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틀러의 민족관1 「고구려연구재단」 설립에 관한 추억⑵ ▶ 중(中)·일(日)을 통해서 보는 국가간의 정의(正義) 히틀러는 어떤 일도 그답게 말한 것 같다. 상대국과 평형화된 힘을 가져야 한다는 데 대해서도 이렇게 말했다. “허약한 비겁자는 역사(力士)와 싸울 수 없으며, 무장하고 있지 않은 협상자는 만일 저울을 평형화시키기 위한 자신의 칼을 가지고 있지 않다면 여전히 저울의 다른 편에 얹혀 있는 브레누스(기원전 4세기 초 로마를 정복했던 갈리아의 장군)의 칼을 참고 견디어내지 않으면 안 되었다.”(아돌프 히틀러,서석연 옮김, 『나의 투쟁』㉻, 범우사, 1996, 434쪽). 이 대목을 읽어보면 여러 가지 이야기를 하고 싶어지지만, 도대체 국가간의 정의(正義)라는 것은 어떻게 존재하는지에 대한 의문도 그 중의 한 가지가 된다. 국어사전에서는 ‘1. 진리.. 2007. 11. 1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