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세월의 끝에 이르면 하나의 이야기로 엮이기를 기대하며 쓰는 편지

한국교육과정교과서연구회6

"자랑스러운 편수인상" 수상 소회 1986년, 초등 교사였을 때 편수를 돕기 시작해서 1989년 12월, 파견근무를 하며 5차 교육과정 초등학교 사회, 사회과탐구 편찬 업무에 참여했고 1993년 6월에는 편수국 교육연구사가 되었습니다. 2년간의 시·도별 사회과탐구 개발은 연구진·집필진·삽화진 전체를 지역별로 구성했는데 열두 번의 연수회를 열고도 그 원고를 일일이 써주다시피 했으므로 많이 힘들었습니다. 그간 초등학교와 특수학교 각 장애영역별 초등부 사회과 교과서도 동시에 개발하고 있었습니다. 편수는 외로운 것이었습니다. 설날도 추석도 없이 교과서 원고나 삽화, 혹은 이미 개발된 교과서를 읽고 고치고 고친 것을 또 고쳤고 직접 지도를 제작하기도 했습니다. 전철에서도 교과서를 읽고 고치다가 "이상한 사람"이라는 소리도 듣고 쓰러져서 병원에 실.. 2018. 4. 10.
오늘은 '교과서의 날' 오늘은 '교과서의 날'입니다. '그래? 달력에는 표시가 없는데……? 그 이상하네.' 그렇게 생각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그냥 우리끼리(전에 교육부에서 교과서 편찬, 개발을 담당하던 편수관 출신끼리) 정한 날이기 때문입니다. 그 모임 이름은 '한국교육과정교과서연구회'인데, 거의 모두 노인들입니다. 젊은이들은 이 모임에 잘 나오지 않습니다. 잘 나오지 않는 이유를 알고 있지만, 혹 그 노인들 중에서 누가 이 글을 보고 저를 원망할까봐 참겠습니다. 그러니까 '교과서의 날'은 한국교육과정교과서연구회에서 정한 비공식 기념일입니다. 비공식 기념일이란 정부에서 인가한 기념일이 아니고, 그 연구회에서 자의적으로 정했다는 뜻입니다. 온갖 기념일이 다 있는데도 교과서의 날을 인가하지 않은 것은 다 이유가 있을 것입니다. 가.. 2012. 10. 5.
사임당에 추대된 허윤정 시인 어느 전철역에서 허윤정 시인의 「노을에게」라는 시를 보셨습니까? 「노을에게」(시 읽기) 바로가기 ☞ https://blueletter01.tistory.com/7637909 ♬ 그 시를 지은 허윤정 시인이 한국주부클럽연합회로부터 제44대 사임당에 추대되어 지난 17일 오후 남산 한옥마을에서 기념행사를 가졌습니다. 현모양처의 전형, 율곡의 어머니, 시·서·화(詩書畵)에 능한 예술가, 5만원권 지폐에 초상화가 그려진 인물 신사임당, 그의 정신과 행실, 업적을 기리고자 하는 이런 행사가 44년째 이어오고 있는 줄은 몰랐습니다. 이 '컨트리보이'는 허구한 날 남의 결혼식장에는 가보았지만, 그런 행사에서는 어떻게 축하하는지 그걸 알 수가 없어서 과자 한 박스를 사가지고 갔습니다. 그날 오전에는 내내 비가 오고 천.. 2012. 5. 19.
최현배 선생의 손자 외솔 최현배 선생의 손자를 만났습니다. 지난 2월 25일 오후 6시 30분, 프레지던트 호텔 31층 모차르트홀에서 열린 한국교육과정교과서연구회 2011년 정기총회에서였습니다. 전직 편수관(編修官)들의 모임인 한국교육과정교과서연구회에서 외솔 최현배 선생의 손자를 초청한 것입니다. 편수관이란 장학관, 교육연구관, 교육연구사, 장학사처럼 전문직의 직렬 중 한 가지이지만, 지금은 그런 직렬을 가진 전문직이 없습니다. 우리나라 정부조직에서 편수국이 사라졌으므로 편수관들도 없어진 것입니다. 편수관들은 '교육과정(敎育課程)' 즉 초·중·고등학교와 유치원, 특수학교 교육을 위한 학교교육의 교과별 목표와 지도내용, 지도방법, 평가방법 등을 정하고 관리하는 일, 교과서를 편찬하고 관리하는 일을 했습니다. 간단히 말하면 그.. 2011. 3. 18.
교과서의날 심포지움 지난 9월 28일 제4회 교과서의 날 기념 심포지움은 전직 교육부 편수관들의 모임인 '한국교육과정교과서연구회'가 주최한 행사입니다. 이날 오전에는 기념식이 거행되었고, 오후에 심포지움이 열렸습니다. 점심은 주최측에서 제공했습니다. 얼굴을 보여야 할 사람들은 점심을 먹고 다 돌아갔습니다. 맨 밑의 오전에 찍은 사진을 보면 알 수 있지만, 가뜩이나 노인들이 주류를 이룬 행사였는데, 오후의 심포지움 때는 아직 현직에 있는 사람은 거의 없었고, 더구나 정부측의 인사는 단 한 명도 남아 있지 않았습니다. 우리의 그 행사는 이래저래 참 서글픈 일이 되었습니다. 그만큼 영향력이 없으니까 신문에는 단 한 줄도 나지 않았습니다. 그냥 우리끼리 발표하고 듣고 그러고 말았습니다. 2009. 9. 30.
교육혁신 방향정립을 위한 논의 (경기신문 0708) 우리나라의 공식적인 교과서 연구기관은 '한국교과서연구재단' 하나뿐입니다. 그러나 이 기관에는 아직 교과서를 연구하는 직원은 하나도 없고 교과서연구를 도와주는 직원 몇 명이 근무하는 영세한 형편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한심한 실정입니다. '한심하다'고 한 것은 그 재단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여러 가지 면에서 잘난 체하는 우리나라를 가리킵니다. 저는 이 재단에서 1년에 3회 80쪽 짜리로 발행하는 저널 '교과서연구'의 편집기획위원장을 맡고 있습니다. 여러 선배님들과 정부, 교과서 전문출판사 등의 지원으로 지령 50호를 넘기는 했지만 나라도 이렇게 일하여 이어가야 한다는 강박감 같은 걸 느끼고 있습니다. 그 외에 학회 성격의 모임을 들어보면, 교육부 편수관 출신들의 모임인 '한국교육과정교과서연구회'(회장.. 2007. 9.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