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엔 이런 학습지가 없었습니다.
등사기가 있긴 했지만 그건 거의 시험지 인쇄 전용이었고 '학습지'라는 게 나타난 건 복사기가 보급된 이후입니다.
그래서 그 예전에는 색칠하기, 숫자를 차례로 이어서 모양 찾기 같은 과제는 여름 겨울 방학책에나 들어 있었고 아이들은 그런 걸 단시간에 해치우고는 "아니, 오늘 공부는 벌써 끝장이 났잖아!" 하고 호기롭게 일어서는 행복을 누렸습니다.
이런 공부가 즐거운 건 이미 윤곽이 그려져 있어서 가벼운 마음으로, 어떤 색을 선택해도 좋은 자유를 누리며, 거의 아무나 할 수 있는 작업이기 때문입니다.
다시 생각하니까 '누워서 떡먹기' 같은 이런 것도 참 좋은 공부가 되는구나 싶습니다.
얼마나 삭막합니까?
마스크를 쓴 채 하루 일과를 치러야 한다는 건 얼마나 가혹한 일이겠습니까?
이런 과제를 내주시는 선생님들께 새삼 고마움을 느낍니다.
루스 베네딕트는 "국화와 칼"(1946)이라는 책에 이렇게 써놓았습니다.
"미국인은 생활 전부를 끊임없이 도전해오는 세계에 맞게 조정한다. 그리고는 그 도전을 받아들일 준비를 한다. 반면 일본인은 오히려 미리 계획되고 진로가 정해진 생활양식에서만 안정을 얻으며 예견하지 못한 일에는 심각한 위협을 느낀다."
일본인들만 그렇겠습니까?
우리도 마찬가지죠. 아니, 이 세상 그 누구도 그렇지 않을까요?
백지 한 장을 주고 "네 마음대로 그려봐!" 하면 더 좋을 것 같아도 어떤 아이는 아무 생각도 나질 않는다며 한 시간 내내 우두커니 앉아만 있었습니다.
미국 아이들은 그런 과제를 더 좋아한다는 걸까요? 저렇게 색칠이나 하고 그런 것보다는 백지를 기대하고 앉아 있다는 걸까요? 글쎄요~
사고력, 문제해결력, 창의력이 발휘되기를 기대하는 교육이 보다 바람직한 것은 말할 것도 없긴 하지만.
교육이라는 건 그 무엇보다 어렵고, 어쨌든 다양한 활동을 요구하고, 때와 장소에 맞추어야 하고......
실로 어려운 사업이죠.
지도자들이 관심을 갖지 않아도, 또 엉뚱한 정책을 내놓고 적용해도 '그런가 보다' 하고 마는 게 교육이거든요.
저 학습지를 마련한 선생님은 정해진 윤곽에 색칠하기만 요구하지도 않았습니다. 마지막 빈 페이지에 가을엔 또 어떤 소리가 들리는지 써보고 그림도 그려보라고 했습니다.
저 아이는 '사르륵 사르륵' 책장 넘기는 소리도 들린다고 쓰고 그림도 그려놓았습니다.
'학교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W. H. Davies 「가던 길 멈춰 서서」 (0) | 2021.12.02 |
---|---|
명퇴한다는 K가 저...인가요? (0) | 2021.11.30 |
학교, 마음 편할 날 없는 곳? (0) | 2021.09.08 |
학교장 인사 (0) | 2021.05.22 |
"녹말에 요오드 용액을 떨어뜨리면?" (0) | 2021.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