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세월의 끝에 이르면 하나의 이야기로 엮이기를 기대하며 쓰는 편지
책 보기의 즐거움

김종란 옛 그림 에세이집 《옛 그림 잦추기》

by 답설재 2020. 11. 6.

김종란 옛 그림 에세이집 《옛 그림 잦추기》

소후 2019

 

 

 

 

 

 

 

1

 

옛 그림 삼십여 점을 이야기합니다.

이 그림은 아주 잘 그렸다, 이 그림의 특징은 이런 것이다, 이 화가는 이러저러해서 유명하다, 그런 얘기는 하지도 않습니다.

 

잘 그렸는지 못 그렸는지는 출중한 전문가들에게 맡겨버리고(그림 수준은 누구나 알아야 하는 건 아니므로) 나 같은 사람은 그림을 배우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그냥 그림을 보는 사람이니까 옛 그림은 이런 눈으로 보면 되겠구나, 비로소 깨닫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말하면 전문가들은 또 뭐라고 할는지...........

 

 

2

 

지금도 내가 교육부에서 학생들 교과서를 편찬·심사·관리하는 편수관이라면, 혹은 어느 출판사에서 사회나 국어, 미술 같은 과목의 교과서를 만드는 편집인이라면 이런 글을 실어서 학생들로 하여금 우리의 옛 그림을 누구나 주관적(!)으로, 주체적으로 감상할 수 있게 해 주고 싶습니다. 주관적으로! 그게 얼마나 재미있고, 신나고, 자유롭고, 유용한 일인지 생각만 해도 가슴이 울렁거립니다.

오랫동안 그 일을 하면서 어떻게 이런 생각을 못했는지 모르겠습니다. 나와 함께 일한 다른 사람들이 뭘 보고 내가 일을 잘한다고 칭찬을 늘어놓았는지 모르겠습니다.

뭘 어떻게 써놓았기에 싶겠지요?

 

여섯 다리를 갖추어야만 움직인다는 그가 옵니다. 다리 넷인 당나귀와 다리 둘인 몰이꾼을 거느리고 저기 양반인지 반냥인지가 오네요.

비켜라, 숙여라, 엎드려라, 는 나귀몰이꾼의 외침대로 우리는 길섶으로 밀립니다. 엉거주춤 서 있는 나를 꼬집으며 바깥양반이 귀엣말을 합니다.

"퍼뜩 수구리잖고 뭐하노!"

"만다고 그캅니꺼?"

양반 일행이 길 가운데를 차지하며 몇 발 앞에 멈춥니다. 길 언저리로 비켜났는데도 몰이꾼은 당나귀를 우리네 쪽으로 바짝 들이댑니다. 가풀막진 개골창으로 떨어질까 발을 멈칫거립니다. 몰이꾼의 심술은 그렇다 치고 당나귀란 놈 좀 봐요. 대가리를 흔들며 투루루 투레질하는 꼴이 우리를 나무라듯, 당나귀란 놈까지도 우리 앞에선 양반 행세를 하네요.

 

「노상알현도(路上謁見圖)」(김득신)라는 그림 이야기의 시작 부분입니다. 이렇게 생각했습니다.

'아무래도 내가 그림 전문가에게 지나치게 끌려다닌 것 같다, 평생 그렇게 일방적으로 끌려다니며 골탕을 먹어서 얼마 보지도 않은 옛 그림에 식상했고, 그러면서도 그게 정석인 줄 알고 저 아이들에게도 나처럼 그림 전문가에게 끌려다니도록 가르쳤고 교과서도 그런 식으로 만든 것이 아닌까 싶다'......

 

 

3

 

'서민의 눈'으로 본 이야기들입니다. 길 가던 부부, 고사리 꺾는 여인, 봄나물 캐는 여인, 보부상, 가난한 집 아이, 화냥년, 어물장수 며느리, 성균관 유생, 투전꾼, 맹인, 여인을 희롱하고 내친 양반, 허울 좋은 열녀가 되기보다는 현실을 수용하며 살아가려는 여인, 미망인, 술 취한 사내들을 비웃고 조롱하는 여인, 화원.........

작가는 그림 속 옛 사람들을 사랑하는 눈으로 참 좋은 우리말들도 되새겨 쓰고 있습니다. 아, 이런 말이 있었지 싶은 우리말들...... 

「부부행상」(김홍도) 이야기는 이렇게 시작됩니다.

 

"퍼뜩 댕겨 오이소. 가찹은 데로 가서 앵가이 팔믄 고마 돌아와야 됩니더!"

"뭐라카노! 이 무거분걸 마카 팔아야제. 내사 괘안타. 얼라 좀 단디 싸매고 광주리도 똑띠 잡고 댕기거래이!"

머리에 인 광주리가 처지는 바람에 개똥아배의 얼굴은 보이지 않아요. 겨우 보이는 지게작대기와 짚신코에다 소리쳤어요. 개똥아배도 지게에 잔뜩 실은 짐 때문에 구부정한 몸으로 내 종아리를 보고 대답했겠지요.

걷어 올린 바짓부리에 행전을 묶은 우리는 옷차림뿐 아니라 너부죽하고 거무튀튀한 얼굴까지도 닮았대요. 어디 모양새만 그럴까요. 소금을 짊어진 도부꾼과 생선을 파는 아낙이니 둘 다 비릿하고 짠 냄새를 풀풀 풍기겠지요. 등짝에 진다고 다 팔릴까마는 저 양반 뚜벅뚜벅 걸음이 더딘 걸 보니 오늘은 욕심을 부린듯해요.

한껏 치켜올린 치맛자락을 허리에다 질끈 묶고, 등에 업은 아기가 나부대다 떨어질까 아예 아기와 한 저고리를 입었어요. 한 손으론 광주리를 잡아야 하고 한 손엔 길잡이 작대기를 잡았으니 어쩔 수가 없네요. 업힌 놈은 등에서 낑낑대고 떼어놓은 두 놈은 눈앞에서 아른댑니다.

이럴 때는 그만 돌아서고 싶어요. 생선광주리고 뭐고 냅다 패대기를 치며 주저앉고 싶어요. 목숨붙이기가 어찌 이리 고단하고 까마득한지요. 개똥아배와 내가 이 마을, 저 산골 헤집으며 온몸으로 죽살이쳐야만 여섯 식구 입도 겨우 죽살이를 합니다.

 

사실은 우리말을 되살려 쓴 게 그리 중요한 건 아닙니다. 그건 이야기의 진실성을 보여주는 양념에 지나지 않기 때문입니다.

얼핏 보면 푸념 같지 않습니까? 넋두리, 하소연, 한탄, 신세타령......

그렇지만 나는 억눌려 살아온 저 사람들의 저 독백이 꾸중처럼 읽혔습니다.

오늘날이라고 다르겠습니까?

지금도 우리는 그 꾸중을 듣는 것 아니겠습니까?

작가 김종란은 어디서든 들을 수 있는 그 꾸중을 우리에게 예쁘게 혹은 아름답게 들려주는 것 아닌가 싶었습니다.

그걸 은유라고 합니까? 시인들의 은유를 옛 그림을 들여다보는 몸짓으로 우리의 귀에 조근조근 전해주는 은유가 아니겠습니까?

 

 

4

 

나로선 중요한 얘기가 남았습니다.

 

저 김종란은 오십 년 전, 일주일에 한 번쯤 내가 있는 교실을 찾아오곤 하던 아이였습니다.

그때 그 초등학교는 특별활동이 아주 단조로워서 주산부, 웅변부, 회화부, 육상부, 문예부, 합창부... 정도였는데 십여 명 교사 중에 문예부를 맡을 교사가 없어서 할 수 없이 내가 떠맡았습니다. 종란이는 하필 그 문예부가 좋다고 그 우중충한 교실을 찾아오곤 했습니다.

비 오는 날에는 그래도 내가 교실에 있을 수 있으니 다행이었지만(그래봤자 "그럼 오늘도 뭘 쓰든지 맘대로 써 봐" 했겠지요?^^) 그때 그 학교 교사들은 날씨가 좋은 오후에는 무조건 배구 시합을 했습니다. 나는 그게 좋아서 한 건 아니었고 교직원이 다 나와봐야 두 팀 만들기가 어려웠으니 어쩔 수가 없었습니다. 허구한 날 배구요 저녁에는 술이었으니 사실은 죽을 지경이었습니다.

 

그래도(죽을 지경이었어도) 종란이에겐 미안합니다. 말없이 나를 바라보던 그 아이.

 

육십이 넘은 숙녀에게 아이, 아이 하고 종란이, 종란이 하는 것도 미안합니다.

어쨌든 내 눈엔 우리 종란이가 어느 학자, 어느 작가보다 더 낫다, 자랑스럽다 싶은 건 숨기기 싫은, 숨길 수 없는 사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