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그말리온2 피그말리온의 기원에 응답한 갈라테이아(2021.10.29) 조각가 피그말리온의 아내 갈라테이아는 본래는 사람이 아니었다. 단지 빛깔 좋은 상아에 지나지 않았었다. 피그말리온은 여성에겐 결점이 많다고 여겼다. 좋은 사람이 수없이 많은 걸 모르고 여성이라면 곧장 혐오하면서 독신으로 지내겠다고 다짐했다. 바보! 그러다가 예쁜 여성 입상(立像)을 조각했는데 그게 그의 이상형이었겠지? 그 아름다움은 세상의 어떤 여성도 비교 대상이 될 수 없었다. 그의 솜씨는 그야말로 완벽했으므로 그 여인상이 나무랄 데 없을 건 당연한 일이었다. 피그말리온 자신도 그 작품에 만족한 나머지 그만 그 여인상과 사랑에 빠지고 말았다. 그 입상이 살아 있는 것 같아서 만져보기도 했는데 그게 상아에 지나지 않는다는 걸 확인할 때마다 실망에 빠지곤 했고 그러면서도 그 사실이 믿기지 않아서 그 여인상.. 2021. 10. 29. 조지 버나드 쇼 『피그말리온』 조지 버나드 쇼 희곡 《피그말리온》 김소임 옮김, 열린책들 2011 이 희곡의 모티브는 자신이 조각한 여인상과 사랑에 빠진다는 그리스 신화 「피그말리온」 이야기입니다. * 쟝레온 제롬(JeanLeonGerome. French, 1824-1904), '피그말리온과 갈라테이아' 키프로스 여성들은 아프로디테의 저주로 나그네에게 몸을 팔게 되고, 키프로스의 왕 피그말리온은 여성에 대한 혐오로 결혼을 할 수 없게 됩니다. 대신 피그말리온은 지상의 「헤파이스토스」1라 불리는 솜씨로 상아를 이용해 아름다운 여인상을 만들고 '갈라테이아'라고 이름 붙입니다. 그리고 지상의 어떤 여인보다도 아름다운 이 조각상을 사랑하게 됩니다. 자기가 만든 조각상을 따듯한 눈길로 쳐다보며 다녀오겠다고 인사하고, 포옹하고 입맞추며 다녀왔다.. 2011. 10. 1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