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퉁이가 펴 주었다》
류병숙 동시 │ 신문희 그림
청색종이 2021
항구
우리 집 현관은
밤마다
조그만 항구
발 실어 나르는 배
신발들이
잠을 자지요.
통통배
보트
고기잡이 배
아침이면
건너야 할
넓은 바다를 두고.
지금은 전혀(!) 아니지만 아이들이 하나 또 하나 결혼해서 떠나갈 땐 허전했습니다. 아내 몰래 신발장 앞에서도 먹먹해했습니다.
지금은 전혀(!) 아닙니다.
그런데도 "오늘의 동시문학" 카페에서 이 시를 읽는 동안 또 그 허전함이 새삼스럽게 다가와서 이런 댓글을 달았습니다.
아이들이 나갔다가 들어오는 밤에는 기적 같은 걸 느꼈습니다.
이 넓은 세상으로 그렇게 나갔다가 어김없이 들어오곤 했거든요.
지금은 그 항구가 허전합니다.
출항도 뜸하고 따라서 귀항도 뜸합니다
허전한 항구.........
물론 이 댓글은 썰렁한 대접을 받았을 것입니다. '동시를 뭐 이렇게 감상해 놓았나?'
나는 그게 싫습니다.
동시를 왜 유치하게 감상해야 하는지 일부러 그렇게 해야 하는지, 그걸 생각하면 너무 너무 답답합니다.
그러니까 동시는 동시 대접 혹은 시 대접을 받지 못하고 '이건 유치원 애들이나 읽는 거지' 하고 외면하는 것 아닌가 싶었습니다.
아직도 그따위 글을 써놓고 동시라고 하는 작자들(늙은이들)이 그 계통에서 대가(大家) 대우를 받는 걸 보면 기가 막히고 짜증이 납니다.
어떻게?
자신이 무슨 유아인 양 진짜 유아는 그렇게 하지도 않는 말놀이!
(류병숙 시인은, 그런 '잡문'은 쓰지 않겠다고 '상자에 몸 넣기가 아닌 시 쓰기'라는 글을 이 시집 머리말로 써놓았습니다.)
꽃과 나비, 벌들이나 날아다니는 풀밭 같은 이야기...
아기가 아장아장 걸어 다닌다거나 보슬비가 보슬보슬 내리더라는 이야기...
그런 말놀이라면 하룻저녁에 열 편은 쓸 것 같은 짧은 글...
걸어가는 신호등
누나 손잡고
막대사탕 빨며
학교 가는 서준이
건널목 건너며
사탕 든 손 치켜든다
─ 야, 막대사탕 신호등이다
버스도 서고
자동차도 서고
달콤한 아침이다.
나는 이 시를 읽고 허구한 날 학교나 관청으로 출근하던 교사 시절의 그 아침처럼 기분이 좋았습니다. 마치 조금 있다가 옷을 갈아입고 가방을 찾아서 출근을 해야 할 사람으로 착각했습니다.
적색 등, 황색 등, 녹색 등 대신 등장한 저 막대사탕, 그 막대사탕을 든 그 아이를 만나러 나가도 좋을 것 같았습니다.
겸손한 900원
마트에서
비스킷 한 봉, 900원
참외 한 봉, 4900원
물건 값 끝자리가
이것도 900원, 저것도 900원
100원을 덜 받아
겸손한 900원.
나 자신이 한심하다는 걸 비로소 깨달았습니다. 물건값으로 900원을 매겨 놓은 걸 볼 때마다 가게 주인을 약아빠졌다고 생각했는데 세상을 이렇게 보는 것이구나 했고, 지금이라도 총체적으로 변신해야 하지 않을까 그렇게 할 수 있을까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웃음 외식
다문화센터에서
한국어 가르치는 이모
맛있는 웃음 받아온다.
카자흐스탄 아줌마는 아침미다
─ 생선(선생)님, 안녕하세요?
태국 아줌마는 헤어질 때
─ 선생님, 관광(건강)하세요
일본 아줌마는
─ 어제 코엑스 해물관(수족관) 다녀왔어요.
일주일에 두 번
맛깔난 웃음 외식하는
우리 식구.
나도 사실은 어느 도서관 다문화센터에서 봉사활동을 해볼까 싶어 한 적이 있었습니다. 우선 구경이라도 해보자 싶어서 찾아간 그곳에서 우리나라 사람과 결혼했다는 카자흐스탄 새댁이 "우리나라(카자흐스탄)에서는 중학생 때까진 공부해라, 공부해라 하지 않아요" 하는 얘기를 듣고 '쑥스러워서'(내가 우리나라 교육 책임자는 아니지만) 봉사활동 같은 건 포기하고 말았습니다.
여러 나라에서 온 그녀들과 어울려 지냈다면 나도 재미있는 얘기를 할 수 있을 것인데...
손톱깎기의 식사
먹지는 않고
─ 퉤
퉤
뱉기만 한다.
쥘 르나르(Jules Renard)의 "홍당무(Poil de Carotte)"가 생각나지 않습니까? 그 발랄한, 어른들로부터는 외면당하고 있지만 그의 이야기를 읽는 독자들로부터는 무한한 사랑을 받고 있는 아이, 나는 잠시 이 동시는 그 아이가 쓰지 않았을까 상상해 보았습니다.
이야기가 너무 길어져서 그만 마쳐야 하겠습니다.
이 시인은 아무래도 뭐든 재미있게 보이도록 하는, 뭐든 아름답게 보여서 우리가 함께 살아갈 만한 가치가 있는 세상으로 보이도록 하는, 눈에 띄는 건 뭐든 시가 되게 하는 함수기(函數機)를 가진 것이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류병숙 시인님! 사실대로 말씀해 주셔야 하겠습니다. 댁에 동시 나오는 함수기가 있지요? 뭐든 집어넣기만 하면 출구로 동시가 한 편씩 툭! 툭! 튀어나오는 함수기. 교훈 같은, 같잖은 얘긴 하지 않겠습니다. 교훈을 앞세우는 작품치고 오래가는 꼴을 볼 수 없었거든요. 어쨌든 다른 시인들은 대부분 이런 동시를 쓰지 않는 것 같아요. 그분들은 본래부터 시가 되기 쉬운 것들을 '이거다!' 하고 시로 나타내는데 이 시집에는 전혀 그렇지 않은 것들이, 말하자면 동시가 되지 않았을 것 같은 소재들이 더 재미있게, 더 아름답게 시가 되어 있는 걸 볼 수 있었거든요? 한두 편도 아니고 대략 이 시집의 2/3 정도는 그런 시들이죠. 예를 들어볼까요? '그래서 좋아'는 대표적인 예가 되겠네요. 이래도, 이런 증거를 들이대는데도 그런 함수기 같은 건 구경도 못했다고 우기실 건가요?"
그래서 좋아
카카오*에게
매뉴얼에 없는 걸 물어봐야지
─ 헤이 카카오, 가족은 몇이니?
─ 잘 모르겠어요
─ 몸에 벌레 붙었네, 약 뿌려줘?
─ 말이 너무 어려워요
─ 거짓말한 적 있니?
─ 이해할 수 없어요
모르고 어렵고 이해 못하고
나도 그럴 때 많거든
솔직한 네가 그래서 좋아.
* 카카오: 인공지능 스피커
▩ 여담 1 : 설목(雪木) 박두순 시인은 정녕 행복한 분입니다. 부럽습니다.
▩ 여담 2 : 책이 아주 가볍고 잉크 냄새가 향기롭습니다. 선물 같아서 몇 번이나 책갈피에 얼굴을 묻어보았습니다. 초등학교 때 책(유일했던 책 '교과서')을 받았을 때처럼...
'詩 읽은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남원 《사랑했지만 어쩔 수 없었던 어느 날》 (0) | 2021.07.13 |
---|---|
이원석 「미인」 (0) | 2021.07.10 |
「채식주의자」 (0) | 2021.06.10 |
김성민 「토끼풀 시계」 (0) | 2021.05.24 |
「손바닥 편지」 (0) | 2021.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