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정도서6 교과서 제도 연구의 필요성과 관점 《교과서연구》 제79호(2015.3.) 권두언 교과서 제도 연구의 필요성과 관점 광복 후, 우리나라의 교과서 제도에 관한 법규는 1950년의 ‘교과용도서 검·인정 규정’과 ‘국정 교과용도서 편찬 규정’의 제정, 이 규정들의 개정, 폐지에 이은 1977년의 ‘교과용도서에 관한 규정’ 제정, 그리.. 2015. 3. 22. 인정도서심의회의 구성과 역할 어제 오후, 2013년도 인정도서 심의위원 연수회가 열렸습니다. 내용은 ▶ 2013년 교과용도서 편찬방향, ▶ 인정도서심의회의 구성과 역할, ▶ 인정도서 심사와 유의 사항, ▶ 인정도서 개발과 심의의 실제 등이었습니다. '인정도서심의회의 구성과 역할'에 대한 강의는 저에게 배당되어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발표했습니다. 인정도서심의회의 구성과 역할 Ⅰ. 교과용도서심의회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교과용도서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 제24423호(교육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일부개정 2013. 03. 23. 제3장 교과용도서심의회 등 제18조 (교과용도서심의회의 설치) 교과용도서의 편찬·검정·인정·가격결정 및 발행 등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기 위하여 교육부에 각급학교의 교과목 또는 도서별로 교과용도서심의회(이하 "심의회.. 2013. 5. 3. 우리나라 교과서 제도(개관) 한국교과서연구재단에서는 교육과학기술부의 위탁으로 CUTIS(교육과정·교과서정보서비스)를 운영해 왔습니다.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2013년부터 이 사이트를 교육과정 부문과 교과서 부문으로 나누어 교육과정 부문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관리하고, 교과서 부문은 행정 중심 서비스 업무를 민원인 중심 서비스로 바꾸어, 한국교과서연구재단에서 TIOS(교과서민원바로처리센터)라는 이름으로 개편 운영하도록 했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교과서연구재단에서는 이 사이트를 새로 구축하는 중이며, 늦어도 올 12월 중에는 시험 가동될 것으로 보입니다. "교과서"라고 하면, 우선 이 책들을 어디서 어떻게 구입할 수 있는지부터, 누가 어떻게 만드는 것인지, 모든 것이 궁금합니다. 이 사이트가 개통되면 학생과 교사들은 물론 일반 국민들도 .. 2012. 10. 11. 우리나라 교과서 정책 방향에 대한 의견 그동안 교과서 정책에 대한 강의를 해달라는 데가 두 군데 있어서 같은 원고로 이야기했습니다. 한군데는 교육과학기술부의 위탁사업으로 한국교과서연구재단의 교과서 모니터링에 참여하는 초·중·고등학교 교사들의 연수회였으므로 이런 내용의 강의도 필요할 것 같았지만, 한군데는 지금 당장 인정도서를 개발할 분들을 연수시키는 강좌였는데, "교육과정·교과서 정책, 무엇이 문제인가?" 그런 내용의 강의를 요청했습니다. 그렇게 해서 교과서를 개발하는 데 어떤 도움을 받겠다는 건지 의문을 가지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좋은 교과서를 만드는 일은커녕 우선 교과서를 만드는 일 자체가 그리 간단하지가 않습니다. "현재의 교육과정, 현재의 교과서는 이러저러해서 못마땅하다"는 비판력 정도로 썩 좋은 교과서를 만들 수 있다면 고민할 필요.. 2011. 12. 20. 초·중등학교 교과용도서 구분 방향 탐색 Ⅰ 초·중등학교 교과용도서 구분 방향 탐색 Ⅰ ◈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이어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은 이른바 교육과정 총론(지침)만 고시된 교육과정이며, 집중이수제, 학년군과 교과군, 진로집중지도, 창의적 체험활동 등이 그 특징입니다. 2009 개정 .. 2011. 6. 1. '한국의 교과서 정책과 발전방안'에 대한 토론 오늘은 한국교육과정교과서연구회가 프레스센터에서 제4회 교과서의 날 행사를 개최했습니다. 한국교육과정교과서연구회는 전직 편수관들의 모임입니다. 오전에는 기념식이 개최되었고, 오후에는 심포지움이 열렸습니다. 심포지움의 내용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제1주제 : 한국의 교과서 정책과 발전방안 (서성진 : 전 교육과학기술부 교과서기획과 과장) ○ 토론1 '한국의 교과서 정책과 발전방안'에 대한 토론 (필자 : 파란편지) ○ 토론2 '한국의 교과서 정책과 발전방안'에 대한 토론 (조성준 : 금성출판사 교과서연구개발실 실장) 제2주제 : 한국의 편수조직과 발전방안 (함수곤 : 전 교육부 편수관리관) ○ 토론1 : '한국의 편수조직과 발전방안'에 대한 토론 (정완호 : 전 한국교원대학교 총장) ○ 토론2 : '한국의 편.. 2009. 9. 2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