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감상2 정지용 「비로봉毘盧峰2」 담장이물 들고,다람쥐 꼬리숱이 짙다.산맥 우의가을ㅅ길―이마바르히해도 향그롭어지팽이자진 마짐흰들이우놋다.백화白樺 홀홀허울 벗고,꽃 옆에 자고이는 구름,바람에아시우다. 2022년 8월에『현대문학』에서 이 시를 보았다. 유종호 에세이 「어떻게 키웠는데―자작나무와 엄마 부대」에 소개되었는데 시 한 구절 한 구절을 해설해 놓지는 않았던 것 같다. 이 시의 단어 하나하나, 각 행 혹은 전체적인 내용을 묻는 시험을 본다면 나는 답할 수가 없다. 웬만한 사정이면 시를 찾아 읽는다고 읽어왔지만 그런 걸 어떻게 하나.그렇지만 나는 이 시를 여러 번 읽었다.읽을 때마다 가슴속으로 들어와 일렁이는 가을빛이 좋았다. 시조차 신문기사 해석하듯이 해석하려는 시험문제 출제자가 보면 나는 한심한 사람일 것이다.. 2024. 12. 23. 나의 '詩 읽은 이야기' "현대문학" 8월호 차례를 봤더니 이런 시가 실렸다.아직 읽어보지는 않았다. 고명재 오징어입 버터구이김승일 알리는 말씀박연준 오종종한 슬픔유수연 시간이 없다 말한 너와 겨우 만났지만 날 싫어하는 것 같고 헤어진 후에 가슴 가득 노을이 차는 것 같을 때이 훤 포토그래프임승유 소꿉최지은 겨울에서 겨울까지 가슴을 적실 것 같은 시, 재미있을 것 같은 시, 즐거움을 줄 것 같은 시, 그래! 이런 생각도 있지 싶을 시, 지금까지 말해지지 않았던 인간의 어떤 면모를 노출했을 것 같은 시, 지난 세월을 스스로 말할 줄 모르는 나를 변명해 줄 것 같은 시... 그런 시들이겠지, 그런 기대를 가졌다.예감대로일 시가 있을 수도 있고, 단 한 편도 그렇지 않아서 실망스러울 수도 있다.그건 시 자체 때문.. 2024. 8. 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