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세월의 끝에 이르면 하나의 이야기로 엮이기를 기대하며 쓰는 편지
교육과정·교과서

교재연구개발론

by 답설재 2015. 9. 9.

2015년 1학기 강의계획서

EDU 923 교재연구개발론

 

 

 

강사명: 파란편지

조교명:

수업시간: 금 8-10교시

강의실: 사대본관 114

 

 

□ 과목개요 및 학습목표

 

교사의 전문성, 자율성, 책무성에 관한 당위성은 대체로 수업을 전제로 한 것이며 수업이 교사의 핵심적 업무가 되어야 하는 것은 어떠한 경우에도 당연하다. 수업의 핵심적인 도구는 교재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전통적으로 교과서가 핵심적·지배적인 교재의 위치를 차지함으로써 드디어 교과서의 내용을 그대로 전달하는 교과서 중심교육이 주류를 이루어 왔으나 교재의 의미는 지속적으로 변화해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획일적인 교재를 사용하던 체제에서 학교(교사)가 학교 교육과정 편성에 따라 적절한 교재를 선택·재구성·제작하여 사용하는 나라들이 늘어나는 경향이며, 최근에는 우리나라도 단위학교(교사)의 자율성, 다양성을 높이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교재연구개발론은 이러한 경향을 파악하고 실행하는 데 필요한 과목이 될 것이다. 이 강의에서는 교재 연구·개발은 매우 유용하고 흥미로운 과제라는 인식을 통하여 교재(교과서)를 분석적으로 보고 재구성할 수 있는 소양을 갖게 하고, 실제로 교재(교과서) 개발을 연구하고 참여하고자 하는 의욕과 능력을 가지게 함을 목표로 한다.

개별적인 학습목표 설정에 참조할 만한 사항들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 교재의 재구성 및 개발에 관한 기초적 이해

• 우리나라 교과서 제도의 변화

• 교과서 정책의 경향

• 교과서 연구의 동향

• 교과서 관련 법규의 내용

• 교과서의 질 관리 및 유통 체계

•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관계

• 교과서 개발의 과정

• 교과서 집필의 요령

• 교과서의 주기와 교사의 역할

 

 

□ 과제물 및 제출 시기

 

1. 수시과제(개별 과제): 선행연구(자료) 검토 및 발제

 

수강생은 수업기간 중 모두 이 강의계획의 주별 주제에 따라 발제 및 토론에 참여하도록 한다. 발제의 주요내용은 해당 주제의 선행연구 및 관련 자료를 찾아 ‘핵심 내용 요약’ ‘시사점 혹은 논의할 사항’ 등으로 구성하고 분량은 3~5쪽 정도로 한다.

선행연구 및 관련 자료는 단순한 요약에 그칠 것이 아니라, 교과서와 관련하여 교사(혹은 내용 구성 전문가)로서의 역할 수행에 직접적인 관점을 두어 분석하고, 특히 연구의 주제, 연구방법, 연구결과, 전망 등을 분석함으로써 앞으로는 어떤 연구가 필요할지 가늠해보는 작업이 되도록 한다. 즉,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서 지금까지 주로 어떤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며, 앞으로는 구체적으로 어떤 점을 염두에 두고 연구해 나가야 할지를 살펴보도록 한다. 이 강의와 관련하여 주로 살펴볼 수 있는 연구들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교과서연구재단 및 각 대학 등에서 이루어진 연구들이다.

 

2. 기말과제: 교재(교과서)의 재구성 혹은 교과서 원고 작성

 

이 강의의 전체적인 내용 파악으로써 주어진 교재(교과서)를 재구성해볼 수도 있고, 주어진 주제에 따라 실제로 교과서 원고를 작성해볼 수도 있다. 각각 1차시의 내용을 범위로 10쪽 이내로 작성하되,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구성할 수 있다.

 

가. 교재의 재구성(예)

• 학교 급별, 교과목, 단원(주제, 제재, 혹은 차시의 소주제)

• 현행 교과서의 내용

• 재구성의 필요성 및 재구성의 목표

• 재구성의 실제(결과)

• 재구성 결과에 대한 현장 전문가의 반응

 

나. 교과서 원고 작성(예)

• 학교 급별, 교과목, 단원(주제, 제재, 혹은 차시의 소주제)

• 현행 교과서 내용 분석 및 개선점

• 교육과정상의 목표

• 집필세목

• 원고 작성의 실제(결과)

• 원고에 대한 현장 전문가의 반응

 

 

□ 평가방식

 

◦ 수업참여도: 30점

◦ 수시과제: 30점

◦ 기말과제: 40점

 

 

□ 수업자료(참고자료)

 

◦ 한국교과서연구재단, 교과서연구(1~78호)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과서연구재단 등의 관련 연구보고서

◦ 교과서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원연수 교재(교육부, 한국교과서연구재단 등): 강사 제공

 

 

□ 강의일정, 주제 및 학습자료

 

 

 

 

 

2015.4.10.

 

 

수강생은 15명으로 박사 과정 13명, 석사 과정 2명이었고, 대부분 교육과정을 전공하고 있었습니다(교육과정 12, 교육행정 1, 교육사회 1, 국어교육 1). 3명은 청강생이었고, 청강생 중에는 말레이지아에서 국비로 유학 온 여학생도 있었습니다.

 

한국 학생들은 질문을 잘 하지 않고, 더구나 토론 같은 건 아예 할 줄도 모른다는 말을 많이 합니다. 그런 얘기는 책에서도 수없이 읽었습니다.

다 거짓말입니다. 그들은 질문도 많이 하고, 토론도 열정적으로 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학생들을 그렇게 비난하는 교수들이 많은 이유를 알 수가 없습니다.

 

 

 

 

고려대학교 대학원 EDU923(00) 교재연구개발 2015.hwp

 

 

 

 

 
고려대학교 대학원 EDU923(00) 교재연구개발 2015.hwp
0.02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