률이 훨씬 높다. 좋은 소식, 점진적 개선은 뉴스가 되지 않는다. 뉴스에 많이 나온다고 해서 고통이 더 큰 것은 아니다. 장밋빛 과거를 조심하라.
3. 직선 본능(The Straght Line Instinct) : 세상에는 다양한 곡선이 존재한다. 변화를 직선으로 단정하지 마라.
4. 공포 본능(The Fear Instinct) : 지금 우리는 공포에 사로잡혀 있다. 공포 본능을 억제하려면 위험성을 계산하라.
5. 크기 본능(The Size Instinct) : 그 수가 달랑 하나뿐이라면 오판하기 쉽다. 비교하고 비율을 고려하라.
6. 일반화 본능(The Generalization Instinct) : 내 범주에 의문을 제기하라. '다수'에 주의하라(51%인지 99%인지). 생생한 사례에 주의하라. 사람들은 바보가 아니라고 생각하라.
7. 운명 본능(The Destiny Instinct) : 많은 것이 변화가 느린 탓에 똑같이 보일 수 있다. 점진적 개선을 추적하라. 지식을 업데이트하라. 할아버지와 이야기해 보라. 변화 사례를 수집하라.
8. 단일 관점 본능(The Single Perspective Instinct) : 단일 관점은 상상력을 제한할 수 있다. 문제를 여러 가지 각도에서 바라봐야 현실적인 해결책을 찾을 수 있다.
9. 비난 본능(The Blame Instinct) : 지금 희생양이 이용되고 있다는 걸 알아봐야 한다. 악당을 찾지 말고 원인을 찾아라. 영웅을 찾지 말고 시스템을 찾아라.
10. 다급함 본능(The Urgency Instinct) : 다급히 결정해야 하는 경우는 드물다. 심호흡을 하라. 데이트를 고집하라. 점쟁이를 조심하라.
'책 보기의 즐거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남과 헤어짐 : 수양공과 경제 (0) | 2023.11.23 |
---|---|
허버트 조지 웰즈 《우주전쟁》 (0) | 2023.11.22 |
로버트 풀검 《유치원에서 배우지 못한 것들》 (20) | 2023.11.06 |
문성란(산문) 「어느 무명 시인에게 배운 것」 (10) | 2023.10.31 |
《詩經》 (1) | 2023.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