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분석학2 코린 마이에르 『프로이트 FREUD』 글 코린 마이에르|그림 안 시몽『프로이트 FREUD』거북이북스 2014 "프로이트(SIGMUND FREUD)"라면 많이 들었다.이 만화책을 발견한 순간 이렇게 생각했다.'잘 됐다. 코린 마이에르? 우선 어떻게 요약할까 고민했을 테니까 개요 파악에는 요긴하겠지?''이 만화책 한 권으로 프로이트는 대충 졸업하기로 하자.' 재미있게 봤다.다만, 생각했던 '졸업'을 할 수는 없을 것 같다. 그걸 노린 책인지 알 수는 없지만 프로이트는 본격적으로 좀 알아볼 필요가 있는 학자라고 생각하게 되었다.마지막 페이지는 만화가 아니었고, 다음과 같이 되어 있었다. 프로이트의 주요 저서꿈의 해석일상생활의 정신병리학정신분석 입문농담과 무의식의 관계늑대인간정신병리학의 문제들토템과 터부무의식에 관하여창조적인 작가와.. 2015. 8. 4. 대리언 리더·데이비드 코필드 『우리는 왜 아플까 Why do people get ill?』(Ⅲ) 대리언 리더·데이비드 코필드 지음, 배성민 옮김 『우리는 왜 아플까 Why do people get ill? 몸과 마음의 관계로 읽는 질병의 심리학』 (동녘사이언스, 2011) 3부 정신분석학이 의사에게 묻다 14장 심리치료가 도움이 될까? 심리문제를 몸으로 드러내는 기제가 작동한다는 것은 어떤 사례에서 문제를 말로 풀어내기 어렵다는 것을, 심지어 풀어낼 수 없다는 것을 뜻한다.(383) 심장질환자는 특히 긴장을 풀면서 성급함과 적대감을 누그러뜨리는 치료에 반응한다고 한다.(391) 심장질환에서 암에 이르기까지 집단 치료의 장점이 꾸준히 늘고 있다.(394) 집단에 들어가면서 우리는 계속 대화하고 역할을 떠맡는다.(399) 운동을 하면 건강에 좋다. 그런데 의식을 행하듯 운동을 한다면 어떤 경우에 훨씬 .. 2015. 7. 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