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세월의 끝에 이르면 하나의 이야기로 엮이기를 기대하며 쓰는 편지
파란편지 모음 1

훈장과 '으뜸상'의 새로운 문화를 위하여

by 답설재 2007. 8. 29.

성복초등학교 학부모님께 드리는 파란편지

 

 

 

훈장과 '으뜸상'의 새로운 문화를 위하여

 

 

 

상(혹은 표창 : 상賞은 잘한 일을 칭찬하기 위하여 주는 표적. 표창表彰은 공로, 선행 등을 칭찬하여 세상에 널리 알리는 것)을 받고 싶지 않은 사람은 드물 것입니다. 아이들도 마찬가지입니다. 성복샛별잔칫날 어떤 분은, 자녀가 상을 받으며 저와 악수를 나눈 것에 대하여 커다란 자부심을 느끼더라고 하셨습니다. 그 말씀을 듣는 순간, 저는 새삼스레 놀라웠습니다. '아, 나는 참 중요한 위치에 있는 사람이구나, 그러므로 절대로 신중해야겠구나.' 그런 생각도 했고, '다음부터는 상을 줄 때 대표만 앞에 부를 것이 아니라 해당 학생을 모두 부르도록 해야겠다.'는 생각도 했습니다. 사실은 제가 아이들과 악수를 나누는 것은 우리끼리의 신뢰와 정(情)을 나타내는 것이라는 생각만 했었습니다.


좀 다른 이야기입니다. 어떤 부서에서 별일도 하지 않고 한두 해 근무했는데도 어떻게 된 일인지 굵직한 훈장까지 받는 사람을 보았습니다. 그런 사람은 아무 일도 하지 않았으니 감사받을 일조차 없어서 상을 받았는지도 모르겠습니다. 그에 비해 10여 년을 근무하고도 훈장은커녕 장관상 하나 받지 못하고 빈손으로 떠난 저를, 그분이 보면 아마도 '참 딱한 사람'이고 '지지리도 상복이 없는 사람'일 것입니다. 그러나 나름대로는 그 이유가 있습니다(이 편지를 쓰기 위해 할 수 없이 하는 이야기니까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그것은, 제게는 상을 줄 사람도 없었지만, 한번도 "저에게 상 좀 주십시오"한 적도 없기 때문이었습니다. 다른 곳은 모르겠으나, 유독 제가 근무한 곳들은 위에서 불러 공적조서를 내라고 하거나 본인이 알아서 "이번에는 저 상 좀 주십시오" 해야 일단 해당자가 될 수 있는데, 저로서는 도저히 그렇게 할 수 없다고 본 것입니다. 바로 이 성격 때문에 상을 받지 못한 '불운한 교육자'가 되었을 것 같기도 합니다.


그러나 저는 앞으로도, 그런 상을 받지 못하는 한이 있더라도, 우리의 이런 문화는 반드시 고쳐야 한다는 것을 주장하고 싶습니다. 그래서 우리 학교에 와서는 어떤 선생님 몰래 그분의 공적조서를 써내 상을 받으시게 한 적도 있습니다. 상은, 모름지기 그런 것이어야 할 것입니다. 혹, 모르겠습니다. 본인이 "나는 이런 사람이오." 하는 것이 당연하고 바람직하다면 이런 문화를 더 발전시키고, 제가 고쳐야 한다고 주장한 것을 고치지 말면 그뿐이겠지만, 물어보십시오, 열이면 열, 겉으로는 모두들 제 의견이 타당하다고는 할 것입니다.


우리가 어렸을 때에는 우등상이 최고였습니다. 선생님들께서는 하나같이 개근상·정근상이 더 값진 것이어서 우등상보다 먼저 준다고 하셨지만 그건 아무래도 거짓말 같았습니다. 그런데, 그 우등상은 해마다 거의 같은 사람이 받았습니다. 그러다 보니 당연히 받아야 할 아이가 받지 못하면 그 아이에게는 병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저는 시험성적은 오히려 더 좋았던 4학년 때만 그 상을 받지 못했는데, 그 시절에는 우등상을 주지 않는 이유 같은 것을 물어본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시절이었지요). 그러면서 세월이 흐르자, 이번에는 진보상 - 예를 들면, 이름도 진보적인 '거북상' - 을 주는 학교가 늘어났습니다. 그러면서 또 세월이 흐르자, 아예 성적에 의한 상을 없애게 되었고 지금까지 그렇게 해오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건 아무래도 성적에 관한 과열경쟁을 없애자는 취지였을 것 같은데, 정말 그렇게 되었는지는 중·고등학교의 경우 자신 있게 설명하기가 어려울 것 같습니다.


제가 우리 학교에 와보니 역시 우등상은 주지 않고 '으뜸상'은 자주 주고 있었습니다. 으뜸상이야말로 참 좋은 시상제도입니다. '으뜸' '으뜸상'이라, 잘만 운영한다면 수많은 어린이들이 이 상을 받으면서 꿈을 키워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사실은, 요즘 어느 학교나 대개 이런 상을 주지만, 그만큼 값어치가 떨어진 시상제도가 되어버려서 어쩌면 저 옛날의 우등상, 개근상 꼴이 되어 곧 교육박물관으로 사라지지나 않을까 염려가 되었습니다. 그래서는 안 되겠지요. 그러면 우리는 또 다른 무슨 시상제도를 마련해야 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미국에서는 자녀가 이런 상을 받으면 당장 자동차의 유리창에 그 상을 부착하고 다니게 되며, 그 상장을 본 이웃들은 그 아이를 '참 대단한 아이'라고 칭찬한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기 때문입니다. 당연히 그래야 하지 않겠습니까. 그래서 우리 학교에서는 다른 학교처럼 담임이 보고 '대충' 착한 아이를 골라서 명단을 내기보다는 그 아이가 잘한 일을 6하 원칙(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왜, 어떻게)에 따라 기록해내면 누구에게라도 이 상을 주기로 했습니다. 제 생각에는 담임은 그 아이 몰래 그 기록을 제출하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자, 그러자면 학부모님께서도 좀 협조해 주셔야 합니다. 담임이 어떻게 아이들의 생활상을 다 파악하실 수가 있겠습니까. 그러므로 학부모님들께서는 자녀는 물론 이웃 아이의 멋진 행동, 아름다운 행동을 관찰하시게 되면 훌륭한 문장이 아니라도 좋으니 우리 학교의 누구에게 어느 때라도 메일, 편지, 전화, 면담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좀 알려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담임 선생님께서는 그 공적을 공정하게 심사하실 것입니다. 그리하여 학부모님 여러분께서도 부디 이 시상제도가 교육박물관 유리창 안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해주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말씀드립니다. 지난 7일에는 34명이 이 상을 받았는데, 2학년 이한이는 우유 당번을 자청하고 친구들을 잘 도와주었으며, 3학년 원준이는 친구들이 별명을 불러도 화를 내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정답게 유쾌하게 지내는 모습 때문에 이 상을 받았습니다.

 

 

2005년 11월 1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