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례예술촌4 지례예술촌 화재 전말기 / 김원길 예술촌 화재 전말기 김원길 집이 불탔다. 내 집 지촌종택이 불타서 없어졌다. 40년 전 임하댐 건설로 수몰을 피해 지례 뒷산 중턱에 옮겨 놓은 지례예술촌이 불타 없어졌다. 자고 일어나 가서 보니 타고 없어졌다. 꿈 이야길 하는 게 아니다. 내 눈으로 가서 보았다. 어제저녁에 있었던 종택과 서당, 별묘, 주사, 행랑채, 곳간, 방앗간이 이번 괴물산불에 밤새 불타서 잿더미가 된 것이다. 엊그제 3월 25일은 아버지 기일이었다. 제사 준비는 아들 내외가 하고, 병원 가까이 시내에 사는 나와 아내는 저녁 무렵에 지례로 가기만 하면 된다. 그런데 아내 말이 오늘은 수형이가 제사 장 보러 시내에 나와 있고 정희 어미 혼자 제수장만을 하고 있을 테니 우리는 점심 먹고 바로 지례로 들어가서 며느리를 돕자고 .. 2025. 4. 16. 사라져버린 안동 '지례예술촌' 점심때 안동 김원길 시인에게 전화했더니 지례예술촌 건물 열 채 중 사당 두 채만 남기고 다 타버렸단다. 지례예술촌은 안동에서도 굽이굽이 첩첩산중 호숫가에 홀로 있습니다.여기서 느낄 수 있는 것은 자연의 아름다움, 평화로움과 고요함 그리고 예스러움입니다. 여기서는 그냥 마루 끝에 앉아서 새소리 벌레소리를 들으며 푸른 산과 호수를 마냥 바라보는 것, 호수 위로 물안개, 소나기, 눈보라가 연출하는 장관을 감상하든가 책을 읽든가 산책을 하든가 낮잠을 자는 게 좋겠습니다. 지는 해와 저녁노을 밤하늘의 은하수도 놓치지 마십시오. 그리고 흐린 밤, 칠흑의 어둠도 체험해 보세요. 그 속에서 떠 다니는 작은 반딧불이...낚시나 바둑도 좋고 서예도 할 수 있고 음악연주도 할 수 있습니다. 산책길에 오디,.. 2025. 3. 26. 김원길 편저 《안동의 해학》 김원길 편저 《안동의 해학》 지례예술촌 2012 해와 달 선비 한 사람이 해질녘에 어느 시골 동네 앞을 지나게 되었는데 떠꺼머리총각 둘이 신작로 복판에서 왁자지껄 말다툼을 하고 있었다. 선비가 가까이 가자 "자, 그럼 우리 저 사람한테 물어보자." 하는 것이다. "보래요, 우리가 내기를 했는데요. 저기 저 하늘에 떠 있는 게 해이껴, 달이껴?" 서녘 하늘엔 둥근 해가 지고 있었는데 유난히 크고 벌개서 달 비슷하게 생기기는 했지만 보름달이 서쪽에서 뜰 리가 없지 않은가! 순간 장난기가 동한 이 선비는 두 총각을 번갈아 바라보다가 왈, "글쎄, 나는 이 동네에 안 살아 봐서 잘 모르겠네." '숙맥열전(菽麥列傳)' 중 한 편이다. 이런 이야기 109편이 안동을 위한 변명, 숙맥열전, 개화백태, 안동 그 낯선 .. 2024. 1. 29. 김원길 「상모재」 교육대학을 다닐 땐 곤궁하고, 재미도 없고, 걸핏하면 쓸쓸해서 그 2년이 참 길었습니다.그나마 당시 안동 어느 여자고등학교 국어 선생 김원길 시인을 만나는 날에는 제법 재미있는 시간을 보냈습니다. 김원길 시인이 『월간문학』(「취운정 마담에게」, 『시문학』(「꽃그늘에서」 등)으로 등단하고, 고향 지례가 임하댐 건설로 수몰되자 선대 유산인 고건축물 10동을 마을 뒷산으로 옮겨 지어 문예창작마을 을 운영하고 있다는 등 그간의 동정은 간간히 들었지만, 모른 척 지냈는데, 얼마 전에, 그러니까 45년만에 덜컥 연락을 해왔습니다."만나러 가겠다!" 그 시인이 「상모재」라는 시가 들어 있는 글 「상모재」를 보내주며 심심하거든 한번 읽어보라고 했습니다. 심심하거든…… 상모재 .. 2013. 9. 1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