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세월의 끝에 이르면 하나의 이야기로 엮이기를 기대하며 쓰는 편지
책 보기의 즐거움

나탈리 앤지어 『살아 있는 것들의 아름다움』

by 답설재 2009. 8. 31.

나탈리 앤지어 『살아 있는 것들의 아름다움』

햇살과나무꾼옮김, 해나무, 2003

 

 

 

 

 

 

"고기도 먹어 본 사람이 많이 먹는다"는 말이 있습니다. 흔히 "고기도 먹어 본 놈이 잘 먹는다"고도하는데, 이는 여성은 고기를 먹을 줄 모른다거나 좀 먹긴 해도 좋아하진 않을 걸로 여긴 그야말로 무지막지한 시절에 즐겨 쓰던 속담 형식이라 해둡시다. '놈'들만 나오는 속담이니까요. 사전에서 '고기'를 찾아보면 이 속담이 나오고 ‘무슨 일이든지 늘 하던 사람이 더 잘한다는 말’로 풀이되어 있습니다. 하기야 준비한 사람, 연습한 사람을 당해낼 재간이 없기도 합니다. 그런데 그건(고기도 먹어 본 사람이 많이 먹는 건) '진짜로'(과학적으로도) 그렇답니다.

 

나는 한때 삼겹살을 2인분이나 먹었습니다. 아내의 표현을 빌리면 '씩씩대며' 먹어치웠습니다. 그러다가 어느 땐가 배가 나오기 시작한다면서 그렇게 맛있는 삼겹살을 몇 달이 지나도 사주지 않게 되었고 영 기운이 없어 보이고 '시들시들'해 보이면 "고기도 좀 먹어야 한다"고 말은 해놓고는 그럭저럭 또 그냥 지나가고 맙니다. 그래서 요즘은 삼겹살 생각도 거의 나지 않고 고기를 봐도 몇 번 집어먹으면 그만인 상태가 되었는데, 그렇다는(별로 생각나지 않는다는) 얘기를 하면 이 불룩한 배를 쿡쿡 찔러대며 "오히려 다행"이라고 합니다. 그건 그렇고 나탈리 앤지어 Natalie Angier라는 과학전문작가가 쓴, "고기도 먹어 본 사람이 많이 먹는다"는 속담이 '진짜구나' 싶어지는 글을 한번 보십시오.

 

지방세포는 원래 크기가 열 배 이상 늘어날 수 있다. 지방세포는 크고 둥근 지방 방울을 싸는 얇은 막과 같은데, 돼지고기로 채워진 소시지의 막보다 잘 늘어난다. 섭취한 식품에 지방이 너무 많이 들어 있어서 체내에 존재하는 지방세포들이 다 흡수할 수 없으면, 신체는 새로운 지방세포를 생산해서 남은 지방을 흡수한다. 또 지방세포는 한번 생산되면 죽는 법이 없다. 체중이 줄 때는 지방세포가 죽는 것이 아니라 수축되는 것뿐이다. 한번 만들어진 지방세포는 절대로 죽지 않고 지방질이 풍부한 식품을 늘 기다리고 있다.(264)

 

놀랍지 않습니까? '지방세포는 풍선처럼 잘도 늘어난다' '우리 몸은 지방이 많이 섭취되면 "이게 웬 떡이냐!"면서 지방세포를 얼른 더 만들어서라도 알뜰하게 보관해준다' '지방세포는 한번 만들어지면 그 사람이 죽어서 저승에 가기 전에는 절대로 제 스스로 죽어주지는 않는다' '지방세포는 우리가 고기를 먹지 않으면 쭈글쭈글한 상태에서라도 "언젠가 내 주인이 지방을 먹어주겠지"하고 갈망하고 있다' 이런 이야기 아닙니까? 이러니까 고기도 먹어 본 사람이 많이 먹을 수밖에요.

이 책에는 온갖 진기한 이야기가 들어 있습니다. 진기할 뿐만 아니라 과학에 관한 이야기인데도 때로는 익살스럽게, 이웃집 이야기를 전하듯 정겹게 들리도록 전해줍니다. 가령 다음과 같은 것들입니다. 재미없어할까 봐 세 군데만 더 인용합니다.

 

두 종 이상의 전갈이 한 지역에 함께 살면서 먹이를 다투다 서로 잡아먹는 모습을 보고 나면, 이탈리아의 잔악한 군인 체사레 보르자1마저도 미국의 박애주의자 브랜드 번치(미국의 인기 있는 가족 시트콤의 주인공)처럼 보일 것이다. 그 지역에서는 작은 종의 어른 전갈이 큰 종의 새끼 전갈을 잡아먹고, 큰 종은 작은 종의 어른 전갈을 잡아먹으며, 비슷한 크기의 어른 전갈끼리는 일시적으로나마 먹이사슬의 꼭대기에 남기 위해 치열하게 싸운다.(147)

 

실험 결과, 환기를 잘 시키는 것이 바퀴벌레를 쫓아버리는 최고의 방법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바퀴벌레는 공기의 흐름을 통해 짝의 화학적 신호를 감지하는데, 만약 공기의 흐름이 바람에 가까울 정도로 빨라지면 바퀴벌레의 몸뚱이를 감싼 코팅이 순식간에 말라서 죽게 된다. 따라서 가장 좋은 바퀴벌레 퇴치 방법은 부엌 창문을 열어두거나 찬장이나 싱크대 밑에 작은 팬을 설치해 두는 것이다.(176) …(중략)… 지금 컴배트가 막강한 위력을 떨치고 있다 해도 궁극적으로 누구에게 승산이 있는지는 명심해야 한다. 바퀴벌레는 천문학적인 번식력을 갖고 있으며 수명이 짧다. 그리고 바퀴벌레는 이미 수천 년 동안 우리와 함께 살아왔다. 그들은 참을성이 많다. 그래서 도시인들이 새로운 살충제가 앞으로 수십 년 동안 효과가 있기를 기도하는 동안, 우리는 우리가 믿는 신이 길고 흰 수염을 가진 지혜로운 노인의 얼굴을 갖고 있는지, 아니면 머리를 살짝 수그리고 있는지 한 번쯤 생각해보아야 한다.(177)

 

싸움에서 진 아메리카살무사 수컷은 얼마나 풀이 죽는지, 그 뒤로 며칠 동안은 평소 같으면 싸움을 걸어올 엄두도 내지 못할 힘없고 작은 수컷과 싸워도 이기지 못한다. 싸움에서 진 수컷들이 이렇게 가엾은 꼴을 보이는 이유는 호르몬 수준에 변화가 생기기 때문이다. 수컷에게 거칠고 사나운 공격성을 부여해주는 테스토스테론의 양이 줄어들고 코르키솔 스트레스 호르몬이 현저하게 상승하는 것이다. 아메리카살무사 암컷이 수컷의 패배자 증후군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교미할 만한 수컷에게 다가갈 때 수컷 흉내를 내며 금방이라도 덤벼들어 싸울 듯이 몸을 곧추세운다. 그 위협 동작에 겁을 먹으면, 암컷은 그 수컷이 패배자이며 제 새끼들의 아버지가 될 자격이 없다고 판단하여 구애를 거절한다. 암컷은 대부분 승리자 하고만 짝짓기를 한다.(181)

 

바퀴벌레나 아메리카살무사는 그렇다 치고 지방세포의 정체성을 알면 제 아내가 뭐라고 할지 궁금합니다. "영원히 죽지 않는다고? 그렇다면 할 수 없지." 하고 포기하거나 불쌍하다면서 다시 삼겹살을 사주기 시작할는지, 아니면 그 지방세포들의 애간장을 더 태우자면서 이 상황을 더 끈질기게 몰고 갈는지…….

지방세포나 바퀴벌레나 아메리카살무사의 수컷이나 뭐가 아름답다는 건지 이 책의 제목은 '정말로' 『살아 있는 것들의 아름다움The Beauty of the Beastly』입니다. 그러나 그 모습이 아름답지 않다고 표현된 부분도 있긴 합니다. 가령 다음과 같은 부분입니다.

 

말라가시 족이 아이아이를 어찌나 금기시하는지 학자들 중에는 학명이 다우벤토니아 마다가스카리엔케스인 아이아이가 말라가시 족 사이에서는 ‘나는 모른다’라는 뜻을 지닌 토속어로 불리고 있다고 생각하는 이들도 있다. 이것은 말라가시 족이 아이아이라는 말조차 입에 올리기 싫어한다는 사실을 여실히 보여주는 예라고 할 수 있다. 그 아이아이가 그토록 미움을 받는 것은 아이아이의 괴상한 생김새 때문인지도 모른다.(210)

 

그런데도 왜 『살아 있는 것들의 아름다움』이라고 했는가? 더구나 이름도 듣기 싫은 지방세포, 바퀴벌레, 아메리카살무사가 뭐 그리 아름다우냐고 한다면 할 말이 없을 것 같습니다. 그러나 그렇다면 가령 나 같은 사람을 보며 "아름답다"고 할 사람은 이 세상에 아무도 없을 테니까 나의 이 운명은 지방세포나 바퀴벌레, 아메리카살무사, 아이아이보다 뭐가 더 낫겠습니까. 그러므로 내가 바퀴벌레의 입장이 되어 생각해 보면, 저 높은 곳에서 내려다보면 삼라만상이 다 아름다워 보일 것이라는 예상이 가능하다는 것쯤입니다. 그러나 나탈리 엔지어, 이 아름다운 이름의 여성은 이런 관점도 아닙니다. 어떤 관점인지 이 책의 머리말에서 인용합니다.

 

바퀴벌레의 생태학에 관해 자세히 배우고 나자, 나는 바퀴벌레들에게 깍듯이 인사라도 하고 싶었다. 바퀴벌레의 행동, 한 과(科)에 다양한 종이 존재한다는 사실, 인간과 함께 살기 위해서 또는 인간과 상관없이 자연에 적응하기 위해서 진화시켜 온 몸의 구조 등 이것들 하나하나가 바퀴벌레의 위대한 무용담이었다. 바퀴벌레의 역사는 불굴의 인내와 저항력, 민감성, 그리고 변화에 대한 끊임없는 적응력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중략)…

생쥐는 건너편에 있는 라면 봉지에 다가가기 위해 올림픽의 장애물 경기 선수처럼 줄줄이 놓여 있는 끈끈이 덫을 폴짝폴짝 뛰어넘어간다. 틀림없이 끈끈이 덫을 밟은 동료들의 운명을 지켜보고 배운 바가 있으리라. 생쥐가 자기 몸을 변화시키기보다는 관찰을 통해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다면, 바퀴벌레라고 그렇게 하지 못하라는 법이 있을까? 그리고 그런 순응성과 활기와 삶에 대한 열망을 아름답게 여기지 않는다면, 모든 창조의 어머니인 진화를 훌륭하다고 할 수 없을 것이다. 진화는 눈앞에 진행되는 생물학의 마라톤 행렬 옆에 서서 이렇게 소리치고 있다.

“아름다워져라! 힘껏 버텨라! 살아남아라! 살아남아라!”(11~12)

 

 

 

..............................................

1. 시오노 나나미가 쓴 소설 『체사레 보르자 혹은 우아한 냉혹』이 생각납니다. 참 재미있었습니다. 시오노 나나미에 의하면 그 냉혹한(冷酷漢) 체사레 보르자의 칼에는 '신뢰는 무기를 이긴다'고 쓰여 있답니다. 그런데 나는 오늘도 내 곁에서 결코 신뢰롭지 못한 사람을 보아야 합니다. 그것이 속상하지만, 내가 미미하고 미흡해서 그런 사람을 상대해야 하는 운명이니 누가 누굴 원망하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