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세월의 끝에 이르면 하나의 이야기로 엮이기를 기대하며 쓰는 편지
교육논단

학력이란 무엇인가 (2018.10.18)

by 답설재 2018. 10. 18.

 

 

 

 

지난여름 교육감 선거 중에는 학력에 관한 의미 있는 다툼이 벌어졌었다. 혁신학교를 운영하면 기초학력이 떨어진다는 논란에 따른 학력 논쟁이 선거공약으로까지 등장한 것이다.

 

이른바 진보 후보 측에서는 남북 정상회담을 계기로 북한 수학여행, 남북 학교 간 자매결연, 남북 학생 평화축제, 토론․실천 위주의 통일교육 등 남북 학생 교류를 특징적 공약으로 내놓은데 비해 보수 후보 측은 '공부하는 학교'를 만들어 진보․좌파 교육감들이 그동안 혁신학교를 지정 운영해서 망쳐놓은 학생들의 학력을 끌어올리겠다고 했다.

 

학력 문제는 선거 후 전국 시도교육감협의회에서 구체화되었다. 중간․기말고사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 성적이 높으면 학력이 높고 그 성적이 낮으면 학력이 낮다고 보는 건 옳지 않으므로 학력에 대한 새로운 정의가 필요하고, 혁신학교의 창의력, 체험 중심 교육에 대한 불신․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논의가 이루어진 것이다. 또 교과목 성취도로만 평가하는 학력은 4차 산업혁명시대에 맞지 않으므로 지성과 감성, 시민성의 조화로운 발달을 학력으로 봐야 한다는 연구가 이루어진데 이어 현재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새로운 개념의 학력'을 측정하는 지표 개발 연구를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학력이란 교육(학습)에 의해 달성되는 성적의 내용이며 그 성적은 교육(학습)의 목적에 따라 평가되므로 학력의 성격은 사회적․시대적으로 상대적인 해석이 가능한 것이다. 가령 각 대학들은 그 대학의 교육내용을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을 학력으로 보고 그런 능력(학력)을 가진 학생을 뽑으려고 할 것이다. 이때 그 대학들이 학력을 "문제를 해결하는 힘"으로 보기보다는 "암기하고 있는 지식의 양"으로 본다면 학력 측정 방법이 적절할 리 없고, 이에 따라 초중등학교나 학원들의 학력에 대한 관점도 일그러지기 마련이다. 다른 학생들은 어떻게 됐든 특정 대학 합격자 수에 연연하고 특정 대학에 단 한 명이라도 합격한 학교를 호명해주는 현상은 잘못된 학력관의 대표적 사례다.

 

'지식기반사회'라는 용어가 등장했을 때 교육부(2000)에서는, 학교는 엘리트․천재에 의해 정리된 고도의 권위적 지식만이 아니라 "정보의 바다"에서 대중에 의해 생산된 지식을 가르치게 되므로 지식․정보의 단순한 전달․수용보다는 그 지식․정보를 평가․선택․조직․활용․생산․재구성하는 능력을 더욱 중시해야 한다고 했다. 당시 어느 인공지능학자는 그동안 '교육을 받는다는 것, 지성을 갖춘다는 것은 사실의 축적, 남의 생각을 인용하는 능력, 축적한 지식을 보여줄 수 있는 능력'을 의미했지만 앞으로 그 사실․지식들이 교실 벽에 다 나타나게 되면 무엇을 어떻게 가르치겠는지 물었다(로저 샨크).

 

학력과 지식에 관한 이런 논의는 새삼스러울 것이 하나도 없다. 그동안 누구도 단편적 지식을 중시하자고 한 적이 없고 얼마나 많은 지식을 암기하느냐가 중요하다고 한 적도 없다. 말만 그럴듯하게 하고 실제로는 많이 암기하는 것을 제일로 치고 그렇게 평가․선발하는 방법을 고수했을 뿐이다. 2015 교육과정에서 '지식을 얼마나 많이 알고 있는가?'에서 '그 지식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는가?'에 중점을 두는 핵심역량 교육, '단편적 지식 습득'보다는 '다양한 지식의 통합과 연계를 통한 실제 활용'에 중점을 두는 창의․융합형 교육을 강조한 것도 다 그 때문일 것이다.

 

학교교육을 둘러싼 환경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서 학력의 개념을 정립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교육과정기준을 염두에 둔다면 새로운 학력의 개념이나 측정 지표 역시 교원들에게 친숙한 형태로 제시되겠지만 그럼에도 교육의 본질에 따른 학력 논쟁은 소중하기만 하다. 그동안 각 시도교육감들은 교육과정기준 외의 특수시책을 마련함으로써 교원들이 혼선을 빚고 수업 외의 업무과중 등 갈등을 겪는 사례가 얼마나 많았는가. 학력을 새롭게 정의하고 측정 지표를 제시하는 일은 앞으로 그 교육감들이 공통적으로 학력을 강조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이 얼마나 다행하고 고마운 일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