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알랭 드 보통 《삶의 철학산책》
The Consolations of Philosophy
정진욱 옮김, 생각의 나무 2002(2002.4.20 초판 1쇄 인쇄, 4.25 초판 1쇄 발행)
이렇게 구성되어 있다.
1장 인기 없음에 대한 위안 · 소크라테스
2장 충분한 돈을 갖지 못한 데 대한 위안 · 에피쿠로스
3장 좌절에 대한 위안 · 세네카
4장 부적절한 존재에 대한 위안 · 몽테뉴
5장 상심한 마음을 위한 위안 · 쇼펜하우어
6장 곤경에 대한 위안 · 니체
2002년 4월 25일에 나온 초판을 구입했지만 '나중에 읽어야지' 했다.
그러다가 2년 전 봄, 위의 책과 거의 같은 시기에 구입한《젊은 베르테르의 기쁨》이란 책을 읽었다.

이 책을 먼저 읽은 것은 《파우스트》를 읽다가 재미있는 각주를 발견했기 때문이었다.
소설《젊은 베르테르의 슬픔》(1774)은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작품인데, 그런 문호도 인간이니까 그를 싫어하거나 시기하는 사람이 있었고 그중 프리드리히 니콜라이(계몽주의자)는 괴테의 작품을 패러디한 《젊은 베르테르의 기쁨》(1775)을 썼더란다. 그리고 그걸 못마땅하게 여긴 괴테는 《파우스트》에서 그 작가를 '엉덩이 시령사(視靈師)'로 등장시켜 풍자했다는 것이었다.
나는 문득 내게도 《젊은 베르테르의 기쁨》이란 책이 있다는 것을 기억해냈다.
프리드리히 니콜라이의 작품이 아닌 '동명이본(同名異本)'의 책으로 「알랭 드 보통의 유쾌한 철학의 위안」이란 부제까지 붙어 있으니까 얼른 읽어보자 싶었다.
이렇게 구성되어 있다.
1장 인기 없는 사람을 위하여 · 소크라테스
2장 돈이 없는 사람을 위하여 · 에피쿠로스
3장 좌절한 사람을 위하여 · 세네카
4장 부적절한 존재를 위하여 · 몽테뉴
5장 상심한 사람을 위하여 · 쇼펜하우어
6장 곤경에 처한 사람을 위하여 · 니체
이 두 책이 같은 내용인지, 다른 내용인지 대조해 보는 것은 무의미하다.
나는 처음에 같은 내용의 책을 번역자가 다르고 판형이 다르게 하여 두 가지로 발행한 출판사에 대해 화를 내다가 같은 시기에 같은 저자의 두 가지 책을 목차도 들여다보지 않고 구입한 나 자신이 한심하다는 것을 인정했다. 《The Consolations of Philosophy》 원제만 봤더라도...... '신중하지 못하고 즉흥적인 바보가 누구를 원망할까?'
이 책들은 제목이라도 다르지, 똑같은 책을 '이 책 괜찮네!' 하고 두 권이나 구입해 놓고 나중에 '어? 여기 또 한 권 있네?' 하고는 누가 그걸 발견할까봐 얼른 '조치'(!)해 버린 일도 있으니 두 가지 버전의 책을 나란히 보관해 두는 것도 전혀 무용한 일은 아닐 것 같다. 더구나 두 책 다 장정도 썩 괜찮은 편이다.
"바보가 따로 없네. ^^ 그걸 또 나란히 보관하겠다고? 뻔뻔하긴."
그 정도 비난은 감수해야 마땅할 것 같다.
'책 보기의 즐거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책을 보면 세상에 이런 책이!' 하고 놀랄 것이라는 기대 (0) | 2025.04.19 |
---|---|
소중한 것은 그대로 있어 주지 않는다, 그것을 피할 길은 없다 (11) | 2025.04.03 |
틱낫한 《화 anger》 (6) | 2025.04.02 |
올리버 색스가 이야기한 지적장애인의 '구체성' (4) | 2025.03.23 |
정명환 단상 《인상과 편견》 (1) | 2025.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