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이 세월의 끝에 이르면 하나의 이야기로 엮이기를 기대하며 쓰는 편지

코로나 시대4

지금 아이들 곁에서 퇴근했어요. 컴퓨터는 꼴도 보기 싫어서 폰으로 답장 써요, 선생님. 오후에만 확진자 2명의 연락을 추가로 받고... 그러고 나니 갑자기 제 목이 아픈 것 같고 기침이 나는 것 같았어요. 착각이었지만요. 꼭 걸릴 것만 같이 위태롭고, 이미 우리 학교 교사 확진도 걷잡을 수없이 막 내달리고 있어요. 언제 걸리는지 때를 기다리는 느낌이에요. 사실상 자포자기 상태로 교실만 지킬 뿐이에요. 이게 정점이라고, 이젠 끝물이라고, 이젠 다 왔다고 말해주길 바라요. 아니 말 안 해도 그냥 우리는 이렇게 여기 있을 거예요. ​ 선생님, 어느 신체 기관보다도 눈은, 선생님께 유의미한 부분일 텐데, 말썽이 나면 선생님 속상하실 것 같아요. 장착하면 시력 2.0으로 보완해주는 VR 기계 같은 것, 발명해서 끼고 저의 노안도 치.. 2022. 4. 4.
코로나 3년째, 아이들 바라보기 “오래된 미래(헬레나 노르베리-호지)”는 행복한 삶이 어떤 것인지를 알려주는 책이다. 하필이면 세상에서 제일 높은 히말라야산맥의 고원, 오지 마을 라다크 사람들과 함께 생활하면서 GNP와 같은 단순한 척도로써 행복을 찾으려고 하면 인간은 영원히 경멸당할 뿐이라는 것을 깨닫게 한다. 우리가 돈만을 중시하는 관점에 매몰되면 이웃과 자연에 대하여 마침내 자신에게까지 ‘폭력’을 행사하지 않을 수 없게 한다는 것을 나지막하게 그러나 더할 수 없이 간곡하게 전하면서 교육에 대한 불변의 가르침도 제시하고 있다. 라다크 교과서는 인도 교과서를 베낀 것인데 그 인도 교과서도 실은 유럽 교과서를 베낀 것으로 라다크 학생들의 행복과는 관계가 먼, 엉뚱한 내용이라는 걸 지적하고 있다. ‘소남이란 아이의 교과서에는 런던이나 뉴.. 2022. 4. 1.
지금 어디로 가고 있을까? 3·11(동일본대지진) 후의 어느 날, 폐허의 쓰레기 더미에 섞여 피아노가 내팽개쳐져 있는 영상을 보았다. 류이치 사카모토(坂本 龍一)는 텔레비전에서 "지금 우리는 여기서부터 음악을 생각해야만 한다"는 이야기를 했다. 나는 그 후 작업을 시작하려고 하면 그 광경이 눈앞에 어른거리곤 한다. 그건 어쩌면 전 지구의 내일의 광경일지도 모른다고 여기다 보면 무얼 해야 할지 엄두가 나지 않는다. 이렇게(폐허의 쓰레기 더미에 내팽개쳐져 있는 피아노) 시작되는 이우환의 에세이 「틀어박힘의 저편」(《현대문학》 2020년 11월호 115~118)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재난으로 공포에 떨고 있는 인류 이야기로 이어지고 있었고 나는 저 풍경이 내다보이는 책상에 앉아 졸면서 그 글을 읽고 있었는데 그 졸음은 읽고 있었던 글.. 2021. 1. 13.
아름다움 혹은 행복, 사랑, 생명 같은 단어들 "사람들은 아름다움이란 말을 너무 가볍게 사용한다." 소설 《달과 6펜스》(서머싯 몸)에서 본 말입니다(민음사, 2013, 191). 그러고 보면 젊은 시절에는 '아름답다'라는 말을 좀처럼 사용할 수가 없었습니다. 뭐랄까, 마음에 두었던 오로지 그 한 명의 소녀만 아름다워서 다른 걸 보고, 가령 길가의 민들레에게조차 그 말을 사용한다는 게 불가능했습니다. 사랑은 말할 것도 없었고, 행복이란 것도 그랬습니다. 행복, 어떻게 그 가득한, 벅찬, 난해한 말을 내 이 누추한 생에 갖다 대겠는가, 앞으론들 감히 그럴 수 있겠는가 싶었습니다. 이 블로그를 하면서 손님들이 찾아와 내가 어떤 인간인 줄도 모르고 자기네들 같은 줄 알고 "행복하라"고 했을 때 나는 정말 매우 당황했습니다. 댓글 달고 답글 다는 시간을 단.. 2020. 12. 3.