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인훈2 최인훈 《구운몽》 최인훈 《구운몽》 문학과지성사 1996(3판12쇄) 민. 얼마나 오랜만에 불러보는 이름입니까? 저를 너무 꾸짖지 마세요. 지금의 저는 민을 보고 싶은 마음뿐입니다. 돌아오는 일요일 아세아극장 앞 '미궁' 다방에서 기다리겠어요. 1시에서 1시 30분까지. 모든 얘기 만나서 드리기로 하고 이만. 민, 꼭 오셔야 해요.(195) 사라졌던 연인이 남긴 편지를 읽으면서부터 민은 끝없는 '미궁'을 헤맨다. 그를 쫓는 사람들을 피하려고 갖은 애를 쓴다. 그 '여로'가 김만중의 『구운몽』을 연상하게 한다. 그러니까 이 '서사시'는 사랑이 주제다. 몽환적이다. 그게 참 좋아서 서사시를 읽는 느낌이었다. 이렇게 시작된다. 관(棺) 속에 누워 있다. 미이라. 관 속은 태(胎) 집보다 어둡다. 그리고 춥다. 그는 하릴없이 뻔.. 2018. 11. 28. 최인훈 《광장》 최인훈 《광장》 문학과지성사 1996 서 문 '메시아'가 왔다는 이천 년래의 풍문이 있습니다. 신이 죽었다는 풍문이 있습니다. 신이 부활했다는 풍문도 있습니다. 코뮤니즘이 세계를 구하리라는 풍문도 있습니다. 우리는 참 많은 풍문 속에 삽니다. 풍문의 지층은 두텁고 무겁습니다. 우리는 그것을 역사라고 부르고 문화라고 부릅니다. 인생을 풍문 듣듯 산다는 건 슬픈 일입니다. 풍문에 만족지 않고 현장을 찾아갈 때 우리는 운명을 만납니다. 운명을 만나는 자리를 광장이라고 합시다. 광장에 대한 풍문도 구구합니다. 제가 여기 전하는 것은 풍문에 만족지 못하고 현장에 있으려고 한 우리 친구의 얘깁니다. (……) (『새벽』, 1960년 10월) 1961년판 서문 인간은 광장에 나서지 않고는 살지 못한다. 표범의 가죽으로.. 2018. 11. 2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