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혁신 과제3 교과서의 변화에 대한 걱정 (2024.10.25) 학창 시절에나 교사가 되어서나 교과서 핵심 암기에 진력이 난 터여서 “이젠 그렇게 가르쳐선 안 된다!”는 장학사들의 이야기를 들으며 감동의 전율을 느꼈다. 50여 년 전 지역교육청 연수회 때였다. 열심히 외워서 암기의 능력으로 좋은 대학에 가고 좋은 직장을 구한 경우가 대부분이긴 했지만 때마침 좋은 책들이 번역되어 쏟아지던 시절이라 마음껏 호기심을 충족하며 지내다가 대학입학시험에서 낭패를 보고 결국 어쭙잖은 직장에서 고개 숙이고 지내는 경우도 적진 않았다. 장학사들은 교과서는 기본 자료일 뿐이므로 교사는 모름지기 교육과정(curriculum)의 취지에 따라 세상의 수많은 자료를 적절히 활용해서 학생들의 사고활동을 조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교실마다 적어도 70명이었고 2부제, 3부제도 시행했다. 그럼에도.. 2024. 10. 25. 꼴찌, 힘내! Ⅰ 초등학교 교사 K가 전화를 했습니다. 2015년 12월 현재, 초등학교 2학년인 자신의 아들도 꼴찌고, 자신이 가르치는 반 아이들도 꼴찌라고 했습니다. 그걸 어떻게 아느냐고 물었더니, 성적표에 지필고사의 학년별 평균점수를 나타내기 때문에 학부모들이 그걸 보면 자녀의 상태를 당장 알게 된다는 것이었습니다. 반에서 잘한다는 소리를 듣는데도 학년 평균보다 별로 좋지 않다면 그건 알아보나마나가 아니겠느냐고 했습니다. 시험지를 가정에 보내주지는 않지만, 학부모들에게 자녀의 지필고사 점수만은 알려준다는 것이었습니다. Ⅱ 1970년대까지는 교장실에서 모눈종이에 그려진 두 가지 그래프를 볼 수 있었습니다. 정기 학력고사 학급별 평균을 나타낸 막대그래프와 학급별 저축 실적 그래프였습니다. 아마도 다른 그래프도 더 그.. 2015. 12. 23. 한 중학생이, 교육부 차관님께(2015.8.31) 한 중학생이, 교육부 차관님께 의아해하셨죠? "중학생이 왜?" 자유학기제가 '괴물'이 되지 않도록 해달라는 부탁을 드리려고요. "그걸 왜 나에게?" 하실까요? 장관님도 그러셨겠죠. "차관님! 자유학기제가 계획대로 실천되도록 지켜보세요!" 제가 장관이라도 그랬을 걸요? ‘강도 높은 교육.. 2015. 8. 3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