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가사유상
최찬상
면벽한 자세만
철로 남기고
그는 어디 가고 없다
어떤 것은 자세만으로도
생각이므로
그는 그 안에 있어도 없어도 그만이겠다
한 자세로
녹이 슬었으므로
천 갈래 만 갈래로 흘러내린 생각이
이제, 어디 가닿는 데가 없어도
반짝이겠다
"설명이 필요없다"는 말이 있다.
지난 2일 저녁, 신문에서 이 시를 보며 그 말을 실감하는 느낌이었다.
♬
이렇게 세 줄로 붙여 쓸 수도 있다.
면벽한 자세만 철로 남기고 그는 어디 가고 없다.
어떤 것은 자세만으로도 생각이므로 그는 그 안에 있어도 없어도 그만이겠다.
한 자세로 녹이 슬었으므로 천 갈래 만 갈래로 흘러내린 생각이 이제, 어디 가닿는 데가 없어도 반짝이겠다.
또 이렇게 다 붙여 놓을 수도 있다.
면벽한 자세만 철로 남기고 그는 어디 가고 없다. 어떤 것은 자세만으로도 생각이므로 그는 그 안에 있어도 없어도 그만이겠다. 한 자세로 녹이 슬었으므로 천 갈래 만 갈래로 흘러내린 생각이 이제, 어디 가닿는 데가 없어도 반짝이겠다.
이렇게 붙여 놓았다고 해서 "시 같지 않다"는 말을 들을 리는 없을 것 같다.
그러면 行과 聯을 갈라놓았다고 詩가 되는 건 아니고,
한참 들여다보며 몇 번을 더듬어 읽고, 나의 경험들, 내 힘으로 가능한 짐작, 유추, 가상, 가정……
그런 것들 동원해도 알쏭달쏭한 것들을 굳이 詩라고 해야 할 이유도 없을 것 같았다. 또 그렇게 해서 비위를 맞춰줘 봐야 별 수도 없을 것이다.
♬
유치한 생각이겠지.
그렇지만 이제 반가사유상 사진이나 글을 보게 되면 '내가 지금 실제로 반가사유상 앞에 있다'는 생각을 해보기로 하고, 반가사유상 앞에 서게 되면 이 詩를 떠올리며 바라보기로 했다.
...................................................
문화일보, 2014 신춘문예 시 당선작. 시인은 1960년 경북 칠곡 출생, 서울대 경제학과 졸업. 심사위원은 황동규, 정호승 시인.
'詩 읽은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원길 「취운정 마담에게」Ⅱ (0) | 2014.02.19 |
---|---|
이만용 「섣달 그믐날」 (0) | 2014.01.30 |
「치유」 (0) | 2014.01.14 |
김원길 「마법」 (0) | 2014.01.07 |
김신용 「자라─외편」 (0) | 2014.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