픽션들2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픽션들》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픽션들》송병선 옮김, 민음사 2011 열일곱 편의 단편소설집 이름을 아예 「픽션들」이라고 했는데도, 허구적 인물과 함께 실존 인물들이 등장하면서 스토리가 역사적 사실이라는 느낌을 갖게 한다.현학적·철학적이기도 하다. 각주들이 있어서 더 그렇다.충분한 설명을 해주는데도 문장 하나하나, 단어 하나하나를 놓치면 안 될 것 같았다.꿈같기도 한 줄거리에 호기심으로 따라가게 하고 뜻하지 않은 결말을 기대하게 한다. 고양이의 새까만 털을 쓰다듬는 동안, 그는 그 감촉이 꿈이며 자기와 고양이는 마치 유리를 사이에 두고 떨어져 있는 것 같다고 생각했다. 그것은 인간은 시간 가운데, 즉 연속성 가운데 살고 있지만, 마술적인 동물은 현재에, 즉 순간의 영원 속에 살기 때문이었다. 이건 「남부」에.. 2025. 2. 21.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기억의 천재 푸네스》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의 작품집 『픽션들』에서 「기억의 천재 푸네스」를 옮겨 썼다. 독후감을 써 놓는 것에는 별 의미가 없겠다고 생각해서였다. 나는 학생으로서 암기에 지긋지긋해했고, 교사로서, 교육행정가로서도 이 사회의 암기 혹은 기억에 대한 편중(偏重)에 지긋지긋해했다.그러나 내 힘으로는 그 막강한 성벽에 금이 가게 하기는커녕 내가 아무리 떠들어도 그 성벽 안 사람들은 눈도 깜짝하지 않는 걸 보았다. 그들도 그렇게 교육받고 그렇게 기억한 것으로 그 자리를 차지할 수 있었기 때문이라는 것이 그 배경일 것 같았다. 기억이 중요하지 않다는 건 아니다. 기억이란 얼마나 소중하고 필요한 것인가.그렇지만 기억이, 기억을 위한 훈련이 교육의 최우선 덕목이 되고 있는 건 기이한, 비정상적인 현상이라고 하지 않을 수 .. 2025. 2. 2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