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세월의 끝에 이르면 하나의 이야기로 엮이기를 기대하며 쓰는 편지

김춘수7

「샤갈의 마을」展(2010 겨울) 2010년 겨울, 「샤갈의 마을」展이 열리고 있었다(2010.12.3~2011.3.27. 서울시립미술관). 그 겨울에 나는 제정신이 아니었다. 약골이긴 하지만 병원에 간 적 없었는데 한꺼번에 무너져 아팠고, 41년 공직에서 퇴임을 했고, 그런데도 큰일들을 치러야 했다. 그런 중에도「샤갈의 마을」을 볼 수 있었던 건 다행이었다. 샤갈이 그가 사랑한 러시아의 마을을 어떻게 그렸는지,「샤갈의 마을에 내리는 눈」(김춘수)에 등장하는 그 아낙, '그해의 제일 아름다운 불을 지피는 그 아낙', 혹은 「忍冬잎」(김춘수)에 나오는 저 '이루지 못한 꿈을 가진 인간'의 눈으로 구경할 수 있으면 싶은 마음으로 그림들을 보려고 했다. 서울시립미술관은 좀 소란스럽고 무질서했다. 우리는 이미 돈이 많은 나라니까 좀 소란스럽고 .. 2023. 5. 17.
김춘수 「샤갈의 마을에 내리는 눈」 김춘수의 詩에 몰두한 적이 있다. 그의 네 번째 시집 『處容 以後』(민음사, 1982)의 표지에는 시인의 얼굴 그림이 있다. 안경을 낀 깡마른 얼굴을 스케치해 준 그 화가는 나중에 자신의 소묘집 『시인의 초상』(지혜네, 1998)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 "김춘수 선생은 성격 면에서 매우 찬 분이다. 성격이 더운 시인도 있고, 괄괄한 분도 있고, 오종종한 서생(書生)도 있는데, 늘 수면에 얼음 같은 게 떠 있는 분이 선생이다." "김춘수 선생이 어느 하늘 아래(옛날에 바닷가 마산이나, 뜰에 후박나무가 서 있던 대구 만촌동이나, 지금 서울 강남 아파트촌에) 계시다는 것은 마음 훈훈하다." 그러고보면 김춘수의 시에는 그 성격이 잘 드러나 있는 것 같다. 차가움 안에 따듯한 마음, 섬세함이 스며 있다. 샤갈의 .. 2020. 9. 25.
김춘수 「내가 만난 李仲燮」 내가 만난 李仲燮  光復洞에서 만난 李仲燮은머리에 바다를 이고 있었다.東京에서 아내가 온다고바다보다도 진한 빛깔 속으로사라지고 있었다.눈을 씻고 보아도길 위에발자욱이 보이지 않았다.한참 뒤에 나는 또南浦洞 어느 찻집에서李仲燮을 보았다.바다가 잘 보이는 창가에 앉아진한 어둠이 깔린 바다를그는 한 뼘 한 뼘 지우고 있었다.동경에서 아내는 오지 않는다고,   김춘수 시인의 네 번째 시집 『處容 以後』에 있습니다(44쪽)서귀포 혹은 부산의 쓸쓸한 거리에만 있었을 이중섭.그림을 보는 것이 미안해지는 이중섭."우리의 이중섭"이라고 해도 괜찮을까 싶은 이중섭. 그의 그림값이 올라갈수록 나는 미안합니다.그림은 아무래도 돈이 있는 사람이 가질 것인데 미안한 마음은 나도 좀 감당하는 것이 어처구니없고 주제넘은 일이긴 합니.. 2019. 5. 14.
三月에 내리는 눈 저 허름한 비닐창으로 폭설이 내리는 걸 보며 식사를 했습니다. 팔당이라는 곳이었습니다. 폭설이 내리는데도 사람들은 걱정도 하지 않았고 오히려 식사가 더 즐거운 것 같았습니다. 비가 진눈깨비로 바뀌었고 금방 또 폭설이 내리는 것이었는데 지상의 기온이 영상이어서 내리는대로 거의 다 녹았습니다. 잠깐 "샤갈의 마을에 내리는 눈"(金春洙)이 생각났지만 먹는데 정신이 팔려 곧 잊었습니다. 돌아오는 길은 눈은커녕 쨍쨍한 곳이 한참 동안 이어졌는데 우리 동네에 들어오자 또 눈이 내렸습니다. 이번에는 싸락눈이어서 차창에 부딪친 눈이 작은 유리구슬처럼 폴짝폴짝 뛰었습니다. 이번에는 "싸락눈 내리어 눈썹 때리니"가 생각났습니다(『徐廷柱詩選』(1974, 민음사 세계시인선 ⑫), 111쪽). 생각만 했지 그 얘기를 하진 않았.. 2019. 3. 23.
김춘수 「새 두 마리」 2016.3.29.   새 두 마리  김춘수  저만치 산수유나무에 새가 두 마리앉아 있다. 어떤 사일까,자꾸자꾸 주둥이를 맞댄다.한 번씩 한쪽이주둥이를 쪼아댄다. 따끔따끔,내 눈이 어디로날을 듯 즐겁다.   김춘수 《달개비꽃》 현대문학 2004                                                                                                                2016.4.24.   이 시인의 시들은 그림 같았습니다. 그림을 읽는 것 같았습니다.모두들 그걸 알고 있는지 궁금해서 일일이 물어보고 싶었습니다. 그림 같은 저 시에, 산수유인지도 모른 채, 시인이 저런 새를 보았는지도 모른 채, 사진을 붙여놓는 짓은 터무니없긴 합니.. 2016. 12. 16.
金春洙 「내가 만난 이중섭」 내가 만난 李仲燮                                                      金春洙  光復洞에서 만난 李仲燮은  머리에 바다를 이고 있었다.  東京에서 아내가 온다고  바다보다도 진한 빛깔 속으로  사라지고 있었다.  눈을 씻고 보아도  길 위에  발자욱이 보이지 않았다.  한참 뒤에 나는 또  南浦洞 어느 찻집에서  李仲燮을 보았다.  바다가 잘 보이는 창가에 앉아  진한 어둠이 깔린 바다를  그는 한 뼘 한 뼘 지우고 있었다.  東京에서 아내는 오지 않는다고,                                 金春洙 詩集 『南天』(槿域書齋, 1977), 88~89쪽.     西歸浦에 가면 '이중섭미술관'에 가 보십시오. 西歸浦에만 가면 '이중섭미술관'에 가보.. 2011. 5. 13.
김춘수 「꽃」-양지오름길, 양지뜨락을 생각하며 어젯밤에는 꿈 끝에 ‘양지오름길’ ‘양지뜨락’ 생각을 하다가 잠이 깨었습니다. 젊었을 때는 아이들을 꾸중하는 꿈을 많이 꾸었는데, 요즘은 아이들은 잘 보이지 않게 되었습니다. ‘양지오름길’ ‘양지뜨락’이라는 이름은, 지금은 가평교육청에서 장학사로 근무하는 원옥진 선생이 작년 봄에 아이들에게 공모를 해서 지은 이름입니다. 교문에서 교사(校舍)까지 올라오는 길을 뭐라고 부르는가, 어떻게 불러야 편리한가, 그 길의 이름이 없어서 불편하지 않은가, 그런 생각을 이야기한 끝에 공모를 제안했던 것입니다. ‘양지뜨락’도 마찬가지입니다. 그 뜰에서 가령 도서바자회를 한다고 치면, “도서바자회를 어디서 하지요?” 물을 때 “건물과 화단 사이에서 합니다.” 하고 대답하면 참 애매한 대답이 될 것입니다. 공모(公募)는 참 .. 2009. 11.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