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세월의 끝에 이르면 하나의 이야기로 엮이기를 기대하며 쓰는 편지
내가 만난 세상

아버지

by 답설재 2020. 3. 23.







                                   "工事中"(MISULRO KIUDA)





아버지





  아버지는 내게 하는 일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털어놓았다.

  「유엔, 이건 내 체질이 아니야. 그저 떠드는 것, 항상 떠드는 것뿐이라니까. 나란 사람은 행동하는 사람인데 말이야.」

  이해심 깊은 내가 고개를 끄덕였다.

  「너는, 네 하루는 어땠니?」

  「항상 그게 그거.」

  「학교에서는 1등, 발레에서는 별로 빛을 못보고?」

  「응. 하지만 나는 무용가가 될 거야.」

  「물론이지.」

  아버지는 그냥 말뿐이었다. 나는 아버지가 친구들에게 내가 외교관이 될 것이라고 말하는 것을 들었다. 「걔는 나를 닮았거든.」



  아멜리 노통브의 소설 『배고픔의 자서전』의 한 장면입니다.1

  이 산뜻한 대화를 읽고 한참 동안 '아버지'에 대해 생각했습니다. 부러웠고 부끄러웠습니다.



물론 악당들도

임자를 만날 때가

있다.


지금도 기억난다.

언젠가 집 안에 들어갔을 때

어머니가

내게 말했다.

"아버지가

심하게

싸웠어."


찾아보니

아버지는

변기에 앉아 있었고

화장실 문은

열려

있었다.


아버지의 얼굴은

멍들고 붓고

눈은 시꺼멓게 부풀어

엉망이었다.

한 팔은 부러져

깁스까지

하고서.


당시 열세 살이던 나는

우두커니 서서

아버지를 쳐다보며

뜸을

들였다.


아버지가 소리쳤다.

"뭘 쳐다보는

거야!

뭐 문제

있나?"


나는 좀 더

아버지를 보다가

자리를

떴다.


그로부터

3년쯤

뒤에

나는 아버지에게

뜨거운 맛을

보여 주었다.

그때는

아무런 문제도

없었다.



  찰스 부코스키의 시집 『창작 수업』에서 본 「악당」이라는 시의 후반부입니다.2 아버지가 악당으로 등장한 건지 '나'가 악당이라는 건지……. 아무래도 아버지가 악당 쪽인 것 같았습니다.


  나는 최근에 이 두 작품을 읽었고 씁쓸했습니다.

  '내가 악당이 되었구나…….'







  1. 전미연 옮김, 열린책들, 2006, 103. [본문으로]
  2. 황소연 옮김, 민음사, 2019, 62~65. [본문으로]

'내가 만난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달래  (0) 2020.03.31
눈(혹은 남자가 보는 남자)  (0) 2020.03.25
내 무덤 생각  (0) 2020.03.20
달밤  (0) 2020.03.15
엄청 높은 집 구경  (0) 2020.03.14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